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2일 화요일

한자 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49개

한자 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4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49개

  • 아 (兒) : '어린아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어린아이: 나이가 적은 아이.)
  • 가아 (佳兒) : 외모와 능력이 뛰어난 아들.
  • 가아 (家兒) :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간아 (看兒) : 아이를 돌봄.
  • 건아 (健兒) : 건강하고 씩씩한 사나이.
  • 걸아 (乞兒) : 음식을 빌어먹는 아이.
  • 고아 (孤兒) : 부모를 여의거나 부모에게 버림받아 몸 붙일 곳이 없는 아이.
  • 교아 (驕兒) : 버릇없는 아이.
  • 교아 (嬌兒) : 귀여운 남자아이.
  • 궁아 (宮兒) : 궁중에서, 심부름하던 아이.
  • 기아 (棄兒) : 길러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이 남몰래 아이를 내다 버림. 또는 그렇게 버린 아이.
  • 기아 (畸兒) : 신체의 발육이나 기능에 장애가 있어 보통 아이들과는 다른 모습으로 태어난 아이.
  • 남아 (男兒) : 남자인 아이.
  • 농아 (聾兒) : 귀가 안 들리는 아이.
  • 대아 (大兒) : 큰 아이.
  • 도아 (屠兒) : 소나 개, 돼지 따위를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도아 (盜兒) :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 도아 (掏兒) : 남의 몸이나 가방을 슬쩍 뒤져 금품을 훔치는 짓. 또는 그런 사람.
  • 돈아 (豚兒) :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동아 (筒兒) : 활과 화살을 꽂아 넣어 등에 지도록 만든 물건. 흔히 가죽으로 만드는데, 활은 반만 들어가고 화살은 아랫부분만 들어가도록 만든다.
  • 마아 (麽兒/麻兒) : 사람처럼 만든 허수아비. 진법을 연습할 때 사용하였다.
  • 망아 (亡兒) : 죽은 아이.
  • 맹아 (盲兒) : 눈먼 아이.
  • 멸아 (鱴兒) : 멸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13cm 정도이며, 등은 검푸르고 배는 은빛을 띤 백색이다. 몸은 길고 원통 모양이며 비늘은 둥글둥글하다. 연안 회유성 물고기로 플랑크톤을 주로 먹고 산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묘아 (猫兒/貓兒) : 고양이의 어린 새끼.
  • 미아 (迷兒) : 못난 아이라는 뜻으로, '가아'를 달리 이르는 말. (가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미아 (迷兒) : 길이나 집을 잃고 헤매는 아이.
  • 범아 (凡兒) : 평범한 아이.
  • 병아 (病兒) : 병에 걸린 어린아이.
  • 보아 (甫兒) : 김치나 깍두기 따위를 담는 반찬 그릇의 하나. 모양은 사발 같으나 높이가 낮고 크기가 작다.
  • 복아 (腹兒) : 포유류의 모체 안에서 자라고 있는 유체(幼體). 사람의 경우는 수태하여 2개월이 지난 뒤 인체의 모양이 분명히 된 것을 이른다.
  • 봉아 (蜂兒) : 맵시벌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날개는 짧거나 퇴화하였으며 더듬이 산란관은 길고 다리는 짧다. 나비, 파리, 잠자리 따위의 애벌레나 번데기에 기생한다. 나방살이맵시벌, 담흑납작맵시벌, 긴꼬리뾰족맵시벌, 송충잡이자루맵시벌 따위가 있다.
  • 봉아 (鳳兒) :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장차 큰 인물이 될 만한 소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분아 (分兒) : 벼슬아치들에게 연례(年例)에 따라 물품을 나누어 주던 일.
  • 빈아 (貧兒) : 가난한 집의 어린아이.
  • 사아 (死兒) : 죽은 아이.
  • 사아 (使兒) : 관청이나 회사 따위에서 잔심부름을 하는 아이.
  • 산아 (産兒) : 태어난 아이.
  • 소아 (小兒) : 나이가 적은 아이.
  • 속아 (俗兒) : 불교를 믿지 아니하는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
  • 손아 (孫兒) : 아들의 아들. 또는 딸의 아들.
