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일 일요일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한자 뜻 풀이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影(그림자 영) : 그림자, 모양, 상(象), 빛, 도움. 해[日]가 기울어 어떤 모양[터럭삼]을 나타내는 의미에서 '그림자'의 의미 생성
  • 推(옮을 추) : 옮다, 밀다, 변천함, 꾸짖다, 성(盛)한 모양. 손으로 '밀어젖히다'는 의미에서 '옮기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隹(추)는 발음
  • 不(아니 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出(날 출) : 나다, 나가다, 내다, 지출(支出), 양자가다.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 月(달 월) : 달, 달빛, 세월(歲月), 다달이, 월경(月經).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항상 차있는 해[日]와 구별해서 차고 기우는 달의 형상에서 이지러지는 달의 모양을 본떠 만듦. '달'이나 '시기', '시간' 등의 의미로 활용됨
  • 光(빛 광) : 빛, 빛나다, 상대의 행위를 영광으로 생각하는 뜻에서 덧붙이는 말, 윤기, 경치. '小+人'의 결합으로 小는 火의 의미라서 사람 위에 불이 있어 번쩍 빛난다는 의미 생성
  • 掃(쓸 소) : 쓸다, 버리다, 제거하다, 토벌(討伐)하다, 바르다.
  • 還(돌아올 환) : 돌아오다, 돌다, 영위하다, 돌아감, 뒤돌아보다. 특정 지역을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에서 '복귀하다'는 뜻 파생. 오른쪽은 발음 부호
  • 生(날 생)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不] 아니 불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 돌 회) (: 피할 피) (: 아닌가 부) (: 얻을 득) ]
  •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아닌가 부) (: 밟을 답) (: 뒤집힐 복) (: 바퀴 자국 철) ]
  • 종불출급(終不出給) : 빚돈을 갚지 않음. [ (: 끝날 종) (: 아니 불) (: 날 출) (: 넉넉할 급) ]

[光] 빛 광 (빛, 빛나다, 상대의 행위를 영광으로 생각하는 뜻에서 덧붙이는 말, 윤기, 경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박광 획순 이미지 호박광(琥珀光) : 맑고 아름다운 술의 누런빛을 이르는 말. [ (: 호박 호) (: 호박 박) (: 빛 광) ]
  • 도광(韜光) : (1)빛을 감추어 밖에 비치지 않도록 함. (2)재능이나 학식 따위를 숨겨 감춤. [ (: 감출 도) (: 빛 광) ]
  • 회광반조(回光反照) :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 (: 돌 회) (: 빛 광) (: 돌이킬 반) (: 비출 조) ]
  •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 갈 경) (: 밭 전) (: 묻을 매) (: 봄 춘) (: 빛 색) (: 길을 급) (: 물 수) (: 말 두) (: 달 월) (: 빛 광) ]
  • 풍광명미(風光明媚) : 자연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 [ (: 바람 풍) (: 빛 광) (: 밝을 명) (: 아첨할 미) ]

[出] 날 출 (나다, 나가다, 내다, 지출(支出), 양자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희출망외 획순 이미지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종불출급(終不出給) : 빚돈을 갚지 않음. [ (: 끝날 종) (: 아니 불) (: 날 출) (: 넉넉할 급) ]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명주출로방(明珠出老蚌) :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밝을 명) (: 구슬 주) (: 날 출) (: 늙을 로) (: 방합 방) ]
  • 맹호출림(猛虎出林) :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사나울 맹) (: 범 호) (: 날 출) (: 수풀 림) ]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 획순 이미지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 봄 춘) (: 메 산) (: 같을 여) (: 웃을 소) ]

[影] 그림자 영 (그림자, 모양, 상(象), 빛, 도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몽환포영 획순 이미지 몽환포영(夢幻泡影) : 꿈, 환상, 거품, 그림자라는 뜻으로, 인생이 헛되고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꿈 몽) (: 변할 환) (: 거품 포) (: 그림자 영) ]
  • 포풍착영(捕風捉影) :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 (: 잡을 포) (: 바람 풍) (: 잡을 착) (: 그림자 영) ]
  • 누진취영(陋塵吹影) :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努力)을 이르는 말. [ (: 티끌 진) (: 불 취) (: 그림자 영) ]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형왕영곡(形枉影曲) : 물건의 형체가 굽어 있으면 그 그림자도 반드시 굽는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형상 형) (: 굽을 왕) (: 그림자 영) (: 굽을 곡) ]

[掃] 쓸 소 (쓸다, 버리다, 제거하다, 토벌(討伐)하다, 바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소지황금출 획순 이미지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 (: 쓸 소) (: 땅 지) (: 누를 황) (: 쇠 금) (: 날 출) ]
  • 영락소지(零落掃地) : 지위나 부귀 따위가 쓸려 내려간 듯이 싹 없어짐. [ (: 떨어질 락) (: 쓸 소) (: 땅 지) ]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 :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룸. [ (: 꽃 화) (: 떨어질 락) (: 아니 불) (: 쓸 소) (: 달 월) (: 밝을 명) (: 사랑 애) (: 없을 무) (: 잘 면) ]

