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2일 토요일

동충하초: 冬蟲夏草

동충하초 (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冬蟲夏草 한자 뜻 풀이

  • 冬(겨울 동) : 겨울, 월동(越冬), 겨울을 남. 얼음의 의미로 계절의 끝인 '겨울' 의미 생성
  • 蟲(벌레 충) : 벌레, 좀먹다, 덥다, 찌는 듯이 무더운 모양, 벌레의 피해. 벌레의 총칭에서 동물까지 확대해서 표현됨
  • 夏(여름 하) : 여름, 중국, 여름의 좌선(坐禪), 나라 이름, 크다.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상징해서 왕성하다는 의미로 계절인 '여름'을 의미함. 중국인의 의미로도 사용함
  • 草(풀 초) : 풀, 풀숲, 잡초, 풀을 베다, 천(賤)하다. 풀이 돋아난 모양인 艸(초)가 부수로 활용되자 발음 '早(조)'를 더해 별도의 글자를 만듦


[冬] 겨울 동 (겨울, 월동(越冬), 겨울을 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동설한 획순 이미지 삼동설한(三冬雪寒) :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 석 삼)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하지일동지야(夏之日冬之夜)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말. [ (: 여름 하) (: 갈 지) (: 날 일) (: 겨울 동) (: 갈 지) (: 밤 야) ]
  • 동온하정(冬溫夏凊)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 (: 겨울 동) (: 따뜻할 온) (: 여름 하) (: 서늘할 정) ]

[夏] 여름 하 (여름, 중국, 여름의 좌선(坐禪), 나라 이름, 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지일동지야 획순 이미지 하지일동지야(夏之日冬之夜)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말. [ (: 여름 하) (: 갈 지) (: 날 일) (: 겨울 동) (: 갈 지) (: 밤 야) ]
  • 동온하정(冬溫夏凊)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 (: 겨울 동) (: 따뜻할 온) (: 여름 하) (: 서늘할 정) ]
  • 하갈동구(夏葛冬裘) : 여름의 서늘한 베옷과 겨울의 따뜻한 갖옷이라는 뜻으로, 격이나 철에 맞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여름 하) (: 칡 갈) (: 겨울 동) (: 갖옷 구) ]
  • 춘하추동(春夏秋冬) :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 (: 봄 춘) (: 여름 하) (: 가을 추) (: 겨울 동) ]
  • 춘래이화백하지수엽청(春來梨花白夏至樹葉靑) : 봄이 오니 배꽃은 희게 피고, 여름이 이르니 나뭇잎이 푸르름. [ (: 봄 춘) (: 올 래) (: 꽃 화) (: 흰 백) (: 여름 하) (: 이를 지) (: 나무 수) (: 잎 엽) (: 푸를 청) ]

[草] 풀 초 (풀, 풀숲, 잡초, 풀을 베다, 천(賤)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행초언 획순 이미지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갈 행) (: 풀 초) (: 누울 언)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 짧을 단) (: 못 지) (: 외로울 고) (: 풀 초) (: 길 장) (: 통할 통) (: 저자 시) (: 구할 구) (: 날카로울 리) (: 올 래)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녹초청강상(綠草淸江上) : 푸른 풀, 맑은 강가. [ (: 풀 초) (: 맑을 청) (: 강 강) (: 위 상) ]
  • 경초(勁草) :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굳셀 경) (: 풀 초) ]

[蟲] 벌레 충 (벌레, 좀먹다, 덥다, 찌는 듯이 무더운 모양, 벌레의 피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육부출충 획순 이미지 육부출충(肉腐出蟲) : 고기가 썩어 벌레가 나온다는 뜻으로, 근본이 무너진 뒤에 화난(禍難)이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고기 육) (: 썩을 부) (: 날 출) (: 벌레 충) ]
  • 산우야명죽초충추입상(山雨夜鳴竹草蟲秋入床) : 산의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 풀벌레는 가을에 평상(平牀ㆍ平床)으로 기어 오름. [ (: 메 산) (: 비 우) (: 밤 야) (: 울 명) (: 대 죽) (: 풀 초) (: 벌레 충) (: 가을 추) (: 들 입) (: 상 상) ]
  • 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 :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 (: 새 조) (: 쫓을 축) (: 꽃 화) (: 틈 간) (: 밟을 접) (: 닭 계) (: 다툴 쟁) (: 풀 초) (: 가운데 중) (: 벌레 충) ]
  • 충비서간(蟲臂鼠肝) : 벌레의 팔과 쥐의 간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 벌레 충) (: 팔 비) (: 쥐 서) (: 간 간) ]
  • 백족지충(百足之蟲) :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일백 백) (: 발 족) (: 갈 지) (: 벌레 충) ]