  • 숙아 (塾兒) : 사숙(私塾)에서 배우는 어린 학생.
  • 아녀 (兒女) : 어린이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아동 (兒童) : 나이가 적은 아이. 대개 유치원에 다니는 나이로부터 사춘기 전의 아이를 이른다.
  • 아마 (兒馬) : 길들지 않은 작은 말.
  • 아명 (兒名) : 아이 때의 이름.
  • 아방 (兒房) : 조선 시대에, 대궐 안에서 대궐을 지키는 장수가 때때로 머물러 자던 곳.
  • 아배 (兒輩) : 아이의 무리.
  • 아성 (兒聲) : 어린아이의 소리.
  • 아손 (兒孫) : 자기의 아들과 손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자손을 이르는 말이다.
  • 아식 (兒息) :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아약 (兒弱) : 아직 덜 자란 아이. 열네 살 이하를 이른다.
  • 아역 (兒役) : 연극이나 영화에서 어린이의 역. 또는 그 역을 맡은 배우.
  • 아우 (兒憂) : 자기 집이나 친구 집 아이의 병을 이르는 말.
  • 아운 (兒暈) : '자간'(子癇)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자간: 주로 분만할 때 전신의 경련 발작과 의식 불명을 일으키는 질환. 임신 중독증 가운데 가장 중증인 형태로 사망률이 높다. 고도의 단백뇨, 부종, 고혈압 증상이 있는 고령의 초산부에게 많다.)
  • 아의 (兒衣) : '태반'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태반: 임신 중 태아와 모체의 자궁을 연결하는 기관.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배설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 아자 (兒子) : 나이가 어린 사람.
  • 아저 (兒豬) : 어린 새끼 돼지. 또는 고기로 먹을 어린 돼지.
  • 아조 (兒曹) : 예전에, 아이들을 이르던 말.
  • 아지 (兒枝) : 새로 나온 연한 줄기.
  • 아총 (兒冢) : 어린아이의 무덤.
  • 아치 (兒齒) : 늙은이의 이가 빠진 후에 다시 난 이. 오래 살 징조라고 한다.
  • 아환 (兒患) : 어린아이의 병.
  • 아훈 (兒暈) : '자간'(子癇)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자간: 주로 분만할 때 전신의 경련 발작과 의식 불명을 일으키는 질환. 임신 중독증 가운데 가장 중증인 형태로 사망률이 높다. 고도의 단백뇨, 부종, 고혈압 증상이 있는 고령의 초산부에게 많다.)
  • 아희 (兒戲) : 아이들의 장난.
  • 애아 (愛兒) : 사랑하는 어린 자식.
  • 어아 (魚兒) : 물고기 알.
  • 여아 (女兒) : 여자인 아이.
  • 역아 (逆兒) : 출산할 때, 머리부터 나오는 정상의 경우와는 달리 다리부터 나온 아이.
  • 영아 (嬰兒) : 젖을 먹는 어린아이.
  • 와아 (窩兒) : 말을 타지 않고 걸어서 하는 격구 경기에서, 땅을 사발 모양으로 파서 공을 쳐 넣는 구멍.
  • 용아 (龍兒) : '박용철'의 호. (박용철: 시인(1904~1938). 호는 용아(龍兒). 월간지 ≪시 문학≫, ≪문예 월간≫ 등을 창간하여 경향파 문학에 맞서 순수 문학 운동을 전개하였다. 애수, 회의, 상징 따위가 주조(主調)를 이룬 섬세한 감각의 시를 썼다. 저서에 ≪박용철 시선≫, ≪박용철 전집≫이 있다.)
  • 웅아 (雄兒) : 뛰어난 인물.
  • 원아 (院兒) : 육아원, 고아원과 같은 수용 시설에서 기르는 어린이.
  • 원아 (園兒) :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
  • 유아 (乳兒) : 젖을 먹는 어린아이.
  • 유아 (幼兒) :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
  • 유아 (遺兒) : 부모가 죽고 남아 있는 아이.
  • 육아 (育兒) : 어린아이를 기름.
  • 익아 (溺兒) : 옛날 중국에서, 집안이 가난한 경우에 노동에 필요한 인원 외의 어린이를 대야의 물에 얼굴을 박아 죽이던 관습.
