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6일 화요일

한자 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4개

한자 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亭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4개

  • 정 (亭) : '정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정자: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 가정 (稼亭) : '이곡'의 호. (이곡: 고려 말기의 학자(1298~1351).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충숙왕 복위 2년(1333)에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한 후, 원제(元帝)에게 건의하여 고려에서의 처녀 징발을 중지시켰다. 충렬ㆍ충선ㆍ충숙왕의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죽부인을 의인화한 가전체 작품 <죽부인전>이 ≪동문선≫에 전한다. 저서에 ≪가정집≫이 있다.)
  • 가정 (柯亭) :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피리: 구멍이 여덟 개 있고 피리서를 꽂아서 부는 목관 악기.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가 있다., 속이 빈 대에 구멍을 뚫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간정 (侃亭) : '이능화'의 호. (이능화: 사학자(1869~1943).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ㆍ상현(尙玄)ㆍ무능거사(無能居士). 1910년 국권 강탈 후에 조선사 편찬 및 종교를 비롯한 민족 문화 각 분야에 걸친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저서에 ≪조선 불교 통사≫, ≪조선 무속고(朝鮮巫俗考)≫, ≪조선 기독교 급 외교사(朝鮮基督敎及外交史)≫, ≪조선 도교사(朝鮮道敎史)≫ 따위가 있다.)
  • 강정 (江亭) : 강가에 있는 정자.
  • 객정 (客亭) : 일정한 돈을 받고 손님을 묵게 하는 집.
  • 고정 (孤亭) : 외따로 떨어져 있는 정자.
  • 구정 (丘亭) : 사람이 살지 아니하는 집.
  • 기정 (旗亭) : 예전에, 술집이나 요릿집을 이르던 말. 문밖에 기를 세워 표를 한 데서 온 말이다.
  • 난정 (蘭亭) : 중국 저장성(浙江省) 사오싱시(紹興市) 서남쪽의 란주(蘭渚)에 있던 옛 정자(亭子).
  • 누정 (樓亭) :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다정 (茶亭) : 간단한 다방.
  • 모정 (茅亭) : 짚이나 새 따위로 지붕을 인 정자.
  • 모정 (모亭) : 네모, 육모, 팔모 따위로 모가 나게 지은 정자.
  • 사정 (射亭) : 활 쏘는 사람들이 무예 수련을 위하여 활터에 세운 정자.
  • 사정 (舍亭) :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 산정 (山亭) : 산속에 지은 정자.
  • 소정 (小亭) : 작은 정자.
  • 송정 (松亭) : 솔숲 사이에 지은 정자.
  • 수정 (水亭) : 물가나 물 가운데에 지은 정자.
  • 아정 (雅亭) : '이덕무'의 호. (이덕무: 조선 후기의 학자(1741~1793). 자는 무관(懋官). 호는 형암(炯庵)ㆍ아정(雅亭)ㆍ청장관(靑莊館). 박학다식하였으며 개성이 뚜렷한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서출(庶出)이라 크게 등용되지 못하였다. 청나라에 건너가 학문을 닦고 돌아와 북학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박제가ㆍ이서구ㆍ유득공과 함께 사가(四家)라 이른다. 저서에 ≪청장관전서≫가 있다.)
  • 역정 (驛亭) : 예전에, 역참에 마련되어 있는 정자를 이르던 말.
  • 연정 (蓮亭) : 연꽃을 구경하기 위하여 연못가에 지어 놓은 정자.
  • 요정 (料亭) : 고급 요릿집.
  • 용정 (龍亭) : 나라의 옥책(玉冊), 금보(金寶) 따위의 보배를 운반할 때 쓰던 가마.
  • 원정 (園亭) : 정원에 있는 정자.
  • 이정 (離亭) : 길을 떠나는 사람을 보내는 자리.
  • 장정 (長亭) : 예전에, 먼 길을 떠나는 사람을 전송하던 곳.
  • 정각 (亭閣) :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 정독 (亭毒) : 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함.
  • 정사 (亭舍) : 경치 좋은 곳에 정자 모양으로 지어 한가히 거처하는 집.
  • 정사 (亭榭) :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 정연 (亭然) : '정연하다'의 어근. (정연하다: 솟은 모양이 우뚝하다.)