[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초 획순 이미지 경초(勁草) :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굳셀 경) (: 풀 초) ]
  • 범수상초(凡樹常草) :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 (: 무릇 범) (: 나무 수) (: 항상 상) (: 풀 초) ]
  • 목석초화(木石草花) :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 (: 나무 목) (: 돌 석) (: 풀 초) (: 꽃 화) ]
  • 만화방초(萬花芳草) : 온갖 꽃과 향기로운 풀. [ (: 일만 만) (: 꽃 화) (: 꽃다울 방) (: 풀 초) ]

[겨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온정정성 획순 이미지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 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 ]
  • 삼동설한(三冬雪寒) : 눈 내리고 추운 겨울 석 달 동안. [ (: 석 삼) (: 겨울 동) (: 눈 설) (: 찰 한) ]
  • 하지일동지야(夏之日冬之夜)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말. [ (: 여름 하) (: 갈 지) (: 날 일) (: 겨울 동) (: 갈 지) (: 밤 야) ]
  • 원형이정(元亨利貞)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 (: 으뜸 원) (: 형통할 형) (: 곧을 정) ]
  • 동온하정(冬溫夏凊)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 (: 겨울 동) (: 따뜻할 온) (: 여름 하) (: 서늘할 정) ]

[기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류장화 획순 이미지 노류장화(路柳墻花) : 길가의 버드나무와 담장의 꽃이라는 뜻으로, 누구라도 꺾을 수 있는 버드나무나 꽃 같은 창부(娼婦)를 의미. [ (: 버들 류) (: 담 장) (: 꽃 화) ]
  • 해어화(解語花) :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풀 해) (: 말씀 어) (: 꽃 화) ]
  • 명화(名花) : (1)아름답기로 이름난 꽃. (2)아름다운 여자나 기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이름 명) (: 꽃 화) ]
  • 동충하초(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 (: 겨울 동) (: 벌레 충) (: 여름 하) (: 풀 초) ]
  • 화방작첩(花房作妾) : 기생을 첩(妾)으로 삼음. [ (: 꽃 화) (: 방 방) (: 지을 작) (: 첩 첩) ]

[나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탐화봉접 획순 이미지 탐화봉접(探花蜂蝶) : 꽃을 찾아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으로, 사랑하는 여자를 그리워하여 찾아가는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찾을 탐) (: 꽃 화) (: 벌 봉) (: 나비 접) ]
  • 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 :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 (: 흰 백) (: 밟을 접) (: 어지러울 분) (: 어지러울 분) (: 눈 설) (: 누를 황) (: 꾀꼬리 앵) (: 조각 편) (: 조각 편) (: 쇠 금) ]
  • 봉접수향(蜂蝶隨香) :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 (: 벌 봉) (: 나비 접) (: 따를 수) (: 향기 향) ]
  • 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 :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 (: 새 조) (: 쫓을 축) (: 꽃 화) (: 틈 간) (: 밟을 접) (: 닭 계) (: 다툴 쟁) (: 풀 초) (: 가운데 중) (: 벌레 충) ]

[따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 아니 불) (: 밤 야) (: 성 성) ]
  • 우도할계(牛刀割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 우) (: 칼 도) (: 나눌 할) (: 닭 계)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 말 이을 이) (: 잊을 망) (: 근심 우)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 줄 사) (: 패 패) (: 갈 지) (: 땅 지) ]

[매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당랑재후 획순 이미지 당랑재후(螳螂在後)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버마재비 당) (: 버마재비 랑) (: 있을 재) (: 뒤 후) ]
  • 춘와추선(春蛙秋蟬) : 봄의 개구리와 가을의 매미라는 뜻으로, 쓸모없는 언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봄 춘) (: 개구리 와) (: 가을 추) (: 매미 선) ]
  • 황작사선(黃雀伺蟬) : 참새가 매미를 엿본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장차 다가올 위태로운 재난을 인지하지 못하고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螳螂窺蟬(당랑규선)]. [ (: 누를 황) (: 참새 작) (: 엿볼 사) (: 매미 선) ]
  • 동충하초(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 (: 겨울 동) (: 벌레 충) (: 여름 하) (: 풀 초) ]
  • 당랑규선(螳螂窺蟬)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사마귀가 매미를 덮치려고 엿보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 참새가 자신을 엿보고 있음을 몰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버마재비 당) (: 버마재비 랑) (: 엿볼 규) (: 매미 선) ]