  • 인아 (鄰兒) : 이웃집 아이.
  • 잠아 (蠶兒) : 누에나방의 애벌레. 13개의 마디로 이루어졌으며 몸에는 검은 무늬가 있다. 알에서 나올 때에는 검은 털이 있다가 뒤에 털을 벗고 잿빛이 된다. 네 번 잠잘 때마다 꺼풀을 벗고 25여 일 동안 8cm 정도 자란 다음 실을 토하여 고치를 짓는다. 고치 안에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다시 나방이 되어 나온다.
  • 접아 (蝶兒) : 나비목의 곤충 가운데 낮에 활동하는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가늘고 빛깔이 매우 아름답다. 머리에 한 쌍의 더듬이와 두 개의 겹눈이 있고 가슴에 큰 잎 모양의 두 쌍의 날개가 있다. 긴 대롱처럼 생긴 입으로 꽃의 꿀을 빨아 먹으며, 애벌레는 대개 식물을 먹는다. 전 세계에 2만여 종, 우리나라에는 250여 종이 있다.
  • 조아 (條兒) : 조선 시대에, 실로 땋아 만들어 매던 띠. 녹사(錄事), 서리(書吏), 향리(鄕吏), 별감(別監), 차비(差備), 나장(羅將), 조례(皁隷) 따위의 구실아치가 매었다.
  • 주아 (周兒) : 해금의 줄 끝을 감아 매는 부분.
  • 질아 (姪兒) : 형제자매의 자식을 이르는 말. 주로 친조카를 이른다.
  • 차아 (次兒) : 자기의 둘째 아들을 이르는 말.
  • 체아 (遞兒) : 현직을 떠난 문무관에게 계속하여서 녹봉을 주려고 만든 벼슬.
  • 총아 (寵兒) : 특별한 사랑을 받는 사람.
  • 추아 (雛兒) : 병아리 같은 아이라는 뜻으로, '풋내기'를 이르는 말. (풋내기: 경험이 없어서 일에 서투른 사람., 차분하지 못하여 객기를 잘 부리는 사람., 새로운 사람.)
  • 치아 (稚兒) : 열 살 전후의 어린아이.
  • 탁아 (託兒) : 보호자 대신 어린아이를 맡아 돌보는 일.
  • 탕아 (蕩兒) : 방탕한 사나이.
  • 태아 (胎兒) : 포유류의 모체 안에서 자라고 있는 유체(幼體). 사람의 경우는 수태하여 2개월이 지난 뒤 인체의 모양이 분명히 된 것을 이른다.
  • 통아 (筒兒/筩兒) : 짧은 화살을 쏠 때 살을 넣어서 시위에 메어 쏘는 가느다란 나무통.
  • 투아 (偸兒) :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 퉁아 (퉁兒) : → 통아. (통아: 짧은 화살을 쏠 때 살을 넣어서 시위에 메어 쏘는 가느다란 나무통.)
  • 해아 (孩兒) : 나이가 적은 아이.
  • 거대아 (巨大兒) : 출생 때의 몸무게가 4kg이 넘는 아이.


https://dict.wordrow.kr에서 兒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2년 2월 21일 월요일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 김초 (金貂) : 고려 말기의 문신(?~?). 신진 유학자의 한 사람으로, 철저한 척불론자이다. 공양왕의 숭불 사상을 통박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으나 정몽주의 변호로 죽음을 면하였다.
  • 선초 (扇貂) : 부채고리에 매어 다는 장식품.
  • 속초 (續貂) : 훌륭한 사람이나 사물에 변변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이 뒤따름.
  • 자초 (紫貂)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초구 (貂裘) : 담비의 모피로 만든 갖옷.
  • 초당 (貂璫) : 검은담비의 꼬리와 금 고리로 장식한 관이라는 뜻으로, '내시'를 이르던 말. (내시: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 속하여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 따위의 일을 맡아보던 남자. 모두 거세된 사람이었다.)
  • 초미 (貂尾) : 담비의 꼬리. 예전에 중국에서 높은 벼슬아치가 치레로 썼다.
