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12일 일요일

격종정식: 擊鐘鼎食

격종정식 (擊鐘鼎食) : 종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擊鐘鼎食 한자 뜻 풀이

  • 擊(칠 격) : 치다, 사람 이름, 쳐서 죽이다, 쳐서 꺾다, 부딪치다. 수레에서 손에 창을 들고 공격한다는 의미에서 '치다'는 의미 파생
  • 鐘(종 종) : 종, 시계(時計), 쇠북, 악기의 한 가지. 금속으로 만든 '종'인 '쇠북'의 의미
  • 鼎(솥 정) : 솥, 존귀하다, 바로, 배를 매는 말뚝, 세 발 달린 의자. 발이 세 개 달리고 위에 귀도 두 개 달린 고대에 사용하던 솥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세발솥'의 뜻을 지님. 왕위(王威)의 상징
  • 食(밥 식) : 밥, 사람 이름, 음식, 먹다, 마시다. 음식을 담는 그릇에 뚜껑까지 덮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음식물', '먹다', '밥'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부수로도 음식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擊] 칠 격 (치다, 사람 이름, 쳐서 죽이다, 쳐서 꺾다, 부딪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복공격 획순 이미지 회복공격(回復攻擊) : 빼앗긴 진지(陣地)를 다시 찾기 위(爲)한 공격(攻擊). [ (: 돌 회) (: 회복할 복) (: 칠 공) (: 칠 격) ]
  • 자장격지 획순 이미지 자장격지(自將擊之) : (1)남에게 시키지 아니하고 손수 함. (2)자기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싸움. [ (: 스스로 자) (: 장수 장) (: 칠 격) (: 갈 지) ]
  • 격절칭찬 획순 이미지 격절칭찬(擊節稱讚) :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매우 칭찬함. [ (: 칠 격) (: 마디 절) (: 일컬을 칭) (: 기릴 찬) ]
  • 포관격탁 획순 이미지 포관격탁(抱關擊柝) : 문지기와 야경이라는 뜻으로, 신분(身分)이 낮은 관리(官吏)를 이르는 말. [ (: 안을 포) (: 빗장 관) (: 칠 격) (: 열 탁) ]
  • 격절칭상 획순 이미지 격절칭상(擊節稱賞) : 무릎을 손으로 치면서 탄복하며 칭찬함. [ (: 칠 격) (: 마디 절) (: 일컬을 칭) (: 상줄 상) ]

[鐘] 종 종 (종, 시계(時計), 쇠북, 악기의 한 가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종참법 획순 이미지 삼종참법(三鐘懺法) :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 (: 석 삼) (: 종 종) (: 뉘우칠 참) (: 법 법) ]
  • 두고종례 획순 이미지 두고종례(杜槀鐘隸) : 초서(草書)를 처음으로 쓴 두고(杜槀)와 예서(隸書)를 쓴 종례(鐘隸)의 글로 비치(備置)되어 있음. [ (: 팥배나무 두) (: 마를 고) (: 종 종) (: 종 례) ]
  • 종명누진 획순 이미지 종명누진(鐘鳴漏盡) : 때를 알리는 종이 울리고 물시계의 물이 다한다는 뜻으로, 깊은 밤이나 늙고 병든 늙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종 종) (: 울 명) (: 다할 진) ]
  • 종고지락 획순 이미지 종고지락(鐘鼓之樂) : 종과 북을 치며 즐긴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화목한 정을 이르는 말. [ (: 종 종) (: 북 고) (: 갈 지) (: 즐거울 락) ]
  • 격종정식 획순 이미지 격종정식(擊鐘鼎食) : 종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 (: 칠 격) (: 종 종) (: 솥 정) (: 밥 식) ]

[食] 밥 식 (밥, 사람 이름, 음식, 먹다, 마시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단사표음 획순 이미지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사사명식 획순 이미지 사사명식(四邪命食)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 넉 사) (: 간사할 사) (: 목숨 명) (: 밥 식) ]
  • 발분망식 획순 이미지 발분망식(發憤忘食)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 필 발) (: 결낼 분) (: 잊을 망) (: 밥 식) ]
  • 계서봉황식 획순 이미지 계서봉황식(鷄棲鳳凰食) :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닭 계) (: 살 서) (: 봉새 봉) (: 봉황새 황) (: 밥 식) ]
  • 만식당육 획순 이미지 만식당육(晩食當肉) :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 (: 늦을 만) (: 밥 식) (: 마땅할 당) (: 고기 육) ]