  • 정오 (亭午) : 낮 열두 시. 곧 태양이 표준 자오선을 지나는 순간을 이른다.
  • 정육 (亭育) : 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함.
  • 정자 (亭子) :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 정장 (亭障) : 변방의 요새에 설치하여 사람들이 드나드는 것을 검열하던 관문.
  • 정정 (亭亭) : '정정하다'의 어근. (정정하다: 나무 따위가 높이 솟아 우뚝하다., 늙은 몸이 굳세고 건강하다.)
  • 정주 (亭主) : 한집안의 주인.
  • 정호 (亭戶) : 옛 중국의 조세 부담 분류에서 소금의 생산에 종사하던 집. 또는 그런 사람.
  • 죽정 (竹亭) : 대로 지은 자그마한 정자.
  • 지정 (池亭) : 못가에 있는 정자.
  • 천정 (泉亭) : 샘터에 세운 정자(亭子).
  • 초정 (草亭) : 풀이나 갈대 따위로 지붕을 인 정자.
  • 초정 (楚亭) : '박제가'의 호. (박제가: 조선 후기의 실학자(1750~1805). 자는 차수(次修)ㆍ재선(在先)ㆍ수기(修其). 호는 위항도인(葦杭道人)ㆍ초정(楚亭)ㆍ정유(貞蕤).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에게 배웠으며, 이덕무ㆍ유득공 등과 함께 북학파를 이루었다. 시ㆍ그림ㆍ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에 ≪북학의≫, ≪정유고략(貞蕤稿略)≫ 따위가 있다.)
  • 춘정 (春亭) : '변계량'의 호. (변계량: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의 학자(1369~1430). 자는 거경(巨卿). 호는 춘정(春亭). 고려 말 이색의 제자로서 전교, 주부(注簿) 등의 벼슬을 지냈고, 조선 시대에 들어와 권근의 뒤를 이어 20여 년간 대제학을 맡으면서 조선 전기 관인 문학의 규범을 마련하였다. 저서에 문집 ≪춘정집(春亭集)≫이 있다.)
  • 토정 (土亭) : '이지함'의 호. (이지함: 조선 선조 때의 학자(1517~1578). 자는 형중(馨仲)ㆍ형백(馨佰). 호는 토정(土亭)ㆍ수산(水山). 벼슬은 포천(抱川), 아산(牙山)의 현감을 지냈다. 서경덕의 문인으로, 의약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음양에 능통하였다. 저서에 ≪토정비결≫ 따위가 있다.)
  • 호정 (浩亭) : '하윤'의 호. (하윤: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의 문신(1347~1416). 자는 대림(大臨). 호는 호정(浩亭). 제일 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우고 정당문학에 올랐으며, ≪동국사략≫을 편수하고 ≪태조실록≫ 편찬을 지휘하였다. 저서에 ≪호정집≫이 있다.)
  • 화정 (花亭) : 여러 가지 꽃으로 장식한 작은 정자(亭子). 부처가 탄생한 날에 강생상(降生像)을 안치하기 위하여 만든다.
  • 가정죽 (柯亭竹) : 중국 후한(後漢)의 채옹(蔡邕)이 가정관(柯亭館)의 서까래로 쓰인 대나무로 만든 피리. 매우 절묘한 소리가 났다고 한다.
  • 가정집 (稼亭集) : 고려 말기의 문신인 가정(稼亭) 이곡의 문집. 전국 각지를 시제(詩題)로 한 기행시가 많다.
  • 고석정 (孤石亭)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있는 정자.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신라 진평왕과 고려 충숙왕이 머물렀다고 한다.
  • 관가정 (觀稼亭)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江東面)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 건물. 정면 2칸, 옆면 1칸의 단층 기와지붕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경주 양동 관가정'이다. 보물 제442호.
  • 관덕정 (觀德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 2동에 있는 정자. 조선 세종 30년(1448)에 제주 목사 신숙청(辛淑晴)이 창건하였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제주 관덕정'이다. 보물 제322호.
  • 관람정 (觀纜亭) : 창덕궁 후원(後苑)의 반도지(半島池)에 있는 정자. 부채꼴의 기와지붕을 올린 굴도리집이다.
