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9일 금요일

현량자고: 懸梁刺股

현량자고 (懸梁刺股)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懸梁刺股 한자 뜻 풀이

  • 懸(매달 현) : 매달다, 매달리다, 걸다, 동떨어지다, 멀다. 마음이 멀어진다는 것에서 '떨어지다', '걸다', '매달다' 등의 의미 파생
  • 梁(들보 량) : 들보, 징검다리, 다리, 어량(魚梁), 양(梁). 梁(량) 본래 물 위에 나무로 만든 다리를 설치했다는 의미인데, 후에 건축물의 들보로 의미가 확대됨
  • 刺(찌를 자) : 찌르다, 나무라다, 비난함, 꾸짖음, 가시. 가시[왼쪽부분]와 칼[刀]의 결합으로 '찌르다'는 의미 생성
  • 股(넓적다리 고) : 넓적다리, 정강이, 끝, 수레의 바퀴통에 가까운 부분, 가닥지다. 무릎의 윗부분인 '넓적다리'의 의미


[刺] 찌를 자 (찌르다, 나무라다, 비난함, 꾸짖음, 가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객간인 획순 이미지 자객간인(刺客奸人)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찌를 자) (: 손 객) (: 범할 간) (: 사람 인) ]
  • 자고현량(刺股懸梁)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매달 현) (: 들보 량) ]
  • 현량자고(懸梁刺股)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들보 량)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 자초지신(刺草之臣) : 예전에, 풀을 베는 천한 신하라는 뜻으로, 평민이 임금에 대하여 자신을 낮추어 이르던 말. [ (: 찌를 자) (: 풀 초) (: 갈 지) (: 신하 신) ]
  • 망자재배(芒刺在背) : 까끄라기와 가시를 등에 지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이 아주 조마조마하고 편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까끄라기 망) (: 찌를 자) (: 있을 재) (: 등 배) ]

[懸] 매달 현 (매달다, 매달리다, 걸다, 동떨어지다, 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 획순 이미지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 매달 현)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 현권이동(懸權而動)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 (: 매달 현) (: 저울추 권) (: 말 이을 이) (: 움직일 동) ]
  • 현거지년(懸車之年) :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수레 거) (: 갈 지) (: 해 년) ]
  • 현하지변(懸河之辯) : 물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말. [ (: 매달 현) (: 강 이름 하) (: 갈 지) (: 말 잘할 변) ]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 (: 귀 이) (: 매달 현) (: 방울 령) (: 코 비) (: 매달 현) (: 방울 령) ]

[梁] 들보 량 (들보, 징검다리, 다리, 어량(魚梁), 양(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상도회 획순 이미지 양상도회(梁上塗灰)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위 상) (: 진흙 도) (: 재 회) ]
  • 동량지기(棟梁之器) :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材木)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중임을 맡을 만한 큰 인재(人材). [ (: 용마루 동) (: 들보 량) (: 갈 지) (: 그릇 기) ]
  • 하량별(河梁別) :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 강 이름 하) (: 들보 량) (: 나눌 별) ]

[股] 넓적다리 고 (넓적다리, 정강이, 끝, 수레의 바퀴통에 가까운 부분, 가닥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굉 획순 이미지 고굉(股肱) :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 (: 넓적다리 고) (: 팔 굉) ]
  • 할고충복(割股充腹) : 빈속을 채우려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먹는다는 뜻으로, 한때만 모면하려는 어리석은 잔꾀를 이르는 말. [ (: 나눌 할) (: 넓적다리 고) (: 찰 충) (: 배 복) ]
  • 자고현량(刺股懸梁)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매달 현) (: 들보 량) ]

[공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독학고루 획순 이미지 독학고루(獨學孤陋) :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 (: 홀로 독) (: 배울 학) (: 외로울 고) (: 좁을 루) ]
  • 청경우독(晴耕雨讀)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 (: 갤 청) (: 갈 경) (: 비 우) (: 읽을 독) ]
  • 파별천리(跛鼈千里) : 기우뚱거리며 가는 자라도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면 성공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절뚝발이 파) (: 자라 별) (: 일천 천) (: 마을 리) ]
  • 자고현량(刺股懸梁)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매달 현) (: 들보 량) ]
  • 현량자고(懸梁刺股)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들보 량)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다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분정족 획순 이미지 삼분정족(三分鼎足)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 석 삼) (: 나눌 분) (: 솥 정) (: 발 족) ]
  • 고굉(股肱) :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 (: 넓적다리 고) (: 팔 굉) ]
  • 하량별(河梁別) :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 강 이름 하) (: 들보 량) (: 나눌 별) ]
  • 피립기좌(跛立箕坐) : 한 발로 서거나 다리를 뻗고 앉는다는 뜻으로, 무례(無禮)하고 건방진 태도를 이르는 말. [ (: 기대설 피) (: 설 립) (: 키 기) (: 앉을 좌) ]

[분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발분망식 획순 이미지 발분망식(發憤忘食)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 필 발) (: 결낼 분) (: 잊을 망) (: 밥 식) ]
  • 자고현량(刺股懸梁)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매달 현) (: 들보 량) ]
  • 현량자고(懸梁刺股)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들보 량)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 학여불급(學如不及) :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 (: 배울 학) (: 같을 여) (: 아니 불) (: 미칠 급) ]
  • 명목장담(明目張膽) : 눈을 밝게 하고 담을 넓힌다는 뜻으로,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를 내어 일을 함. [ (: 밝을 명) (: 눈 목) (: 베풀 장) (: 쓸개 담) ]

[대들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상도회 획순 이미지 양상도회(梁上塗灰)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위 상) (: 진흙 도) (: 재 회) ]
  • 상동하우(上棟下宇) : 대들보는 위에 꼿꼿이 가로 놓였고, 서까래는 그 양편에서 밑으로 내려뜨렸다는 뜻으로, 집을 짓는 것을 이르는 말. [ (: 위 상) (: 용마루 동) (: 아래 하) (: 집 우) ]
  • 자고현량(刺股懸梁)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매달 현) (: 들보 량) ]
  • 현량자고(懸梁刺股)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들보 량) (: 찌를 자) (: 넓적다리 고) ]
  • 태산양목(泰山樑木) : 산 중(中)의 산인 태산(泰山)이나 지붕을 받치는 대들보처럼 의지(依支)가 되는 사람이나 의지(依支)할 수 있는 거룩한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클 태) (: 메 산) (: 나무 목) ]

[머리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여비봉 획순 이미지 수여비봉(首如飛蓬) :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 머리털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 [ (: 머리 수) (: 같을 여) (: 날 비) (: 쑥 봉) ]
  • 노발충관(怒髮衝冠) :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터럭 발) (: 찌를 충) (: 갓 관) ]
  • 애년(艾年) :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말. [ (: 쑥 애) (: 해 년) ]
  • 백발홍안(白髮紅顔) : 머리털은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소년처럼 붉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흰 백) (: 터럭 발) (: 붉을 홍) (: 얼굴 안) ]
  • 피발좌임(被髮左衽)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 (: 이불 피) (: 터럭 발) (: 왼 좌) (: 옷깃 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