2021년 11월 11일 목요일

한자 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2개

한자 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2개

  • 감 (勘) : '감하다'의 어근. (감하다: 죄 있는 사람을 처벌하여 다스리다.)
  • 감검 (勘檢) : 잘 생각하고 검사함.
  • 감결 (勘決) : 잘 조사하여 결정함.
  • 감고 (勘考) : 깊이 생각함.
  • 감과 (勘過) : 검열하여 통과시킴.
  • 감교 (勘校) : 자세히 조사하고 대조하여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 감단 (勘斷) : 죄인을 조사하여 그 죄에 따라 처단하던 일.
  • 감당 (勘當) : 심문하고 조사함.
  • 감률 (勘律) : 죄인에 대하여 해당하는 법 조항을 적용하던 일.
  • 감발 (勘發) : 허물이나 잘못을 꾸짖고 나무람.
  • 감방 (勘放) : 죄상을 조사하고 죄인을 놓아주던 일.
  • 감보 (勘報) : 돈이나 곡식 따위의 출납에 관한 문서를 마감하고 정리하여 상관에게 보고하던 일.
  • 감부 (勘簿) : 돈이나 곡식 따위의 출납에 관한 문서를 관리하던 일.
  • 감사 (勘査) : 잘 살펴 조사함.
  • 감수 (勘收) : 자세히 조사하여 몰수함.
  • 감심 (勘審) : 깊이 생각하여 자세히 조사함.
  • 감안 (勘案) : 여러 사정을 참고하여 생각함.
  • 감오 (勘誤) : 문장이나 글자 따위의 잘못을 바로잡음.
  • 감장 (勘葬) : 장사(葬事) 치르는 일을 마침.
  • 감정 (勘定) : 헤아려 정함.
  • 감죄 (勘罪) : 죄인을 심리하여 처단함.
  • 감주 (勘注) : 조사하여 기록함. 또는 그런 문서.
  • 감처 (勘處) : 죄인을 조사하여 그 죄에 따라 처단하던 일.
  • 감치 (勘治) : 죄의 가볍고 무거움을 감안하여 다스림.
  • 감판 (勘判) : 잘 생각하여 판단함.
  • 감합 (勘合) : 조선 시대에, 발송할 문서의 한끝을 원본에 겹쳐 대고 그 위에 도장을 찍던 일. 또는 그 도장. 각 관서에서 발부한 공문서의 진위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행하였다.
  • 경감 (輕勘) : 죄인을 가볍게 처분함.
  • 계감 (契勘) : 어음이나 수표 따위가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가림.
  • 고감 (故勘) : 일부러 죄 없는 사람을 고문함.
  • 교감 (校勘) : 같은 종류의 여러 책을 비교하여 차이 나는 것들을 바로잡음.
  • 귀감 (歸勘) : 어떤 지방에서 범인을 잡았을 때에, 그 거주지의 당해 담당관에게 보내어 심문하게 함.
  • 김감 (金勘) : 조선 전기의 문신(1466~1509). 자는 자헌(子獻). 호는 일재(一齋)ㆍ선동(仙洞). 대제학, 좌찬성 겸 예조 판서 등을 지냈고, 중종반정에 가담한 뒤에 병조 판서가 되었다.
  • 나감 (拿勘) : 조선 시대에, 중죄인을 의금부로 잡아들여 조처하던 일.
  • 논감 (論勘) : 죄상을 논하여 다스림.
  • 답감 (踏勘) : 현장에 가서 직접 보고 조사함.
  • 마감 (磨勘) : 중국에서 관리들의 성적을 매기던 제도.
  • 말감 (末勘) : 가장 가벼운 죄에 처함.
  • 미감 (未勘) : 아직 끝마감을 하지 못함.
  • 박감 (薄勘) : 죄인을 가볍게 처분함.
  • 보감 (保勘) : 고용 계약에서, 사용자가 고용된 사람 때문에 입게 될지도 모르는 손해의 배상을 보증인이 담보하는 계약.
  • 부감 (付勘) : 맞대어 보며 심사함.
  • 사감 (司勘) : 조선 시대에, 교서관에 속한 종구품 잡직(雜職). 후에 보자관으로 고쳤다.
  • 엄감 (嚴勘) : 엄중하게 처단함.