  • 금강정 (錦江亭)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정자. 세종 10년(1428)에 김복항(金福恒)이 건립하였다는 설이 있다.
  • 낙빈정 (樂賓亭) : 고려 시대에, 중국 송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지은 정자. 순천관(順天館)에 있었으며, 송나라의 사신을 맞이하여 하마연(下馬宴), 전별연(餞別宴) 따위를 베풀었다.
  • 난정기 (蘭亭記) : 중국 진(晉)나라 왕희지가 난정회의 시집에 쓴 서문.
  • 난정첩 (蘭亭帖) : 중국 진(晉)나라의 왕희지가 쓴 법첩(法帖). <난정집서>를 짓고 잠견지(蠶繭紙)에 쥐의 수염으로 만든 붓으로 썼다. 행서를 배우는 본보기가 된다.
  • 난정회 (蘭亭會) : 중국 진(晉)나라 때, 왕희지ㆍ손탁(孫綽)ㆍ사안(謝安) 등 41명이 산음(山陰) 난정에서 계연(禊宴)을 베풀며 시를 지어 읊은 모임. 목제(穆帝) 영화(永和) 9년(353) 3월 3일에 열린 이 모임에서 쓴 시를 모아 왕희지가 서문을 쓰고 <난정집서>라고 하였다.
  • 노인정 (老人亭) : 노인들이 모여 쉴 수 있도록 마련해 놓은 정자나 집, 방 따위.
  • 다정자 (茶亭子) : 차 마실 때 사용하는 기구를 벌여 놓는 탁자.
  • 단장정 (短長亭) : 길의 이수(里數)를 나타내는 말. 단정은 오 리(里)이고 장정은 십 리이다.
  • 도정역 (都亭驛) : 신라 때에, 공무로 출장 중인 벼슬아치에게 숙박 따위의 편의를 제공하던 관아. 또는 그런 제도. 경덕왕 때 경도역을 고친 것이다.
  • 망양정 (望洋亭)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해안에 있는 정자(亭子). 관동 팔경의 하나이다.
  • 면앙정 (俛仰亭) : '송순'의 호. (송순: 조선 명종 때의 문신ㆍ시인(1493~1583). 자는 수초(遂初)ㆍ성지(誠之). 호는 면앙정(俛仰亭)ㆍ기촌(企村). 우참찬을 지냈으며, 작품에 <면앙정가>, 저서에 ≪기촌집(企村集)≫ 따위가 있다.)
  • 모란정 (牡丹亭) : 중국 명나라 때에 탕현조가 지은 희곡. 남송을 배경으로 하여 두여랑(杜麗娘)이라는 처녀가 꿈속에서 언약한 청년을 사모하다가 죽고 마는데, 3년 후에 청년 유몽매(柳夢梅)가 상경 도중에 병에 걸려 우연히 그녀의 무덤 옆에 있는 절에서 요양하다가 두여랑의 망혼을 도와 다시 살리고 둘이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이다.
  • 배월정 (拜月亭) : 중국 원나라 때 관한경이 지은 희곡. 몽고가 금나라를 침범하여 일어난 전란에서 유랑하다가 우연히 맺어진 남녀의 슬픔과 기쁨, 헤어짐과 만남을 그린 것으로, 40막으로 되어 있다.
  • 사가정 (四佳亭) : '서거정'의 호. (서거정: 조선 전기의 학자(1420~1488).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ㆍ정정정(亭亭亭).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의약 따위에 정통하였고,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여 ≪경국대전≫, ≪동국통감≫ 따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저서에 ≪동인시화≫, ≪동문선≫, ≪필원잡기≫ 따위가 있다.)
  • 사각정 (四角亭) : 네모반듯한 정자.
  • 사모정 (四모亭) : 네모반듯한 정자.
  • 사정계 (射亭稧) : 활을 쏘려고 사정(射亭)에 모인 사원(射員)들로 조직한 단체. 장신(將臣), 훈척 및 세신(世臣) 가운데서 계장을 뽑고 계원은 본정(本亭) 사원 외에 사계가 없는 다른 사정의 사원도 받아들였다.
  • 사정기 (射亭旗) : 사정에 세워 활 쏘는 장소임을 알리던 깃발.
  • 사정장 (射亭長) : 활쏘기를 취미로 삼는 모임의 우두머리.
