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정유 (薄荷精油) : 박하유와 알코올을 1 대 9의 비율로 섞은 무색투명한 휘발성의 액체. 건위제, 구풍제 따위로 쓴다.
薄荷精油 한자 뜻 풀이
- 薄(엷을 박) : 엷다, 동자기둥, 풀 이름, 쪼구미, 빛 따위가 엷다.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 등의 의미 파생
- 荷(멜 하) : 메다, 연(蓮), 연꽃과의 여러해살이 물풀, 책망하다, 번거롭다.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연꽃'의 의미에서 후에 '짊어지다'로 확대되어 '짐', '메다' 등을 파생함
- 精(정미할 정) : 정미(精微)하다, 찧다, 쓿은 쌀, 그윽하다, 전일(專一)하다. 쌀을 찧어서 좁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밀하다', '자세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油(기름 유) : 기름, 윤, 광택, 윤을 내다,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 땅 속에서 나오는 끈적거리는 '기름'의 의미. '由(유)'는 발음
[油] 기름 유 (기름, 윤, 광택, 윤을 내다,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유두분면(油頭粉面) :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화장한 모습을 이르는 말. [ (油: 기름 유) (頭: 머리 두) (粉: 가루 분) (面: 낯 면) ]
- 박하정유(薄荷精油) : 박하유와 알코올을 1 대 9의 비율로 섞은 무색투명한 휘발성의 액체. 건위제, 구풍제 따위로 쓴다. [ (薄: 엷을 박) (荷: 멜 하) (精: 정미할 정) (油: 기름 유) ]
- 화상첨유(火上添油) : 불 위에 기름을 더한다는 뜻으로, 불난데 기름을 끼얹듯 화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火: 불 화) (上: 위 상) (添: 더할 첨) (油: 기름 유) ]
- 압유륜죄(壓油輪罪) : 기름을 짤 때에 깨 속에 들어 있는 벌레를 죽이는 죄(罪). [ (壓: 누를 압) (油: 기름 유) (輪: 바퀴 륜) (罪: 허물 죄) ]
- 맥수서유(麥秀黍油) : 보리의 이삭과 기장의 윤기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 (麥: 보리 맥) (秀: 빼어날 수) (黍: 기장 서) (油: 기름 유) ]
[精] 정미할 정 (정미(精微)하다, 찧다, 쓿은 쌀, 그윽하다, 전일(專一)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精: 정미할 정) (神: 신 신) (一: 한 일) (到: 이를 도) (何: 어찌 하) (事: 일 사) (不: 아니 불) (成: 이룰 성) ]
- 박이부정(博而不精) :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 (博: 넓을 박) (而: 말 이을 이) (不: 아닌가 부) (精: 정미할 정) ]
- 박이정(博而精) :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 (博: 넓을 박) (而: 말 이을 이) (精: 정미할 정) ]
- 정금양옥(精金良玉)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精: 정미할 정) (金: 쇠 금) (玉: 구슬 옥) ]
- 학업정진(學業精進) : 배우는 일에 정성(精誠)을 다해 몰두(沒頭)함. [ (學: 배울 학) (業: 업 업) (精: 정미할 정) (進: 나아갈 진) ]
[荷] 멜 하 (메다, 연(蓮), 연꽃과의 여러해살이 물풀, 책망하다, 번거롭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 (賊: 도둑 적) (反: 돌이킬 반) (荷: 멜 하) (杖: 지팡이 장) ]
- 박하정유(薄荷精油) : 박하유와 알코올을 1 대 9의 비율로 섞은 무색투명한 휘발성의 액체. 건위제, 구풍제 따위로 쓴다. [ (薄: 엷을 박) (荷: 멜 하) (精: 정미할 정) (油: 기름 유) ]
- 하화원앙(荷花鴛鴦) : 연꽃 속의 원앙이라는 뜻으로, 부부 금슬(琴瑟)이 좋은 것을 연꽃 아래 원앙이 노니는 것으로 비유하여 표현하는 말. [ (荷: 멜 하) (花: 꽃 화) (鴛: 원앙 원) (鴦: 원앙 앙) ]
- 거하적력(渠荷的歷) : 개천의 연꽃도 아름다우니 향기(香氣)를 잡아볼 만함. [ (渠: 도랑 거) (荷: 멜 하) (的: 과녁 적) (歷: 지낼 력) ]
[薄] 엷을 박 (엷다, 동자기둥, 풀 이름, 쪼구미, 빛 따위가 엷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語: 말씀 어) (言: 말씀 언) (薄: 엷을 박) (過: 지날 과) ]
-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如: 같을 여) (履: 밟을 리) (薄: 엷을 박) (氷: 얼음 빙) ]
- 후왕박래(厚往薄來) :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厚: 두터울 후) (往: 갈 왕) (薄: 엷을 박) (來: 올 래) ]
[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곡미풍협(曲眉豊頰) :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曲: 굽을 곡) (眉: 눈썹 미) (豊: 풍년 풍) (頰: 뺨 협)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梅: 매화나무 매) (妻: 아내 처) (鶴: 학 학) (子: 아들 자) ]
- 풍운월로(風雲月露) :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 (風: 바람 풍) (雲: 구름 운) (月: 달 월) (露: 이슬 로) ]
- 봉장풍월(逢場風月) : 아무 때나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시(詩)를 지음. [ (逢: 만날 봉) (場: 마당 장) (風: 바람 풍) (月: 달 월) ]
- 동기상구(同氣相求) :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 (同: 한가지 동) (氣: 기운 기) (相: 서로 상) (求: 구할 구) ]
[따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頭: 머리 두) (東: 동녘 동) (尾: 꼬리 미) (西: 서녘 서) ]
-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不: 아니 불) (夜: 밤 야) (城: 성 성) ]
- 우도할계(牛刀割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牛: 소 우) (刀: 칼 도) (割: 나눌 할) (鷄: 닭 계)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而: 말 이을 이) (忘: 잊을 망) (憂: 근심 우)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