  • 초서 (貂鼠) : 족제빗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50cm 정도이며, 짙은 갈색과 붉은 잿빛의 털이 섞여 나며 가슴은 담황색이다. 새, 쥐 따위를 잡아먹는다. 유럽과 서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초웅 (貂熊)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초피 (貂皮) : 담비 종류 동물의 모피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일반적으로 고급 모피로 인정받고 있으며 품질에 따라 검은담비의 모피인 '잘'을 상등으로 치고, 노랑담비의 모피인 '돈피'와 유럽소나무담비의 모피인 '초서피'(貂鼠皮)를 중등으로 치며, 흰담비의 모피인 '백초피'(白貂皮)를 하등으로 친다. (잘: 검은담비의 털가죽.,초서피: 유럽소나무담비의 털가죽. 털의 밑동이 푸른빛을 띤 것으로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중길로서 잘 다음으로 질이 좋다.)
  • 황초 (黃貂) : 족제빗과의 하나. 몸은 45~50cm, 꼬리는 20cm 정도이다. 족제비보다 약간 크고 누런 갈색이나 겨울에는 담색으로 변한다. 모피의 질이 좋다. 밤에 활동하며 작은 새, 들쥐, 개구리, 과실 따위를 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흑초 (黑貂)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백초서 (白貂鼠) : 족제빗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40~54cm, 꼬리의 길이는 25~32cm이다. 담비의 일종으로 몸빛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가슴이 희고 꼬리가 매우 길다. 유럽에 분포한다.
  • 백초피 (白貂皮) : 흰담비의 털가죽. 털의 끝부분이 연두색이며,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품질이 가장 나쁘다.
  • 초모필 (貂毛筆) : 담비의 털로 맨 붓.
  • 초서피 (貂鼠皮) : 유럽소나무담비의 털가죽. 털의 밑동이 푸른빛을 띤 것으로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중길로서 잘 다음으로 질이 좋다.
  • 초웅피 (貂熊皮) : 검은담비의 털가죽.
  • 흑초피 (黑貂皮) : 검은담비의 털가죽.
  • 구미속초 (狗尾續貂) : 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초하다 (續貂하다) : 훌륭한 사람이나 사물에 변변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이 뒤따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貂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민 (閩)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09년에 왕심지(王審知)가 푸저우(福州)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내분으로 945년에 남당(南唐)에 멸망하였다.
  • 민강 (閩江) : → 민장강. (민장강: 중국 푸젠성(福建省) 북부를 동남쪽으로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20km.)
  • 민강 (閩薑) : 생강을 설탕물에 조려 만든 과자.
  • 민월 (閩越) : 중국 진(秦)ㆍ한(漢) 시대에, 민장강(閩江江) 유역을 중심으로 푸젠(福建) 지방에 살던 월족(越族)이 세운 왕조.
  • 낙민학 (洛閩學) : '정주학'을 달리 이르는 말. 그 중심인물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頥)는 뤄양(洛陽) 사람이고 주자(朱子)는 민중(閩中) 사람인 데서 유래한다. 성명(性命), 이기(理氣)의 이원설을 주도하며, 주자가 완성시켰다. (정주학: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민나라 (閩나라)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09년에 왕심지(王審知)가 푸저우(福州)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내분으로 945년에 남당(南唐)에 멸망하였다.
  • 민장강 (Minjiang[閩江]江) : 중국 푸젠성(福建省) 북부를 동남쪽으로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20km.
  • 낙민지학 (洛閩之學) : '정주학'을 달리 이르는 말. 그 중심인물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頥)는 뤄양(洛陽) 사람이고 주자(朱子)는 민중(閩中) 사람인 데서 유래한다. 성명(性命), 이기(理氣)의 이원설을 주도하며, 주자가 완성시켰다. (정주학: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염락관민지학 (濂洛關閩之學) : 중국 송나라 때에, 주돈이ㆍ정호ㆍ정이ㆍ장재ㆍ주희 등이 주장한 성리학. 그들의 출신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 민저 산지 (Minzhe[閩浙]山地) : 중국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 부근에서 광둥성(廣東省)에 이르는 연해 지역. 산지가 바다에 가깝고 갑(岬)과 도서군(島嶼群)이 교차하여 대표적인 침강 해안선을 이루고 있으며 좋은 항구가 많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閩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