  • 사허정 (四虛亭) : 평안남도 평양 금수산 마루에 있는 대(臺)와 그 위에 있는 정자. 평양 시내를 내려다볼 수 있다.
  • 세검정 (洗劍亭)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뒤의 창의문 밖에 있는 정자. 인조반정 때에 이귀(李貴), 김유(金瑬) 등이 이곳에 모여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칼을 씻은 데서 생긴 이름이다.
  • 세검정 (洗劍亭) : 평안북도 강계군 만포에 있는 정자. 관서 팔경의 하나로, 고려 말기에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이곳에 설치한 진(鎭)의 군사들이 연회장으로 사용하였다.
  • 수북정 (水北亭) : 충청남도 부여군 백마강 절벽 위에 있는 누각. 광해군 때에 양주 목사로 있던 김흥국이 여생을 보내기 위하여 지었다.
  • 수사정 (首射亭) : 여러 사정 가운데 규모나 역사에서 으뜸가는 사정.
  • 수주정 (壽酒亭) : 나라에서 잔치를 벌일 때 술잔을 올려놓던 탁자.
  • 압구정 (狎鷗亭) : '한명회'의 호. (한명회: 조선 세조 때의 문신(1415~1487).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ㆍ사우당(四友堂). 수양 대군을 도와 김종서를 비롯한 여러 대신을 차례로 죽이고 단종을 몰아내는 데 공을 세워 좌익 공신 1등이 되었으며, 뒤에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좌절시키고 그들을 주살하도록 하였다.)
  • 연광정 (練光亭) : 평양의 대동강(大同江) 가에 있는 누각. 관서 팔경의 하나로 대동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덕암(德巖)이라는 바위 위에 있다. 조선 중종 때 허굉(許硡)이 건립하였다.
  • 연정사 (蓮亭詞) : 조선 시대의 가사(歌辭). 부귀공명을 버리고 강호에 묻혀 유유자적하는 모습을 읊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영호정 (暎湖亭) : 평안북도 초산(楚山)에 있는 정자. 압록강의 지류인 초산천(楚山川)에 면하여 있어 절경이다.
  • 오리정 (五里亭) : 오 리(里)마다 만들어 놓던 이정표.
  • 용담정 (龍潭亭) :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가정리의 구미산 아래에 있는 정각(亭閣). 천도교의 교조 최제우가 무극 대도인 천도를 깨달은 곳이다.
  • 용정자 (龍亭子) : 나라의 옥책(玉冊), 금보(金寶) 따위의 보배를 운반할 때 쓰던 가마.
  • 월송정 (越松亭)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平海邑)에 있는 정자(亭子). 관동 팔경의 하나이다.
  • 육각정 (六角亭) : 여섯 개의 기둥으로 여섯 모가 나게 지은 정자.
  • 육모정 (六모亭) : 여섯 개의 기둥으로 여섯 모가 나게 지은 정자.
  • 정과정 (鄭瓜亭) : 고려 때 문인인 정서(鄭敍)의 호인 과정(瓜亭)을 따서 붙인 곡. 악보는 대악후보에 보인다.
  • 정연히 (亭然히) : 솟은 모양이 우뚝하게.
  • 정자모 (亭子모) : 산골 논에 듬성듬성 심은 모.
  • 정정히 (亭亭히) : 나무 따위가 높이 솟아 우뚝하게.
  • 주정자 (酒亭子) : 자빡계에서 곗돈을 탈 때에 술값으로 도중(都中)에 떼어 놓는 돈.
  • 징팅산 (Jingting[敬亭]山) : 중국 안후이성(安徽省) 동남쪽, 쉬안청시(宣城市)의 북쪽에 있는 산. 중국 당나라 이백이 이곳에 암자를 지었다고 한다.
  • 창랑정 (滄浪亭) : 중국 장쑤성(江蘇省) 우현(吳縣) 성내에 있는 정자. 송나라의 소순흠(蘇舜欽)이 전씨 광릉왕에 딸린 정원에 건립한 것이다.
  • 청간정 (淸澗亭)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土城面) 해안에 있는 정자. 관동 팔경의 하나이다.
