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홍모 (泰山鴻毛) :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泰山鴻毛 한자 뜻 풀이
- 泰(클 태) : 크다, 넉넉하다, 편안하다, 너그럽다, 통하다.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鴻(큰기러기 홍) : 큰기러기, 굳세다, 번성하다, 같다, 기러기 비슷한데, 그보다 큰 물새. 기러기 종 중에서 더 큰기러기의 의미. '江(강)'은 발음 역할
- 毛(털 모) : 털, 없다, 지표(地表)에 초목이나 작물이 나다, 잘고 많은 것의 비유, 약간. 짐승의 가죽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든 동물 털이나 열매의 털까지 통칭함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寞: 쓸쓸할 막) (寞: 쓸쓸할 막) (窮: 다할 궁) (山: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荊: 모형나무 형) (山: 메 산) (之: 갈 지) (玉: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山: 메 산) (高: 높을 고) (水: 물 수) (淸: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春: 봄 춘) (山: 메 산) (如: 같을 여) (笑: 웃을 소)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山: 메 산) (容: 얼굴 용) (水: 물 수) (相: 서로 상) ]
[毛] 털 모 (털, 없다, 지표(地表)에 초목이나 작물이 나다, 잘고 많은 것의 비유, 약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시숙자(毛施淑姿) : 모(毛)는 오의 모타라는 여자(女子)이고, 시(施)는 월의 서시(西施)라는 여자(女子)인데, 모두 절세미인(絶世美人)이었음. [ (毛: 털 모) (施: 베풀 시) (淑: 맑을 숙) (姿: 맵시 자) ]
- 모직혼식(毛織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4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모직으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毛: 털 모) (織: 짤 직) (婚: 혼인할 혼) (式: 법 식) ]
- 봉모인각(鳳毛麟角) :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 (鳳: 봉새 봉) (毛: 털 모) (角: 뿔 각) ]
- 삼년구미불위황모(三年狗尾不爲黃毛) : 개 꼬리 삼년 묵어도 황모 못 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바탕이 못된 것은 세월(歲月)이 꽤 흘러도 좋아지지 않는다는 말. [ (三: 석 삼) (年: 해 년) (狗: 개 구) (尾: 꼬리 미) (不: 아니 불) (爲: 할 위) (黃: 누를 황) (毛: 털 모) ]
- 일모불발(一毛不拔) : 털 하나라도 남을 위하여 뽑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몹시 인색하고 이기적임을 이르는 말. [ (一: 한 일) (毛: 털 모) (不: 아니 불) (拔: 뺄 발) ]
[泰] 클 태 (크다, 넉넉하다, 편안하다, 너그럽다, 통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여태산(安如泰山) :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 (安: 편안할 안) (如: 같을 여) (泰: 클 태) (山: 메 산)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塵: 티끌 진) (合: 합할 합) (泰: 클 태) (山: 메 산) ]
-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 (國: 나라 국) (泰: 클 태) (民: 백성 민) (安: 편안할 안) ]
- 협태산이초북해(挾泰山以超北海) : 태산(泰山)을 끼고 북해(北海)를 뛰어 넘는다는 뜻으로, 용력(勇力)이 썩 장대(壯大)함의 비유(比喩). [ (挾: 낄 협) (泰: 클 태) (山: 메 산) (以: 써 이) (超: 넘을 초) (北: 북녘 북) (海: 바다 해) ]
- 천하태평(天下泰平) :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泰: 클 태) (平: 평평할 평) ]
[鴻] 큰기러기 홍 (큰기러기, 굳세다, 번성하다, 같다, 기러기 비슷한데, 그보다 큰 물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설니홍조(雪泥鴻爪)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雪: 눈 설) (泥: 진흙 니) (鴻: 큰기러기 홍) (爪: 손톱 조) ]
- 연홍지탄(燕鴻之歎)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燕: 제비 연) (鴻: 큰기러기 홍)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