  • 요감 (了勘) : 끝을 막음.
  • 조감 (照勘) : 피해 상황을 낱낱이 헤아림.
  • 중감 (重勘) :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죄가 있을 때에 그 가운데서 무거운 죄를 따라 처분하던 일.
  • 청감 (淸勘) : 깨끗이 모두 마감함.
  • 취감 (取勘) :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봄.
  • 후감 (後勘) : 뒷날의 처리.
  • 감단송 (勘斷訟) : 죄를 심리하여 처단하기를 청하는 송사.
  • 감처형 (勘處刑) : 죄인을 조사하여 그 죄에 따라 처단하던 일.
  • 감하다 (勘하다) : 죄 있는 사람을 처벌하여 다스리다.
  • 감합기 (勘合記) : 조선 시대에, 발송할 문서의 한끝을 원본에 겹쳐 대고 그 위에 도장을 찍던 일. 또는 그 도장. 각 관서에서 발부한 공문서의 진위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행하였다.
  • 감합부 (勘合符) : 조선 시대에, 일본 사신(使臣)으로 사칭(詐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선 정부에서 일본에 발급한 확인 표찰.
  • 감합인 (勘合印) : 감합의 표적으로 찍는 도장. 보통 연월일과 자호를 새긴다.
  • 교감학 (校勘學) : 같은 종류의 여러 책들을 비교하여 문장이나 문자의 오기(誤記), 오전(誤傳) 따위를 바로잡는 학문. 고증학의 한 분야이다.
  • 마감채 (磨勘債) : 장정에게 불법적으로 병역을 면하여 줄 때, 서류를 작성하여 마감한다는 명목으로 받던 돈.
  • 감검하다 (勘檢하다) : 잘 생각하고 검사하다.
  • 감결하다 (勘決하다) : 잘 조사하여 결정하다.
  • 감고하다 (勘考하다) : 깊이 생각하다.
  • 감과하다 (勘過하다) : 검열하여 통과시키다.
  • 감교되다 (勘校되다) : 자세히 조사되고 대조되어 잘못된 것이 바로잡히다.
  • 감교하다 (勘校하다) : 자세히 조사하고 대조하여 잘못된 것을 바로잡다.
  • 감단되다 (勘斷되다) : 죄인이 그 죄에 따라 처단되다.
  • 감단하다 (勘斷하다) : 죄인을 조사하여 그 죄에 따라 처단하다.
  • 감당하다 (勘當하다) : 심문하고 조사하다.
  • 감률하다 (勘律하다) : 죄인에 대하여 해당하는 법 조항을 적용하다.
  • 감발하다 (勘發하다) : 허물이나 잘못을 꾸짖고 나무라다.
  • 감방되다 (勘放되다) : 죄상이 조사되고 죄인이 풀려나다.
  • 감방하다 (勘放하다) : 죄상을 조사하고 죄인을 놓아주다.
  • 감보하다 (勘報하다) : 돈이나 곡식 따위의 출납에 관한 문서를 마감하고 정리하여 상관에게 보고하다.
  • 감부하다 (勘簿하다) : 돈이나 곡식 따위의 출납에 관한 문서를 관리하다.
  • 감사하다 (勘査하다) : 잘 살펴 조사하다.
  • 감수하다 (勘收하다) : 자세히 조사하여 몰수하다.
  • 감심하다 (勘審하다) : 깊이 생각하여 자세히 조사하다.
  • 감안되다 (勘案되다) : 여러 사정이 참고되어 생각되다.
  • 감안하다 (勘案하다) : 여러 사정을 참고하여 생각하다.
  • 감오하다 (勘誤하다) : 문장이나 글자 따위의 잘못을 바로잡다.
  • 감장하다 (勘葬하다) : 장사(葬事) 치르는 일을 마치다.
  • 감죄되다 (勘罪되다) : 죄인이 심리를 받고 처단되다.
  • 감죄하다 (勘罪하다) : 죄인을 심리하여 처단하다.
  • 감주하다 (勘注하다) : 조사하여 기록하다.
  • 감처되다 (勘處되다) : 죄인이 그 죄에 따라 처단되다.
  • 감처하다 (勘處하다) : 죄인을 조사하여 그 죄에 따라 처단하다.