  • 청류정 (淸流亭) : 평양시 모란봉 청류 벽 위에 있는 누각. 원래는 고구려 때 쌓은 평양성 내성의 서문 자리에 있던 정해문의 누각이었다. 1624년에 청류 벽 위에 다시 세운 것을 1927년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세우고 청류 벽의 이름을 따서 이름 지었다. 누정은 앞 세 칸, 옆 두 칸이며 단익공에 합각지붕을 얹었고 간결한 모루단청을 하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亭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0월 25일 월요일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 교차 (交叉) : 생식 세포가 감수 분열을 할 때에 상동 염색체 사이에 일어나는 유전 물질의 부분적인 교환 현상.
  • 낙차 (落叉) : 인도(印度)에서 쓰는 수량(數量)의 단위. 구지(俱胝)의 백분의 일이며 십만을 이른다.
  • 목차 (木叉) : 죄를 금하고 제약하는 것. 율장(律藏)에서 설한 것으로, 소극적으로는 그른 일을 막고 나쁜 일을 멈추게 하는 힘이 되고, 적극적으로는 모든 선을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 삼차 (三叉) : 세 갈래. 또는 세 갈래로 갈림.
  • 야차 (夜叉) : 모질고 사나운 귀신의 하나.
  • 요차 (了叉) : 팔짱을 낌.
  • 육채 (肉叉) : 양식에서, 고기ㆍ생선ㆍ과일 따위를 찍어 먹거나 얹어 먹는 식탁 용구.
  • 음차 (音叉) : 일정한 진동수의 소리를 내는 기구. 'U' 자형 강철 막대의 구부러진 부분에 자루를 달아 상자 위에 붙여서 만드는데, 두드리면 일정한 진동수의 소리를 낸다. 음향 측정, 악기의 조율 따위에 쓴다.
  • 차극 (叉棘) : 성게나 극피동물의 표면에 있는 가시 모양의 기관. 끝에 굽혔다 폈다 할 수 있는 부분과 집게발 모양의 발 같은 것이 있는데, 물체를 잡는 역할을 한다.
  • 차로 (叉路) : 두 갈래로 나뉜 길.
  • 차상 (叉狀) : 서로 엇걸려 있는 모양.
  • 차선 (叉線) : 망원경 따위에 물체를 바르게 관측하도록 '+' 자로 그은 선.
  • 차수 (叉手) : 두 손을 어긋매껴 마주 잡음.
  • 차승 (叉乘) : 산가지를 써서 하는 곱셈.
  • 차환 (叉鬟) : 주인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젊은 계집종.
  • 철차 (轍叉) : 레일의 교차 부분. 또는 차량의 안전 통행을 위하여 레일의 교차 부분에 설치한 장치.
  • 협차 (夾叉) : 포격에서 탄환이 목표물의 전후 또는 좌우에 떨어졌을 때에 표적의 반대 방향으로 오차를 줄여 가면서 표적에 접근시켜 가는 일. 또는 그런 관측 사격 절차.
  • 교차가 (交叉價)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교차로 (交叉路) : 두 길이 엇갈린 곳. 또는 서로 엇갈린 길.
  • 교차맥 (交叉脈) : 크고 작은 맥파가 교대로 나타나는 일. 심장 근육의 기질적 장애가 있을 때나 심장 근육이 피로할 경우에 생긴다.
  • 교차법 (交叉法) : 한 기준선과 그 선의 양 끝에서 어떤 물체를 이은 각에 의하여 그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 교차보 (交叉보) : 일정한 각도로 서로 교차하고 있는 여러 개의 보.
  • 교차운 (交叉韻) : 한 시행(詩行)씩 걸러서 다는 운. 주로 각운에서 쓴다.
  • 교차율 (交叉率)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교차점 (交叉點)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친 곳.
  • 교차형 (交叉型) : 감수 분열 시 상동 염색체 사이의 교차에 의하여 생기는 유전자형.
  • 교찻값 (交叉값)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나차녀 (羅叉女) : 여자 나찰. 사람의 고기를 즐겨 먹으며, 큰 바다 가운데 산다고 한다.
  • 아차발 (牙叉發) : '골조풍'을 달리 이르는 말. (골조풍: 충치가 심해져 잇몸 주위가 붓고 염증이 생겨 턱뼈까지 몹시 아프게 되는 병증.)