- 홍취침주(鴻毳沈舟) : 기러기의 솜털이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많이 싸이면 큰 힘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鴻: 큰기러기 홍) (毳: 솜털 취) (沈: 잠길 침) (舟: 배 주) ]
- 어망홍리(漁網鴻離) : 고기 그물을 쳤는 데 기러기가 걸렸다는 뜻으로, (1) 구(求)하려는 것은 얻지 못하고 반대(反對)로 엉뚱한 것을 얻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2) 남의 일로 횡액을 당(當)함을 이르는 말. [ (漁: 고기잡을 어) (網: 그물 망) (鴻: 큰기러기 홍) (離: 떠날 리) ]
- 동서일월문남북홍안로(東西日月門南北鴻雁路) :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남과 북은 기러기의 길임. [ (東: 동녘 동) (西: 서녘 서) (日: 날 일) (月: 달 월) (門: 문 문) (南: 남녘 남) (北: 북녘 북) (鴻: 큰기러기 홍) (雁: 기러기 안) (路: 길 로) ]
[물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海: 바다 해) (陸: 뭍 륙) (珍: 보배 진) (味: 맛 미) ]
-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湖: 호수 호) (上: 위 상) (不: 아니 불) (鬻: 팔 육) (魚: 고기 어)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見: 볼 견) (物: 만물 물) (生: 날 생) (心: 마음 심) ]
- 조각(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爪: 손톱 조) (角: 뿔 각)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遽: 갑자기 거) (篨: 대자리 저) (戚: 겨레 척) (施: 옮을 이) ]
[태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여태산(安如泰山) :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 (安: 편안할 안) (如: 같을 여) (泰: 클 태) (山: 메 산)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塵: 티끌 진) (合: 합할 합) (泰: 클 태) (山: 메 산) ]
- 악종항대(嶽宗恒岱) : 오악(五嶽)은 동(東) 태산(泰山), 서(西) 화산(華山), 남(南) 형산(衡山), 북(北) 항산(恒山), 중(中) 숭산(嵩山)이니, 항산(恒山)과 태산(泰山)이 조종(祖宗)임. [ (嶽: 큰산 악) (宗: 마루 종) (恒: 항상 항) (岱: 대산 대) ]
- 적토성산(積土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積: 쌓을 적) (土: 흙 토) (成: 이룰 성) (山: 메 산) ]
[터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 (毫: 가는 털 호) (末: 끝 말) (爲: 할 위) (丘: 언덕 구) (山: 메 산) ]
- 간불용발(間不容髮) : (1)머리카락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주도면밀하여 빈틈이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2)사태가 매우 다급하여 여유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 (間: 틈 간) (不: 아니 불) (容: 얼굴 용) (髮: 터럭 발) ]
- 토포악발(吐哺握髮)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吐: 토할 토) (哺: 먹일 포) (握: 쥘 악) (髮: 터럭 발) ]
- 호호백발(皓皓白髮) : 밝고 밝은 흰 머리터럭이라는 뜻으로, 온통 하얗게 센 머리. 또는 그런 노인. [ (皓: 흴 호) (皓: 흴 호) (白: 흰 백) (髮: 터럭 발) ]
- 일발불백(一髮不白) : 늙은이의 머리털이 하나도 세지 않음. [ (一: 한 일) (髮: 터럭 발) (不: 아니 불) (白: 흰 백) ]
[가벼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박부허(輕薄浮虛) :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 (輕: 가벼울 경) (薄: 엷을 박) (浮: 뜰 부) (虛: 빌 허) ]
- 죄의유경(罪疑惟輕) : 죄가 의심스러우면 가벼움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죄상이 확실하지 못하여 벌의 경중을 판단하기 얼울 때는 가벼운 쪽을 따른다는 의미. [ (罪: 허물 죄) (疑: 의심할 의) (惟: 생각할 유) (輕: 가벼울 경) ]
- 만륙유경(萬戮猶輕) : 만 번 죽여도 오히려 가볍다는 뜻으로, 그만큼 죄가 매우 무거움을 이르는 말. [ (萬: 일만 만) (戮: 죽일 륙) (猶: 오히려 유) (輕: 가벼울 경) ]
- 경부(輕浮) :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 (輕: 가벼울 경) (浮: 뜰 부) ]
- 태산홍모(泰山鴻毛) :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 (泰: 클 태) (山: 메 산) (鴻: 큰기러기 홍) (毛: 털 모)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