[버섯]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수마발 획순 이미지 우수마발(牛溲馬勃) : (1)질경이와 버섯류라는 뜻으로, 매우 흔하면서도 약으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가치 없는 말이나 글 또는 품질이 나빠 쓸 수 없는 약재 따위를 이르는 말. [ (: 소 우) (: 반죽할 수) (: 말 마) (: 우쩍 일어날 발) ]
  • 동충하초(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 (: 겨울 동) (: 벌레 충) (: 여름 하) (: 풀 초) ]
  • 조균부지회삭(朝菌不知晦朔) : 아침에 돋아났다가 해가 뜨면 말라죽는 버섯이 그믐과 초승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명(壽命)이 매우 짧거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버섯 균) (: 아닌가 부) (: 알 지) (: 그믐 회) (: 초하루 삭) ]

[벌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척확지굴 획순 이미지 척확지굴(蚇蠖之屈) :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다음에 몸을 펴고자 함이라는 뜻으로, 훗날에 성공을 위(爲)해 잠시 굽힘을 이르는 말. [ (: 자벌레 척) (: 자벌레 확) (: 갈 지) (: 굽을 굴) ]
  • 육부출충(肉腐出蟲) : 고기가 썩어 벌레가 나온다는 뜻으로, 근본이 무너진 뒤에 화난(禍難)이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고기 육) (: 썩을 부) (: 날 출) (: 벌레 충) ]
  • 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 :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닭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 (: 새 조) (: 쫓을 축) (: 꽃 화) (: 틈 간) (: 밟을 접) (: 닭 계) (: 다툴 쟁) (: 풀 초) (: 가운데 중) (: 벌레 충) ]
  • 아자시술(蛾子時術) :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 (: 나방 아) (: 아들 자) (: 때 시) (: 꾀 술) ]
  • 명령(螟蛉) : (1)빛깔이 푸른 나비와 나방의 애벌레. 몸빛은 녹색이다. (2)나나니가 명령(螟蛉)을 업어 기른다는 뜻으로, 타성(他姓)에서 맞아들인 양자(養子)를 이르는 말. [ (: 마디충 명) (: 잠자리 령) ]

[시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마혁과시 획순 이미지 마혁과시(馬革裹屍) : 말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말 마) (: 가죽 혁) (: 쌀 과) (: 주검 시) ]
  • 시산혈해(屍山血海) : 사람의 시체가 산같이 쌓이고 피가 바다같이 흐름을 이르는 말. [ (: 주검 시) (: 메 산) (: 피 혈) (: 바다 해) ]
  • 개관사정(蓋棺事定)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 (: 덮을 개) (: 널 관) (: 일 사) (: 정할 정) ]
  • 행시주육(行尸走肉) : 살아 있는 송장이요 걸어 다니는 고깃덩어리라는 뜻으로, 배운 것이 없어서 아무 쓸모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갈 행) (: 주검 시) (: 달릴 주) (: 고기 육) ]
  • 동충하초(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 (: 겨울 동) (: 벌레 충) (: 여름 하) (: 풀 초) ]

[실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위일체 획순 이미지 삼위일체(三位一體) :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 석 삼) (: 자리 위) (: 한 일) (: 몸 체) ]
  • 유명무실(有名無實) :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음. [ (: 있을 유) (: 이름 명) (: 없을 무) (: 열매 실) ]
  • 동충하초(冬蟲夏草) : 동충하초과의 버섯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미, 매미, 나비, 벌 따위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 붉은동충하초, 매미동충하초 따위가 있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는 뜻이다. [ (: 겨울 동) (: 벌레 충) (: 여름 하) (: 풀 초) ]
  • 법공(法空) : 모든 법인 만유(萬有)는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가짜 존재로서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 (: 법 법) (: 빌 공) ]

[여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온정정성 획순 이미지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 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 ]
  • 하지일동지야(夏之日冬之夜)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말. [ (: 여름 하) (: 갈 지) (: 날 일) (: 겨울 동) (: 갈 지) (: 밤 야) ]
  • 원형이정(元亨利貞)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 (: 으뜸 원) (: 형통할 형) (: 곧을 정) ]
  • 동온하정(冬溫夏凊)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 (: 겨울 동) (: 따뜻할 온) (: 여름 하) (: 서늘할 정) ]
  • 하갈동구(夏葛冬裘) : 여름의 서늘한 베옷과 겨울의 따뜻한 갖옷이라는 뜻으로, 격이나 철에 맞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여름 하) (: 칡 갈) (: 겨울 동) (: 갖옷 구) ]

[풀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행초언 획순 이미지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갈 행) (: 풀 초) (: 누울 언) ]
  • 경초(勁草) :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굳셀 경) (: 풀 초) ]
  • 의기소침(意氣銷沈) : 기운이 없어지고 풀이 죽음. [ (: 뜻 의) (: 기운 기) (: 녹일 소) (: 잠길 침) ]
  • 초목노생(草木怒生)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 (: 풀 초) (: 나무 목) (: 성낼 노) (: 날 생)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