  • 야차두 (夜叉頭) : 우엉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인후염, 홍역 초기, 해수(咳嗽) 따위에 쓰인다.
  • 차선환 (叉線環) : 망원경의 차선을 설치하는 틀.
  • 철차각 (轍叉角) : 분기기 철심의 교차점에서 힘을 받는 양쪽 옆면으로 그은 선들이 이루는 각.
  • 교차되다 (交叉되다)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치게 되다.
  • 교차뜨기 (交叉뜨기) : 뜨개질에서, 코를 서로 엇걸어 뜨는 일.
  • 교차하다 (交叉하다)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치다.
  • 금강야차 (金剛夜叉) : 오대존 명왕의 하나. 북방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항복시키는 명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으로 손에 여러 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
  • 금색야차 (金色夜叉) : 일본의 작가 오자키 고요(尾崎紅葉)가 쓴 사회 소설. 우리나라에서는 신소설인 <장한몽>으로 번안되어 널리 읽혔다.
  • 다지교차 (多枝交叉) : 다섯 갈래 이상인 교차로. 4지 교차와 비교하여 운행상의 위험도가 높고 교통 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낮다.
  • 식차마나 (式叉摩那)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식차마니 (式叉摩尼)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야차대장 (夜叉大將) : '다문천왕'을 달리 이르는 말. 야차를 통솔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다문천왕: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상(相)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寶塔)을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 요차하다 (了叉하다) : 공손히 손을 마주 잡다.
  • 차사오면 (chashao[叉燒]麵) : 중국요리의 하나. 국수를 삶아 국수의 물을 붓고, 차사오의 얇은 조각을 얹는다.
  • 차수하다 (叉手하다) : 두 손을 어긋매껴 마주 잡다.
  • 협차하다 (夾叉하다) : 포격에서 탄환이 목표물의 전후 또는 좌우에 떨어졌을 때에 표적의 반대 방향으로 오차를 줄여 가면서 표적에 접근시켜 가다.
  • 군다리야차 (軍茶利夜叉) : 팔대 명왕의 하나. 남쪽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물리치는 명왕으로, 머리 하나에 팔이 여덟으로 성난 모양을 하고 있다. 허공장보살의 화신으로 감로(甘露)의 보병(寶甁)으로써 삼매야형(三昧耶形)을 취하고 있어 감로 군다리명왕이라고도 한다. 오대존 명왕의 하나이기도 하다.
  • 금강야차법 (金剛夜叉法) : 밀교에서, 금강야차를 본존으로 하여 기도하는 수행 방법.
  • 식차마나계 (式叉摩那戒) : 식차마나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戒). 음행(淫行)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살생하지 않음, 거짓말하지 않음, 술 마시지 않음, 끼니때가 아니면 먹지 않음의 여섯 가지이다.
  • 식차마나니 (式叉摩那尼)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금강야차명왕 (金剛夜叉明王) : 오대존 명왕의 하나. 북방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항복시키는 명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으로 손에 여러 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
  • 식차마나니계 (式叉摩那尼戒) : 식차마나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戒). 음행(淫行)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살생하지 않음, 거짓말하지 않음, 술 마시지 않음, 끼니때가 아니면 먹지 않음의 여섯 가지이다.
  • 보기신경 교차 (보기神經交叉) :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스크램블 교차점 (scramble交叉點) : 교통량이 많은 교차점에서, 모든 방향의 차량을 정지시킨 뒤에 보행자가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갈 수 있도록 한 교차점.
  • 시신경 교차 (視神經交叉) : '시각교차'의 전 용어. (시각 교차: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와이형 교차 (Y形交叉) : 삼지 교차로의 한 형태로 세 방향의 도로가 서로 예각과 둔각을 이루며 형성하는 교차 형태.
  • 엑스형 교차로 (X型交叉路) : 도로가 교차할 때 직각을 이루지 아니하고 예각과 둔각을 이룬 교차로.
  • 교차 개념 (交叉槪念) : 두 개념이 근본적인 의의는 다르나, 그 외연(外延)의 일부가 같은 개념. 이를테면, '학자와 교육자', '군인과 용사', '소녀와 미인' 따위가 있다.