  • 감치하다 (勘治하다) : 죄의 가볍고 무거움을 감안하여 다스리다.
  • 감판하다 (勘判하다) : 잘 생각하여 판단하다.
  • 경감하다 (輕勘하다) : 죄인을 가볍게 처분하다.
  • 계감하다 (契勘하다) : 어음이나 수표 따위가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가리다.
  • 고감하다 (故勘하다) : 일부러 죄 없는 사람을 고문하다.
  • 교감하다 (校勘하다) : 같은 종류의 여러 책을 비교하여 차이 나는 것들을 바로잡다.
  • 권지교감 (權知校勘) : 고려 시대에, 전교서에 속하여 경서 따위의 책이나 글을 조사하고 원본과 대조하여 잘못을 바로잡아 고치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벼슬.
  • 나감되다 (拿勘되다) : 조선 시대에, 중죄인이 의금부에 잡아들여져 조처되다.
  • 나감하다 (拿勘하다) : 조선 시대에, 중죄인을 의금부로 잡아들여 조처하다.
  • 논감하다 (論勘하다) : 죄상을 논하여 다스리다.
  • 답감하다 (踏勘하다) : 현장에 가서 직접 보고 조사하다.
  • 마감하다 (磨勘하다) : 관리들의 행적을 조사하여 성적을 매기다.
  • 말감하다 (末勘하다) : 가장 가벼운 죄에 처하다.
  • 미감하다 (未勘하다) : 아직 끝마감을 하지 못하다.
  • 박감하다 (薄勘하다) : 죄인을 가볍게 처분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勘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1월 10일 수요일

한자 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한자 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 고매 (高邁) : '고매하다'의 어근. (고매하다: 인격이나 품성, 학식, 재질 따위가 높고 빼어나다.)
  • 매덕 (邁德) : 힘써 덕을 닦음.
  • 매진 (邁進) : 어떤 일을 전심전력을 다하여 해 나감.
  • 영매 (英邁) : '영매하다'의 어근. (영매하다: 성질이 영리하고 비범하다.)
  • 웅매 (雄邁) : '웅매하다'의 어근. (웅매하다: 성질이 씩씩하고 뛰어나다.)
  • 준매 (俊邁) : 재주와 지혜가 매우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
  • 초매 (超邁) : '초매하다'의 어근. (초매하다: 보통보다 훨씬 뛰어나다.)
  • 호매 (豪邁) : '호매하다'의 어근. (호매하다: 성격이 호탕하고 인품이 뛰어나다.)
  • 고매성 (高邁性) : 높고 빼어난 성질이나 품성.
  • 고매히 (高邁히) : 인격이나 품성, 학식, 재질 따위가 높고 빼어나게.
  • 김매순 (金邁淳) : 조선 후기의 학자(1776~1840). 자는 덕수(德叟). 호는 대산(臺山). 예조 참판, 강화부 유수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뛰어나 여한 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혔다. 저서에 ≪대산집≫, ≪전여일록(篆餘日錄)≫ 따위가 있다.
  • 고매하다 (高邁하다) : 인격이나 품성, 학식, 재질 따위가 높고 빼어나다.
  • 매진일로 (邁進一路) : 한길로 곧장 거침없이 나아감.
  • 매진하다 (邁進하다) : 어떤 일을 전심전력을 다하여 해 나가다.
  • 분왕매진 (奮往邁進) : 씩씩하고 힘찬 기세로 달려 나아감.
  • 영매하다 (英邁하다) : 성질이 영리하고 비범하다.
  • 용왕매진 (勇往邁進) : 거리낌 없이 용감하고 씩씩하게 나아감.
  • 웅매하다 (雄邁하다) : 성질이 씩씩하고 뛰어나다.
  • 일로매진 (一路邁進) : 한길로 곧장 거침없이 나아감.
  • 준매하다 (俊邁하다) : 재주와 지혜가 매우 뛰어나다.
  • 직왕매진 (直往邁進) : 주저하지 아니하고 곧장 힘차게 나아감.
  • 초매하다 (超邁하다) : 보통보다 훨씬 뛰어나다.
  • 호매하다 (豪邁하다) : 성격이 호탕하고 인품이 뛰어나다.
