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과득경 (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投瓜得瓊 한자 뜻 풀이
- 投(던질 투) : 던지다, 머무르다, 주다, 들이다, 덮어 가리다.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瓜(오이 과) : 오이 과. 넝쿨식물의 대표격인 '오이'나 '박'의 모양
- 得(얻을 득) : 얻다, 만족하다, 깨닫다, 맞다, 득.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瓊(옥 경) : 옥 경, 아름다운 옥 선.
[得] 얻을 득 (얻다, 만족하다, 깨닫다, 맞다, 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回: 돌 회) (避: 피할 피) (不: 아닌가 부) (得: 얻을 득) ]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득토망제(得兎忘蹄) :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 (得: 얻을 득) (兎: 토끼 토) (忘: 잊을 망) (蹄: 굽 제) ]
- 개권유득(開卷有得)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開: 열 개) (卷: 말 권) (有: 있을 유) (得: 얻을 득) ]
- 명불허득(名不虛得) :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 (名: 이름 명) (不: 아니 불) (虛: 빌 허) (得: 얻을 득) ]
[投] 던질 투 (던지다, 머무르다, 주다, 들이다, 덮어 가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투석지뢰(投石地雷) : 구덩이를 파서 폭약과 자갈을 메우고 전기로 폭발하여 돌이 날아가도록 만든 지뢰. [ (投: 던질 투) (石: 돌 석) (地: 땅 지) (雷: 우레 뢰) ]
- 배암투명(背暗投明) : 어두운 것을 등지고 밝은 것에 들어선다는 뜻으로, 그릇된 길을 버리고 바른길로 들어감을 이르는 말. [ (背: 등 배) (暗: 어두울 암) (投: 던질 투) (明: 밝을 명) ]
- 한강투석(漢江投石) : 한강에 돌 던지기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미미하여 아무런 효과를 미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漢: 한수 한) (江: 강 강) (投: 던질 투) (石: 돌 석) ]
- 투도보리(投桃報李) :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桃: 복숭아나무 도) (報: 갚을 보) (李: 오얏나무 리) ]
[瓊] 옥 경 (옥 경, 아름다운 옥 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경지옥엽(瓊枝玉葉)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瓊: 옥 경) (枝: 가지 지) (玉: 구슬 옥) (葉: 잎 엽) ]
- 경거(瓊琚) : (1)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선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존귀하고 아름다움. [ (瓊: 옥 경) (琚: 패옥 거) ]
[瓜] 오이 과 (오이 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색여삭과(色如削瓜) : 안색(顔色)이 깎은 오이와 같이 창백(蒼白)함을 이르는 말. [ (色: 빛 색) (如: 같을 여) (削: 깎을 삭) (瓜: 오이 과) ]
- 여위부과(如蝟負瓜) : 고슴도치가 오이를 짊어진 것 같다는 뜻으로, 남에게 진 빚이 많음을 이르는 말. [ (如: 같을 여) (蝟: 고슴도치 위) (負: 질 부) (瓜: 오이 과) ]
- 서과피지(西瓜皮舐) :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西: 서녘 서) (瓜: 오이 과) (皮: 가죽 피) (舐: 핥을 지) ]
- 종과득과(種瓜得瓜) :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 (種: 씨 종)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瓜: 오이 과) ]
[구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농장지희(弄璋之喜) :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璋: 반쪽 홀 장) (之: 갈 지) (喜: 기쁠 희) ]
- 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 :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 (白: 흰 백) (雲: 구름 운) (山: 메 산) (上: 위 상) (蓋: 덮을 개) (明: 밝을 명) (月: 달 월) (水: 물 수) (中: 가운데 중) (珠: 구슬 주) ]
- 해타성주(咳唾成珠)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 (咳: 기침 해) (唾: 침 타) (成: 이룰 성) (珠: 구슬 주) ]
- 화씨지벽(和氏之璧) :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 (和: 고를 화) (氏: 씨 씨) (之: 갈 지) (璧: 둥근 옥 벽) ]
[답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사중보(輕事重報) :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 (輕: 가벼울 경) (事: 일 사) (重: 무거울 중) (報: 갚을 보) ]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흠신답례(欠身答禮) : 몸을 굽혀서 답례함. 또는 그런 답례. [ (欠: 하품 흠) (身: 몸 신) (答: 대답할 답) (禮: 예도 례) ]
[두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사가망처(徙家忘妻)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徙: 옮길 사) (家: 집 가) (忘: 잊을 망) (妻: 아내 처) ]
- 북창삼우(北窓三友)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北: 북녘 북) (窓: 창 창) (三: 석 삼) (友: 벗 우) ]
- 매처학자(梅妻鶴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梅: 매화나무 매) (妻: 아내 처) (鶴: 학 학) (子: 아들 자) ]
- 언무(偃武) : 무기를 보관하여 두고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남을 이르는 말. [ (偃: 누울 언) (武: 호반 무) ]
[사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豆: 콩 두) (塞: 막을 색) (耳: 귀 이) ]
- 척촌지리(尺寸之利)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 (尺: 자 척) (寸: 마디 촌) (之: 갈 지) (利: 날카로울 리) ]
- 사소지사(些少之事) : 사소한 일. 또는 자질구레한 일. [ (些: 적을 사) (少: 적을 소) (之: 갈 지) (事: 일 사) ]
- 덕본재말(德本財末)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德)이 뿌리가 되고 재물(財物)은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임. [ (德: 덕 덕) (本: 밑 본) (財: 재물 재) (末: 끝 말) ]
[선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산호혼식(珊瑚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珊: 산호 산) (瑚: 산호 호) (婚: 혼인할 혼) (式: 법 식) ]
- 후왕박래(厚往薄來) :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厚: 두터울 후) (往: 갈 왕) (薄: 엷을 박) (來: 올 래) ]
- 차화헌불(借花獻佛)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 (借: 빌 차) (花: 꽃 화) (獻: 바칠 헌) (佛: 부처 불) ]
- 도혼식(陶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2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사기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陶: 질그릇 도) (婚: 혼인할 혼) (式: 법 식) ]
[훌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投: 던질 투) (瓜: 오이 과) (得: 얻을 득) (瓊: 옥 경) ]
- 출언유장(出言有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出: 날 출) (言: 말씀 언) (有: 있을 유) (章: 문채 장) ]
- 시부시자(是父是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是: 옳을 시) (父: 아비 부) (是: 옳을 시) (子: 아들 자) ]
- 수용산출(水湧山出)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水: 물 수) (湧: 샘솟을 용) (山: 메 산) (出: 날 출) ]
-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沐: 머리감을 목) (猴: 원숭이 후) (而: 말 이을 이) (冠: 갓 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