  • 교차 구분 (交叉區分) : 어떤 개념을 하나의 구분 원리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외연(外延)이 서로 중복되거나 엇갈리게 하는 것.
  • 교차 궁륭 (交叉穹窿) : '十' 자 모양으로 교차한 궁륭.
  • 교차 내성 (交叉耐性) : 어떤 약물에 노출되어 내성이 생긴 후에 그 약물과 화학 구조나 약리 작용이 비슷한 다른 약물에 대하여도 내성을 나타내는 일.
  • 교차 면역 (交叉免疫) : 하나의 항원이 두 종류의 병균에 작용하는 면역.
  • 교차 반응 (交叉反應) : 어떤 항원에 의하여 만들어진 항체가 그 항원과 성질이 비슷한 물질에 대하여 반응하는 일.
  • 교차 방위 (交叉方位) : 해도(海圖)의 도면상에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육지 표지물의 방위.
  • 교차 볼트 (交叉vault) : 두 개의 반원통 모양의 볼트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볼트.
  • 교차 빈도 (交叉頻度) : 일정한 염색체에서 형성된 교차점 수의 평균값. 염색체의 길이에 비례한다.
  • 교차 사격 (交叉射擊) : 한 목표에 대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하는 사격.
  • 교차 서기 (交叉서기) : 태권도에서,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의 오른쪽 앞에 옮겨 교차하는 동시에 두 무릎을 구부리면서 두 주먹을 교차하는 자세.
  • 교차 수역 (交叉水域) : 물의 흐름이 서로 만나거나 엇갈리는 지역.
  • 교차 승인 (交叉承認) : 남북한의 어느 한쪽만 승인하던 나라들이 다른 한쪽도 정식으로 승인하는 일. 미국과 일본이 북한을, 러시아와 중국이 한국을 각각 승인하여 국제 정세의 긴장 완화를 꾀하였다.
  • 교차 시험 (交叉試驗) : 수혈한 혈액이 수혈받은 사람에게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시험. 제공자의 혈구와 수용자의 혈청, 수용자의 혈구와 제공자의 혈청을 섞어서 응집 반응을 조사한다.
  • 교차 신문 (交叉訊問) : 증인 신문을 할 때에, 법원이 직접 증인에게 신문하지 않고 소송 당사자가 번갈아 신문하는 방식.
  • 교차 저항 (交叉抵抗) :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교통 흐름이 상호 잠재적인 또는 실제적인 충돌에 의하여 그 움직임이 저항을 받아 지연되는 효과.
  • 교차 책임 (交叉責任) : 두 선박이 서로의 잘못으로 충돌하였을 때에, 각 선박의 소유주가 서로 상대자에게 불법 행위로 인한 손해 배상 청구권을 가지는 일.
  • 교차 청약 (交叉請約) : 두 사람 사이에 서로 일치하는 내용의 청약을 하는 일.
  • 교차 편집 (交叉編輯) : 영화 편집의 하나.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벌어지는 인물의 극적 관계나 극적 정황의 장면을 급격하게 번갈아 가며 보여 주는 것이다.
  • 교차 효과 (交叉效果) :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부등 교차 (不等交叉) : 감수 분열 때 상동 염색체 사이에 교차가 일어날 때 상동 염색체가 정확하게 접합하지 않아서 서로 같은 염색체 부분이 교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염색체 부분이 교환되는 현상.
  • 삼차 신경 (三叉神經) : 다섯째 머릿골 신경으로, 얼굴에 분포하는 신경. 눈, 위턱, 아래턱의 세 신경으로 나뉘며 지각성의 대부분과 운동성의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시각 교차 (視覺交叉) :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음차 시계 (音叉時計) : 소리굽쇠의 진동을 이용하여 만든 전지 시계. 흔들림 기구로 전자기 굽쇠를 쓰고 태엽이나 추 대신 자그마한 전지를 동력 원천으로 쓴다.
  • 입체 교차 (立體交叉) : 도로나 선로 따위를 같은 지면 위에서 교차하지 아니하고 위아래로 분리하여 엇갈리게 하는 방식.
  • 전기 음차 (電氣音叉) : 전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도로 일정한 시간 동안 계속하여 울리게 만든 소리굽쇠.
