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관징계 (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免官懲戒 한자 뜻 풀이
- 免(벗어날 면) : 벗어나다, 관 벗다, 위급한 경우를 겨우 피하거나 그런 상태에서 헤어남, 초상 때 관을 벗고 백포(白布)로 머리를 묶음, …을 아니하게 되다.
- 官(벼슬 관) : 벼슬, 벼슬아치, 마을, 일, 임금·아버지 등을 이르는 말. 대롱의 의미에서 변화되어 '주관하다', '벼슬'의 의미 파생
- 懲(혼날 징) : 혼나다, 혼내다, 징계, 그치다, 혼이 나서 잘못을 뉘우치거나 고침. 잘못한 일을 혼내준다는 의미에서 '징계하다'는 뜻 생성. '徵(징)'은 발음
- 戒(경계할 계) : 경계하다, 삼가다, 훈계, 재계(齋戒)하다, 알리다. 두 손으로 창을 높이 들고 있는 모양에서 '경계하다'는 의미 생성
[免] 벗어날 면 (벗어나다, 관 벗다, 위급한 경우를 겨우 피하거나 그런 상태에서 헤어남, 초상 때 관을 벗고 백포(白布)로 머리를 묶음, …을 아니하게 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관징계(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 (免: 벗어날 면) (官: 벼슬 관)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
- 납속면천(納粟免賤) : 조선 시대에, 곡물을 바치고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던 일. [ (納: 들일 납) (粟: 조 속) (免: 벗어날 면) (賤: 천할 천) ]
- 면백(免白) : 늙어서야 처음으로 변변치 못한 벼슬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 (免: 벗어날 면) (白: 흰 백) ]
- 재소난면(在所難免) : 어떤 처지나 일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움. [ (在: 있을 재) (所: 바 소) (難: 어려울 난) (免: 벗어날 면) ]
- 파공관면(罷工寬免) :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을 때 파공을 허락함. [ (罷: 그만둘 파) (工: 장인 공) (寬: 너그러울 관) (免: 벗어날 면) ]
[官] 벼슬 관 (벼슬, 벼슬아치, 마을, 일, 임금·아버지 등을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관유사(百官有司) :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 (百: 일백 백) (官: 벼슬 관) (有: 있을 유) (司: 맡을 사) ]
- 화관무직(華官膴職)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 (華: 빛날 화) (官: 벼슬 관) (膴: 포 무) (職: 벼슬 직) ]
- 선사상관(善事上官) : 상관을 잘 섬김. [ (善: 착할 선) (事: 일 사) (上: 위 상) (官: 벼슬 관) ]
[懲] 혼날 징 (혼나다, 혼내다, 징계, 그치다, 혼이 나서 잘못을 뉘우치거나 고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관징계(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 (免: 벗어날 면) (官: 벼슬 관)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
- 권선징악(勸善懲惡) :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 (勸: 권할 권) (善: 착할 선) (懲: 혼날 징) (惡: 악할 악) ]
- 징분질욕(懲忿窒慾) : 분한 생각을 경계하고 욕심을 막음. [ (懲: 혼날 징) (忿: 성낼 분) (窒: 막을 질) (慾: 욕심 욕) ]
- 창선징악(彰善懲惡) : 착한 일은 찬양하여 드러내고 악한 일은 징벌함. [ (彰: 밝힐 창) (善: 착할 선) (懲: 혼날 징) (惡: 악할 악) ]
- 징일여백(懲一勵百) : 한 사람을 징계하여 여러 사람을 격려함. [ (懲: 혼날 징) (一: 한 일) (百: 일백 백) ]
[戒] 경계할 계 (경계하다, 삼가다, 훈계, 재계(齋戒)하다, 알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계급승완(戒急乘緩) :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 (戒: 경계할 계) (急: 급할 급) (乘: 탈 승) (緩: 느릴 완) ]
- 단기지계(斷機之戒)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斷: 끊을 단) (機: 베틀 기) (之: 갈 지) (戒: 경계할 계) ]
- 재계목욕(齋戒沐浴) :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 (齋: 재계할 재) (戒: 경계할 계) (沐: 머리감을 목) (浴: 목욕할 욕) ]
- 지족지계(止足之戒) :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 [ (止: 그칠 지) (足: 발 족) (之: 갈 지) (戒: 경계할 계) ]
[관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관유사(百官有司) :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 (百: 일백 백) (官: 벼슬 관) (有: 있을 유) (司: 맡을 사) ]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一: 한 일) (塵: 티끌 진) (不: 아니 불) (染: 물들일 염) ]
- 사비위빈(仕非爲貧) : 관리(官吏)는 빈한해도 녹을 먹기 위(爲)해 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관리(官吏)된 사람은 德(덕)을 천하(天下)에 펴야 한다는 말. [ (仕: 벼슬 사) (非: 아닐 비) (爲: 할 위) (貧: 가난할 빈) ]
- 양수청풍(兩袖淸風) : 두 소매에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양 손 모두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는 관리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 (袖: 소매 수) (淸: 맑을 청) (風: 바람 풍) ]