[推] 옮을 추 (옮다, 밀다, 변천함, 꾸짖다, 성(盛)한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원하추 획순 이미지 상원하추(上援下推) :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 (: 위 상) (: 당길 원) (: 아래 하) (: 옮을 추) ]
  • 퇴고(推敲) : (1)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퇴고'이다. (2)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 밀 퇴) (: 두드릴 고) ]
  •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 옮을 추) (: 마를 조) (: 있을 거) (: 축축할 습) ]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月] 달 월 (달, 달빛, 세월(歲月), 다달이, 월경(月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청월랑 획순 이미지 풍청월랑(風淸月朗) : 바람이 맑고 달이 밝다는 뜻으로, 마음이 결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맑을 청) (: 달 월) (: 밝을 랑) ]
  • 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이르는 말. [ (: 달 월) (滿: 찰 만) (: 곧 즉) (: 이지러질 휴) ]
  • 무정세월(無情歲月)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 (: 없을 무) (: 뜻 정) (: 해 세) (: 달 월) ]

[生] 날 생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 획순 이미지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 두 재) (: 날 생) (: 갈 지) (: 사람 인)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還] 돌아올 환 (돌아오다, 돌다, 영위하다, 돌아감, 뒤돌아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획순 이미지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환귀고국(還歸故國) : 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 (: 돌아올 환) (: 돌아갈 귀) (: 예 고) (: 나라 국) ]
  • 환갑(還甲) :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아올 환) (: 갑옷 갑) ]
  • 차계기환(借鷄騎還) : 닭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으로, 손님을 박대(薄待)하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 (: 빌 차) (: 닭 계) (: 말 탈 기) (: 돌아올 환) ]
  • 금의환향(錦衣還鄕) :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비단 금) (: 옷 의) (: 돌아올 환) (: 시골 향) ]

[달빛]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 획순 이미지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 갈 경) (: 밭 전) (: 묻을 매) (: 봄 춘) (: 빛 색) (: 길을 급) (: 물 수) (: 말 두) (: 달 월) (: 빛 광) ]
  • 월하빙인(月下氷人) :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달 월) (: 아래 하) (: 얼음 빙) (: 사람 인) ]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음풍농월(吟風弄月)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 (: 읊을 음) (: 바람 풍) (: 달 월) ]
  • 강구연월(康衢煙月)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 편안할 강) (: 네거리 구) (: 연기 연) (: 달 월) ]

[생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획순 이미지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포난생음욕(飽暖生淫欲) : 배부르고 따뜻하면 음탕한 욕구가 생긴다는 뜻으로, 안일한 생활을 하면 저절로 음탕한 생각을 하게 된다는 의미. [ (: 배부를 포) (: 따뜻할 난) (: 날 생) (: 음란할 음) (: 하고자 할 욕) ]
  • 절처봉생(絶處逢生) : 막다른 처지에서 삶을 만난다는 뜻으로, 아주 막다른 판에 이르면 살길이 생긴다는 의미. [ (: 끊을 절) (: 머무를 처) (: 만날 봉) (: 날 생) ]
  • 호리천리(毫釐千里) : 처음에는 근소한 차이 같지만 나중에는 아주 큰 차이가 됨. [ (: 가는 털 호) (: 다스릴 리) (: 일천 천) (: 마을 리) ]
  • 사급계생(事急計生) : 일이 다급하면 계책이 생긴다는 뜻으로, 일이 급박(急迫)하면 좋은 계책(計策)이 생겨난다는 의미. [ (: 일 사) (: 급할 급) (: 셀 계) (: 날 생) ]

[그림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몽환포영 획순 이미지 몽환포영(夢幻泡影) : 꿈, 환상, 거품, 그림자라는 뜻으로, 인생이 헛되고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꿈 몽) (: 변할 환) (: 거품 포) (: 그림자 영) ]
  • 포풍착영(捕風捉影) :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 (: 잡을 포) (: 바람 풍) (: 잡을 착) (: 그림자 영) ]
  • 누진취영(陋塵吹影) :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努力)을 이르는 말. [ (: 티끌 진) (: 불 취) (: 그림자 영) ]
  • 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山影推不出月光掃還生)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 (: 메 산) (: 그림자 영) (: 옮을 추) (: 아니 불) (: 날 출) (: 달 월) (: 빛 광) (: 쓸 소) (: 돌아올 환) (: 날 생) ]
  • 형왕영곡(形枉影曲) : 물건의 형체가 굽어 있으면 그 그림자도 반드시 굽는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형상 형) (: 굽을 왕) (: 그림자 영) (: 굽을 곡)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