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고절 (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雅致高節 한자 뜻 풀이
- 雅(바를 아) : 바르다,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우아하다, 좋다.
- 致(이룰 치) : 이루다, 이르다, 극치(極致), 나아가다, 적당하다. 이르다[至]와 가다[칠 복]의 결합으로 '보낸다'는 의미를 생성. 후에 이루었다는 의미에서 '이르다'는 뜻 파생
- 高(높을 고) : 높다, 높이, 높낮이, 높이다, 높게 하다. 입구와 전망대가 있는 높은 누각의 모양을 본뜬 글자
- 節(마디 절) : 마디, 절개, 규칙, 법, 예절. 대나 초목의 마디의 의미에서 후에 '절개', '규칙' 등의 의미를 파생함
[節] 마디 절 (마디, 절개, 규칙, 법, 예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원절류(開源節流) : 재원(財源)을 늘리고 지출을 줄인다는 뜻으로, 부를 이루기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原則)을 비유(比喩)한 말. [ (開: 열 개) (源: 근원 원) (節: 마디 절) (流: 흐를 류) ]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절용이애인(節用而愛人) :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 (節: 마디 절) (用: 쓸 용) (而: 말 이을 이) (愛: 사랑 애) (人: 사람 인) ]
- 양춘가절(陽春佳節) : 따뜻하고 좋은 봄철. [ (陽: 볕 양) (春: 봄 춘) (佳: 아름다울 가) (節: 마디 절) ]
- 절검지심(節儉之心) :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는 마음. [ (節: 마디 절) (儉: 검소할 검) (之: 갈 지) (心: 마음 심) ]
[致] 이룰 치 (이루다, 이르다, 극치(極致), 나아가다, 적당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심치지(專心致之) :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 (專: 오로지 전) (心: 마음 심) (致: 이룰 치) (之: 갈 지) ]
- 언행일치(言行一致) : 말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말한 대로 실행함. [ (言: 말씀 언) (行: 갈 행) (一: 한 일) (致: 이룰 치) ]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전심치지(專心致志) :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쏟아 뜻한 바를 이룸. [ (專: 오로지 전) (心: 마음 심) (致: 이룰 치) (志: 뜻 지) ]
[雅] 바를 아 (바르다,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우아하다, 좋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견지아조(堅持雅操) : 맑은 절조(節操)를 굳게 가지고 있으면 나의 도리(道理)를 극진(極盡)히 하는 것임. [ (堅: 굳을 견) (持: 가질 지) (雅: 바를 아) (操: 잡을 조) ]
- 아감(雅鑒) : 아감(雅鑑). 보아 주십시오라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쓰거나 그린 서화(書畵) 등(等)을 남에게 증정(贈呈)할 때에 쓰는 말. [ (雅: 바를 아) (鑒: 거울 감) ]
- 아감(雅鑑) : '보아주십시오' 라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쓰거나 그린 서화(書畵)들을 남에게 증정(贈呈)할 때에 쓰는 말. [ (雅: 바를 아) (鑑: 거울 감) ]
[高] 높을 고 (높다, 높이, 높낮이, 높이다, 높게 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당화각(高堂畵閣) :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롭게 꾸민 집. [ (高: 높을 고) (堂: 집 당) (畵: 그림 화) (閣: 문설주 각)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山: 메 산) (高: 높을 고) (水: 물 수) (淸: 맑을 청) ]
- 계고직비(階高職卑) : 품계는 높고 벼슬은 낮음. [ (階: 섬돌 계) (高: 높을 고) (職: 벼슬 직) (卑: 낮을 비) ]
- 고봉준령(高峯峻嶺) : 높이 솟은 산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 [ (高: 높을 고) (峯: 봉우리 봉) (峻: 높을 준) (嶺: 재 령) ]
- 고공(高拱) : (1)팔짱을 높이 낀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관계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을 이르는 말. (2)도가(道家)에서, 대법사를 이르는 말. [ (高: 높을 고) (拱: 두 손 맞잡을 공) ]
[매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三: 석 삼) (益: 더할 익) (友: 벗 우)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梅: 매화나무 매) (妻: 아내 처) (鶴: 학 학) (子: 아들 자) ]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설중군자(雪中君子) :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 (雪: 눈 설) (中: 가운데 중)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
- 빙기옥골(氷肌玉骨) :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氷: 얼음 빙) (肌: 살 기) (玉: 구슬 옥) (骨: 뼈 골) ]
[절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출천열녀(出天烈女) : 하늘이 낸 열녀라는 뜻으로, 매우 절개가 굳은 열녀를 이르는 말. [ (出: 날 출) (天: 하늘 천) (女: 여자 녀) ]
- 여송지성(如松之盛) :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 (如: 같을 여) (松: 솔 송) (之: 갈 지) (盛: 담을 성) ]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충의지심(忠義之心) :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마음. [ (忠: 충성 충) (義: 옳을 의) (之: 갈 지) (心: 마음 심) ]
- 오상고절(傲霜孤節) : 서릿발이 심한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라는 뜻으로, '국화'를 이르는 말. [ (傲: 거만할 오) (霜: 서리 상) (孤: 외로울 고) (節: 마디 절) ]
[풍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아치고절(雅致高節)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雅: 바를 아) (致: 이룰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
- 고색창연(古色蒼然) :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이 그윽함. [ (古: 예 고) (色: 빛 색) (蒼: 푸를 창) (然: 그러할 연) ]
- 화조풍월(花鳥風月) : (1)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2)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노는 일. [ (花: 꽃 화) (鳥: 새 조) (風: 바람 풍) (月: 달 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