  • 영매스럽다 (英邁스럽다) : 성질이 영리하고 비범한 데가 있다.
  • 분왕매진하다 (奮往邁進하다) : 씩씩하고 힘찬 기세로 달려 나아가다.
  • 용왕매진하다 (勇往邁進하다) : 거리낌 없이 용감하고 씩씩하게 나아가다.
  • 일로매진하다 (一路邁進하다) : 한길로 곧장 거침없이 나아가다.
  • 직왕매진하다 (直往邁進하다) : 주저하지 아니하고 곧장 힘차게 나아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邁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衆에 관한 단어는 모두 360개

한자 衆에 관한 단어는 모두 36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衆에 관한 단어는 모두 360개

  • 객중 (客衆) : 많은 손님.
  • 경중 (警衆) : 여러 사람을 깨우침.
  • 공중 (公衆) :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
  • 관중 (觀衆) : 운동 경기 따위를 구경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
  • 관중 (貫衆) :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겹잎이고 뿌리줄기에서 돌려난다. 말린 뿌리줄기는 '면마근'이라 하여 구충제로 사용한다. 산지의 습한 땅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사할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군중 (群衆) : 한곳에 모인 많은 사람.
  • 다중 (多衆) : 많은 사람.
  • 대중 (大衆) : 많이 모인 승려. 또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도중 (徒衆) : 사람의 무리.
  • 도중 (盜衆) : 도둑의 무리.
  • 동중 (同衆) : 같은 무리.
  • 만중 (萬衆) : 아주 많은 백성.
  • 명중 (冥衆) :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아니하는 제천(諸天)이나 제신(諸神).
  • 문중 (門衆) : 한 종가의 문중(門中)에 속하는 사람들.
  • 민중 (民衆) :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국민.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을 이른다.
  • 백중 (百中/百衆) : 음력 칠월 보름. 승려들이 재(齋)를 설(設)하여 부처를 공양하는 날로, 큰 명절을 삼았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ㆍ고려 시대에는 이날 일반인까지 참석하여 우란분회를 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행하여진다. 근래 민간에서는 여러 과실과 음식을 마련하여 먹고 논다.
  • 범중 (梵衆) : 범행(梵行)을 닦는 수행자.
  • 부중 (部衆) : 부하의 무리.
  • 사중 (四衆) : 부처의 네 종류 제자.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이다.
  • 색중 (色衆) : 관정(灌頂)이나 대법회 때에 범패를 부르고, 꽃을 흩는 일을 하는 승려들.
  • 선중 (禪衆) : 참선하는 대중.
  • 섭중 (攝衆) : 중생을 거두어 보살펴 줌.
  • 성중 (聖衆) : 성자의 무리. 부처와 성문, 연각, 보살 따위를 이른다.
  • 성중 (成衆)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궐의 숙위나 임금의 시종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 속중 (俗衆) : 속된 사람들의 무리.
  • 승중 (僧衆) : 여러 승려. 또는 승려의 무리.
  • 시중 (示衆) : 여러 사람에게 훈시함.
  • 신중 (神衆) :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곧 불법(佛法)을 지키는 신장이다.
  • 어중 (御衆) : 여러 사람을 부림.
  • 언중 (言衆) :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大衆).
  • 오중 (五衆) :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식차마나(式叉摩那), 사미(沙彌), 사미니(沙彌尼)의 다섯 종류의 출가자.
  • 용중 (龍衆) : 용의 무리.
  • 우중 (愚衆) : 어리석은 대중.
  • 유중 (有衆) : 임금이나 조정에서 민중이나 백성을 이르던 말.
  • 의중 (義衆) : 의(義)를 주장하는 무리.
  • 이중 (二衆) : 도중(道衆)과 속중(俗衆)을 아울러 이르는 말. 도중은 출가하여 도를 닦는 사람이고, 속중은 속세에 있으면서 법에 귀의한 사람이다.
  • 인중 (人衆) : 사람이 많음. 또는 많은 사람.
  • 입중 (入衆) : 도(道)를 깨우친 후 처음으로 총림(叢林)에 들어가 대중과 함께 기거함.
  • 적중 (敵衆) : 많은 사람에 필적함.
  • 적중 (賊衆) : 도둑의 무리.
  • 제중 (濟衆) : 대중을 구제함.