  • 전자 음차 (電磁音叉) : 진동을 전자기적으로 지속시킨 소리굽쇠. 소리굽쇠가 일정한 진동수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정하여진 주파수의 교류를 만들어 시간의 표준에 사용한다.
  • 티형 교차 (T型交叉) : 삼지 교차의 한 형태로, 직선 도로에 다른 도로가 수직을 이루며 교차하는 형태.
  • 팔대 야차 (八大夜叉) : 다문천왕이 통솔하는 여덟 야차. 보현(普賢), 만현(滿賢), 산지(散支), 중덕(衆德), 응념(應念), 대만(大滿), 무비력(無比力), 밀엄(密嚴)을 이른다.
  • 평면 교차 (平面交叉) : 도로나 철도 따위가 같은 평면 위에서 서로 엇갈리는 일.
  • 교차 결합제 (交叉結合劑) : 선 모양의 분자 속에서 특정 원자와 원자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 생고무를 가황 고무로 만들 때 넣는 황이나 염화 황 따위이다.
  • 교차 구조물 (交叉構造物) : 물길이 골짜기, 하천, 도로, 철길, 산 따위의 장애물과 마주칠 때 이것을 지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 교차 방위법 (交叉方位法) : 배에서 두 군데 이상의 육지 목표물의 방위를 재고 그것을 해도(海圖)에 그려 그 교차점으로써 배의 현재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
  • 교차 주파수 (交叉周波數) : 확성 체계에서, 낮은 음역과 높은 음역을 담당하는 확성기의 작동 주파수를 분리하는 주파수.
  • 교차 탄력성 (交叉彈力性) :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수치.
  • 도로 교차점 (道路交叉點) : 도로가 도로 혹은 철길과 교차하는 부분.
  • 삼차 신경통 (三叉神經痛) : 삼차 신경의 분포 영역에 생기는 통증 발작. 얼굴 한쪽이 심하게 아프며 후두부나 어깨까지 아플 수도 있는데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많다.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뇌줄기에 발생한 종양이나 뇌동맥 자루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고, 다발 경화증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뇌 바닥 세동맥의 동맥 경화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음차 발진기 (音叉發振器) : 소리굽쇠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증폭한 다음 이것을 다시 소리굽쇠에 가하여 계속 발진시키는 장치. 전자석을 이용한 것으로, 저주파의 표준 발진기로 쓰인다.
  • 입체 교차로 (立體交叉路) : 도로나 철도 따위의 교차점을 위아래로 엇갈리게 만든 시설.
  • 입체 교차점 (立體交叉點) : 도로나 선로 따위가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지점.
  • 제로 교차파 (zero交叉波) : 음성의 파형을 '아'라든가 '파'라든가 하는 음절의 종류만 알 수 있을 정도로 극단으로 단순화한 것. 파형은 극히 간단한 네모파이고 진폭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일정치(一定値)로 균등화되며 원파형(原波形)이 음압 제로가 되는 시각(時刻)만이 보존된다. 전화, 음성 타이프라이터 따위에 쓴다.
  • 환상 교차로 (環狀交叉路) : 교통이 복잡한 네거리 같은 곳에 교통정리를 위하여 원형으로 만들어 놓은 교차로.
  • 남북 교차 승인 (南北交叉承認) : 남북한의 어느 한쪽만 승인하던 나라들이 다른 한쪽도 정식으로 승인하는 일. 미국과 일본이 북한을, 러시아와 중국이 한국을 각각 승인하여 국제 정세의 긴장 완화를 꾀하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叉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서 (壻/婿) : 문어체에서, '사위'를 이르는 말. (사위: 딸의 남편을 이르는 말.)
  • 손서 (孫壻/孫婿) : 손녀의 남편.
  • 자서 (姊壻/姊婿) : 손위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자서 (子壻/子婿) : 아들과 사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제서 (帝壻/帝婿) : 제왕의 사위.
  • 쾌서 (快壻/快婿) : 마음에 드는 좋은 사위.
  • 택서 (擇壻/擇婿) : 사윗감을 고름.
  • 현서 (賢壻/賢婿) : 어진 사위라는 뜻으로, 자기의 사위나 남의 사위를 높여 이르는 말.
  • 택서하다 (擇壻하다/擇婿하다) : 사윗감을 고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婿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