[鼎] 솥 정 (솥, 존귀하다, 바로, 배를 매는 말뚝, 세 발 달린 의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분정족 획순 이미지 삼분정족(三分鼎足)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 석 삼) (: 나눌 분) (: 솥 정) (: 발 족) ]
  • 춘추정성 획순 이미지 춘추정성(春秋鼎盛) : 젊고 혈기가 왕성할 때. [ (: 봄 춘) (: 가을 추) (: 솥 정) (: 담을 성) ]
  • 정족지세 획순 이미지 정족지세(鼎足之勢) : 솥발처럼 셋이 맞서 대립한 형세. [ (: 솥 정) (: 발 족) (: 갈 지) (: 기세 세) ]
  • 필력강정 획순 이미지 필력강정(筆力扛鼎) : 문장의 힘이 강건함. [ (: 붓 필) (: 힘 력) (: 들 강) (: 솥 정) ]
  • 문정경중 획순 이미지 문정경중(問鼎輕重) :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왕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 [ (: 물을 문) (: 솥 정) (: 가벼울 경) (: 무거울 중) ]

[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분정족 획순 이미지 삼분정족(三分鼎足)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 석 삼) (: 나눌 분) (: 솥 정) (: 발 족) ]
  • 침선파부 획순 이미지 침선파부(沈船破釜) : 배를 가라앉히고 솥을 깨뜨리다는 뜻으로, 항우가 강물을 건넜을 때 沈船破釜하며 사졸에게 필사의 각오를 보인 고사에서 필사의 각오로 결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잠길 침) (: 배 선) (: 깨뜨릴 파) (: 가마 부) ]
  • 염지 획순 이미지 염지(染指) : 손가락을 솥 속에 넣어 국물의 맛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을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짐을 이르는 말. [ (: 물들일 염) (: 손가락 지) ]
  • 부저추신 획순 이미지 부저추신(釜底抽薪) :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 가마 부) (: 밑 저) (: 뺄 추) (: 섶나무 신) ]
  • 취구지몽 획순 이미지 취구지몽(炊臼之夢) : 절구에 밥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 (: 불땔 취) (: 절구 구) (: 갈 지) (: 꿈 몽) ]

[모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억만지심 획순 이미지 억만지심(億萬之心) : 백성마다 제각각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하나로 모아 나라를 위하여 이바지하려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억 억) (: 일만 만) (: 갈 지) (: 마음 심) ]
  • 진합태산 획순 이미지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중족측목 획순 이미지 중족측목(重足側目) : 발을 모으고 곁눈질을 한다는 뜻으로, 두 발을 모아 서서 곁눈질로 보는 것처럼 매우 두려워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 (: 무거울 중) (: 발 족) (: 곁 측) (: 눈 목) ]
  • 적토성산 획순 이미지 적토성산(積土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흙 토) (: 이룰 성) (: 메 산) ]
  • 적진성산 획순 이미지 적진성산(積塵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티끌 진) (: 이룰 성) (: 메 산) ]

[부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국안민 획순 이미지 부국안민(富國安民) :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 (: 가멸 부)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 ]
  • 망국부고 획순 이미지 망국부고(亡國富庫) : 나라를 망하게 하면서도 창고는 부유해진다는 뜻으로, 망하는 나라의 임금은 백성을 부(富)하게 하지 못하고 헛되이 자신의 창고만 가득 채운다는 의미. [ (: 잃을 망) (: 나라 국) (: 가멸 부) (: 곳집 고) ]
  • 내부외빈 획순 이미지 내부외빈(內富外貧) :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듯하나 속은 부유(富裕)함을 이르는 말. [ (: 안 내) (: 가멸 부) (: 바깥 외) (: 가난할 빈) ]
  • 지족자부 획순 이미지 지족자부(知足者富)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함. ≪노자≫ 제33장에 나오는 말이다. [ (: 알 지) (: 발 족) (: 놈 자) (: 가멸 부) ]
  • 퇴금적옥 획순 이미지 퇴금적옥(堆金積玉) : 금을 쌓고 옥을 높이 쌓는다는 뜻으로, 아주 부유해짐을 이르는 말. [ (: 언덕 퇴) (: 쇠 금) (: 쌓을 적) (: 구슬 옥) ]

[생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신지책 획순 이미지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 흡풍음로 획순 이미지 흡풍음로(吸風飮露) : 바람을 호흡하며 이슬을 마신다는 뜻으로, 신선(神仙)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숨들이쉴 흡) (: 바람 풍) (: 마실 음) (: 이슬 로) ]
  • 단사표음 획순 이미지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호구지책 획순 이미지 호구지책(糊口之策)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 풀 호) (: 입 구) (: 갈 지) (: 꾀 책) ]
  • 사사명식 획순 이미지 사사명식(四邪命食)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 넉 사) (: 간사할 사) (: 목숨 명) (: 밥 식)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