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수능간 (能手能幹)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能手能幹 한자 뜻 풀이
- 能(능할 능) : 능하다, 세 발 자라, 별 이름, 견디다, 잘하다. 갑골문에서 곰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아 곰의 재주로 인해 '능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곰'은 다리를 더해 '熊(웅)'을 만듦
- 手(손 수) : 손, 손가락, 팔, 손바닥, 힘.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
- 能(능할 능) : 능하다, 세 발 자라, 별 이름, 견디다, 잘하다. 갑골문에서 곰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아 곰의 재주로 인해 '능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곰'은 다리를 더해 '熊(웅)'을 만듦
- 幹(줄기 간) : 줄기, 우물 난간, 주관하다, 기둥, 근본.
[幹] 줄기 간 (줄기, 우물 난간, 주관하다, 기둥, 근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수능간(能手能幹)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 (能: 능할 능) (手: 손 수) (能: 능할 능) (幹: 줄기 간) ]
- 능간능수(能幹能手)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 (能: 능할 능) (幹: 줄기 간) (能: 능할 능) (手: 손 수) ]
- 정민강간(精敏强幹) : 사리(事理)에 밝고, 판단(判斷)에 민첩(敏捷)하며, 역량(力量)과 재능(才能)이 뛰어남. [ (精: 정미할 정) (敏: 재빠를 민) (强: 굳셀 강) (幹: 줄기 간) ]
- 간국지기(幹國之器) : 국가(國家)를 다스릴 기량(器量)이 있음. [ (幹: 줄기 간) (國: 나라 국) (之: 갈 지) (器: 그릇 기) ]
[手] 손 수 (손, 손가락, 팔, 손바닥, 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束: 묶을 속) (手: 손 수)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자수성가(自手成家)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 (自: 스스로 자) (手: 손 수) (成: 이룰 성) (家: 집 가) ]
- 수악한(手握汗) :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 [ (手: 손 수) (握: 쥘 악) (汗: 땀 한) ]
[能] 능할 능 (능하다, 세 발 자라, 별 이름, 견디다, 잘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문능필(能文能筆) : 글 짓는 솜씨와 글씨가 모두 능함. 또는 그런 사람. [ (能: 능할 능) (文: 글월 문) (能: 능할 능) (筆: 붓 필) ]
- 편작불능육백골(扁鵲不能肉白骨) :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 (扁: 넓적할 편) (鵲: 까치 작) (不: 아니 불) (能: 능할 능) (肉: 고기 육) (白: 흰 백) (骨: 뼈 골) ]
- 술자지능(述者之能)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 (述: 지을 술) (者: 놈 자) (之: 갈 지) (能: 능할 능) ]
- 능언앵무(能言鸚鵡) :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能: 능할 능) (言: 말씀 언) (鸚: 앵무새 앵) (鵡: 앵무새 무)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솜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문능필(能文能筆) : 글 짓는 솜씨와 글씨가 모두 능함. 또는 그런 사람. [ (能: 능할 능) (文: 글월 문) (能: 능할 능) (筆: 붓 필) ]
- 화호불성(畵虎不成)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 (畵: 그림 화) (虎: 범 호) (不: 아니 불) (成: 이룰 성) ]
- 화공지적(化工之跡) : 한울의 조화(造化)의 솜씨가 나타난 자취. [ (化: 화할 화) (工: 장인 공) (之: 갈 지) (跡: 자취 적) ]
- 동교이체(同巧異體)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 (同: 한가지 동) (巧: 공교할 교) (異: 다를 이) (體: 몸 체) ]
[익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반생반숙(半生半熟) : (1)음식이 반쯤은 설고 반쯤은 익은 상태. (2)어떤 기예가 아직 완숙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半: 반 반) (生: 날 생) (半: 반 반) (熟: 익을 숙) ]
- 경거숙로(輕車熟路) :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輕: 가벼울 경) (車: 수레 거) (熟: 익을 숙) (路: 길 로) ]
- 능수능간(能手能幹)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 (能: 능할 능) (手: 손 수) (能: 능할 능) (幹: 줄기 간) ]
- 난상토의(爛商討議) : 충분히 의견을 나누어 토의함. 또는 그런 토의. [ (商: 헤아릴 상) (討: 칠 토) (議: 의논할 의) ]
- 전불습호(傳不習乎) :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반성하는 것으로도 해석함. [ (傳: 전할 전) (不: 아니 불) (習: 익힐 습) (乎: 온 호) ]
[재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수능간(能手能幹)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 (能: 능할 능) (手: 손 수) (能: 능할 능) (幹: 줄기 간) ]
- 능간능수(能幹能手) : 일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 (能: 능할 능) (幹: 줄기 간) (能: 능할 능) (手: 손 수) ]
- 조충소기(彫蟲小技) : 벌레를 새기는 보잘것없는 솜씨라는 뜻으로, 남의 글귀를 토막토막 따다가 맞추는 서투른 재간을 이르는 말. [ (彫: 새길 조) (蟲: 벌레 충) (小: 작을 소) (技: 재주 기)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