- 봉고파직(封庫罷職) : 어사나 감사가 못된 짓을 많이 한 고을의 원을 파면하고 관가의 창고를 봉하여 잠금. 또는 그런 일. [ (封: 봉할 봉) (庫: 곳집 고) (罷: 그만둘 파) (職: 벼슬 직) ]
[벼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화관무직(華官膴職)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 (華: 빛날 화) (官: 벼슬 관) (膴: 포 무) (職: 벼슬 직) ]
- 계고직비(階高職卑) : 품계는 높고 벼슬은 낮음. [ (階: 섬돌 계) (高: 높을 고) (職: 벼슬 직) (卑: 낮을 비) ]
- 현거지년(懸車之年) :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 (懸: 매달 현) (車: 수레 거) (之: 갈 지) (年: 해 년) ]
- 산림처사(山林處士)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 (山: 메 산) (林: 수풀 림) (處: 머무를 처) (士: 선비 사) ]
[신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막지분(將幕之分) :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 (將: 장수 장) (幕: 막 막) (之: 갈 지) (分: 나눌 분) ]
- 칠실지우(漆室之憂) :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漆: 옻 칠) (室: 집 실) (之: 갈 지) (憂: 근심 우) ]
- 하천지배(下賤之輩) : 신분이 낮고 천한 사람의 무리. [ (下: 아래 하) (賤: 천할 천) (之: 갈 지) (輩: 무리 배) ]
- 사농공상(士農工商) :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 (士: 선비 사) (農: 농사 농) (工: 장인 공) (商: 헤아릴 상) ]
- 존비귀천(尊卑貴賤) : 사회적 지위나 신분의 높음과 낮음 또는 귀함과 천함. [ (尊: 높을 존) (卑: 낮을 비) (貴: 귀할 귀) (賤: 천할 천) ]
[자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무고부진(無故不進) :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 (無: 없을 무) (故: 예 고) (不: 아닌가 부) (進: 나아갈 진) ]
-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溫: 따뜻할 온) (凊: 서늘할 정) (定: 정할 정) (省: 살필 성) ]
- 감언지지(敢言之地) :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 (敢: 감히 감) (言: 말씀 언) (之: 갈 지) (地: 땅 지) ]
- 계체지군(繼體之君)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繼: 이을 계) (體: 몸 체) (之: 갈 지) (君: 임금 군) ]
[징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관징계(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 (免: 벗어날 면) (官: 벼슬 관)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
- 타초경사(打草驚蛇) :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打: 칠 타) (草: 풀 초) (驚: 놀랄 경) (蛇: 뱀 사) ]
- 이일경백(以一警百) : 한 사람을 벌하여 뭇사람의 경계가 되게 함. [ (以: 써 이) (一: 한 일) (警: 경계할 경) (百: 일백 백) ]
- 권선징악(勸善懲惡) :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 (勸: 권할 권) (善: 착할 선) (懲: 혼날 징) (惡: 악할 악) ]
- 형기우무형(刑期于無刑) : 형벌(刑罰)을 만드는 까닭은 악인(惡人)을 징계(懲戒)하여 또다시 죄(罪)를 지어 형벌(刑罰)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爲)한 것임. [ (刑: 형벌 형) (期: 만날 기) (于: 어조사 우) (無: 없을 무) (刑: 형벌 형) ]
[처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관징계(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 (免: 벗어날 면) (官: 벼슬 관)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
- 석고대죄(席藁待罪) : 거적을 깔고 엎드려서 임금의 처분이나 명령을 기다리던 일. [ (席: 자리 석) (藁: 짚 고) (待: 기다릴 대) (罪: 허물 죄) ]
[벼슬자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북문지탄(北門之嘆) :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 (北: 북녘 북) (門: 문 문)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
- 불환무위(不患無位) :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 (不: 아니 불) (患: 근심 환) (無: 없을 무) (位: 자리 위) ]
- 위인설관(爲人設官) : 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 [ (爲: 할 위) (人: 사람 인) (設: 베풀 설) (官: 벼슬 관) ]
- 회총시위(懷寵尸位) : 총애를 품고 헛되이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의 사랑을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직위를 도둑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懷: 품을 회) (寵: 괼 총) (尸: 주검 시) (位: 자리 위) ]
- 면관징계(免官懲戒) : 관리로서의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함. 또는 그런 처분. [ (免: 벗어날 면) (官: 벼슬 관) (懲: 혼날 징) (戒: 경계할 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