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생지연 (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三生之緣 한자 뜻 풀이
- 三(석 삼) : 석, 자주, 세, 거듭, 셋.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生(날 생)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緣(가선 연) : 가선, 연줄, 연의(緣衣), 옷의 가장자리선, 왕후 육복(王后六服)의 한 가지. 직물의 가장자리 선의 의미에서, 다른 천과 연결성 때문에 후에 '인연(因緣)'의 의미로 확대됨
[三] 석 삼 (석, 자주, 세, 거듭, 셋)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三: 석 삼) (益: 더할 익) (友: 벗 우) ]
- 삼분정족(三分鼎足)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三: 석 삼) (分: 나눌 분) (鼎: 솥 정) (足: 발 족) ]
- 삼수갑산(三水甲山)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三: 석 삼) (水: 물 수) (甲: 갑옷 갑) (山: 메 산) ]
- 삼시도하(三豕渡河)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三: 석 삼) (豕: 돼지 시) (渡: 건널 도) (河: 강 이름 하) ]
- 재삼재사(再三再四) : 여러 번 되풀이하여. [ (再: 두 재) (三: 석 삼) (再: 두 재) (四: 넉 사) ]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殺: 죽일 살) (活: 살 활) (之: 갈 지) (權: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友: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七: 일곱 칠) (步: 걸을 보) (之: 갈 지) (才: 재주 재) ]
[生] 날 생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생지인(再生之人) : 죽을 고비를 겪은 사람. [ (再: 두 재) (生: 날 생) (之: 갈 지) (人: 사람 인)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殺: 죽일 살) (生: 날 생) (有: 있을 유) (擇: 가릴 택)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前: 앞 전) (妻: 아내 처) (所: 바 소) (生: 날 생)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億: 억 억) (萬: 일만 만) (蒼: 푸를 창) (生: 날 생)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見: 볼 견) (物: 만물 물) (生: 날 생) (心: 마음 심) ]
[緣] 가선 연 (가선, 연줄, 연의(緣衣), 옷의 가장자리선, 왕후 육복(王后六服)의 한 가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생연분(全生緣分) : 전생(前生)에서 이미 맺은 연분. [ (全: 온전할 전)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 삼생지연(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之: 갈 지) (緣: 가선 연) ]
- 무연중생(無緣衆生) : 불보살과 인연을 맺은 일이 없는 중생. [ (無: 없을 무) (緣: 가선 연) (衆: 무리 중) (生: 날 생) ]
- 천생연분(天生緣分) :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天: 하늘 천)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 복연선경(福緣善慶) : 복(福)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慶事)가 옴. [ (福: 복 복) (緣: 가선 연) (善: 착할 선) (慶: 경사 경) ]
[삼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생지연(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之: 갈 지) (緣: 가선 연) ]
- 삼생원수(三生怨讐) : 삼생에 걸쳐 인연을 끊을 수 없는 깊은 원수. [ (三: 석 삼) (生: 날 생) (怨: 원망할 원) (讐: 원수 수) ]
- 삼생기연(三生奇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기이한 인연. [ (三: 석 삼) (生: 날 생) (奇: 기이할 기) (緣: 가선 연) ]
- 삼생가약(三生佳約)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이라는 뜻으로, '약혼'을 달리 이르는 말. [ (三: 석 삼) (生: 날 생) (佳: 아름다울 가) (約: 묶을 약) ]
- 삼생연분(三生緣分)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연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생연분(全生緣分) : 전생(前生)에서 이미 맺은 연분. [ (全: 온전할 전)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 삼생지연(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之: 갈 지) (緣: 가선 연) ]
- 천생연분(天生緣分) :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天: 하늘 천)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 천생인연(天生因緣) :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 (天: 하늘 천) (生: 날 생) (因: 인할 인) (緣: 가선 연) ]
[인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악불이(善惡不二)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善: 착할 선) (惡: 악할 악) (不: 아니 불) (二: 두 이) ]
- 삼생지연(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之: 갈 지) (緣: 가선 연) ]
- 무연중생(無緣衆生) : 불보살과 인연을 맺은 일이 없는 중생. [ (無: 없을 무) (緣: 가선 연) (衆: 무리 중) (生: 날 생) ]
- 월하빙인(月下氷人) :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月: 달 월) (下: 아래 하) (氷: 얼음 빙) (人: 사람 인) ]
[부부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생지연(三生之緣)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之: 갈 지) (緣: 가선 연) ]
- 부부지간(夫婦之間) : 부부 사이. [ (夫: 지아비 부) (婦: 며느리 부) (之: 갈 지) (間: 틈 간) ]
- 부위부강(夫爲婦綱) :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夫: 지아비 부) (爲: 할 위) (婦: 며느리 부) (綱: 벼리 강) ]
- 삼생연분(三生緣分) :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 (三: 석 삼) (生: 날 생) (緣: 가선 연) (分: 나눌 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