  • 종중 (從衆) : 여러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좇아서 따라 함.
  • 중객 (衆客) : 많은 손님. 또는 많은 사람.
  • 중고 (衆苦) : 많은 고통.
  • 중과 (衆寡) : 수효의 많고 적음.
  • 중구 (衆口) : 여러 사람이 나무라는 말.
  • 중녀 (衆女) : 많은 여자.
  • 중노 (衆怒) : 많은 사람의 노여움.
  • 중다 (衆多) : '중다하다'의 어근. (중다하다: 수효가 많다.)
  • 중도 (衆徒) : 계율을 지키는 청정한 승려.
  • 중려 (衆慮) : 여러 사람의 염려.
  • 중력 (衆力) : 여러 사람의 힘.
  • 중론 (衆論) : 종파의 우열이나 진위를 결정짓는 논문.
  • 중뢰 (衆籟) : 자연계에서 나는 온갖 소리.
  • 중료 (衆寮) : 좌선하는 수행 승이 자유 시간에 경전이나 어록 따위를 읽는 집.
  • 중류 (衆流) : 여러 갈래의 물의 흐름.
  • 중리 (衆吏) : 여러 관리.
  • 중만 (衆巒) : 많은 산봉우리.
  • 중망 (衆望) : 여러 사람에게서 받는 신망.
  • 중맹 (衆盲) : 많은 무리의 맹인(盲人).
  • 중목 (衆目) : 여러 사람의 눈.
  • 중묘 (衆妙) : 훌륭하고 뛰어난 자연의 도리. 또는 천지 만물의 미묘한 도리.
  • 중민 (衆民) : 많은 백성.
  • 중방 (衆芳) : 많은 꽃.
  • 중방 (衆邦) : 많은 나라.
  • 중봉 (衆峯) : 많은 산봉우리.
  • 중분 (衆忿) : 많은 사람의 분노.
  • 중빈 (衆賓) : 많은 손님.
  • 중생 (衆生) : 모든 살아 있는 무리.
  • 중서 (衆庶) : 많은 사람. 또는 여러 사람.
  • 중선 (衆善) : 아주 많은 선사(善事).
  • 중설 (衆說) : 여러 사람의 의견.
  • 중성 (衆星) : 많은 별.
  • 중성 (衆聲) : 여러 사람이 이러니저러니 하는 말.
  • 중성 (衆聖) : 많은 성인(聖人).
  • 중소 (衆小) : 다수의 소인(小人)이나 속인(俗人).
  • 중속 (衆俗) : 여러 사람이 따르는 습관이 된 풍속.
  • 중손 (衆孫) : 맏손자 외의 여러 손자.
  • 중수 (衆水) : 많은 물의 흐름.
  • 중승 (衆僧) : 많은 승려.
  • 중신 (衆臣) : 여러 신하.
  • 중심 (衆心) : 여러 사람의 마음.
  • 중악 (衆岳/衆嶽) : 많은 큰 산.
  • 중언 (衆言) : 많은 사람의 말.
  • 중예 (衆銳) : 여러 사람의 뛰어난 재치. 또는 그것을 모은 것.
  • 중욕 (衆辱) : 많은 사람이 모인 곳에서 모욕을 줌.
  • 중우 (衆愚) : 많은 어리석은 사람.
  • 중원 (衆怨) : 뭇사람의 원망.
  • 중원 (衆園) : 많은 승려들이 모여 사는 정원이라는 뜻으로, '절'을 달리 이르는 말. (절: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 중위 (衆位) : '여러분'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여러분: 듣는 이가 여러 사람일 때 그 사람들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 중의 (衆議) : 여러 사람의 의견.
  • 중의 (衆意) : 뭇사람들의 의견.
  • 중의 (衆疑) : 여러 사람이 품은 의심.
  • 중인 (衆人) : 많은 사람. 또는 여러 사람.
  • 중자 (衆子) : 맏아들 이외의 모든 아들.
  • 중재 (衆才) : 재능이 있는 많은 사람들.
  • 중적 (衆敵) : 많은 적.
  • 중정 (衆情) : 여러 사람의 감정이나 의견.
  • 중좌 (衆座) : 많은 사람의 좌석.


https://dict.wordrow.kr에서 衆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