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6일 일요일

농과성진: 弄過成嗔

농과성진 (弄過成嗔) : (1)'농과성진'의 북한어. (2)장난도 지나치면 상대편의 노염을 사게 됨.



弄過成嗔 한자 뜻 풀이

  • 弄(희롱할 롱) : 희롱하다, 놀이, 노리개, 마음대로 다루다, 좋아하다. 손으로 구슬을 가지고 장난하는 모양에서 '희롱하다'는 의미 생성
  • 過(지날 과) :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成(이룰 성) : 이루다, 이루어지다, 다스리다, 무성하다, 중재하다.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禮(례)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 嗔(성낼 진) : 성내다, 기운이 성(盛)하다, 기운이 성한 모양. 목소리를 왕성하게 내는 것에서 '성내다'까지 파생함


[嗔] 성낼 진 (성내다, 기운이 성(盛)하다, 기운이 성한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진작소 획순 이미지 회진작소(回嗔作笑) : 성을 내었다가 슬쩍 돌리어 짐짓 웃음을 지음. [ (: 돌 회) (: 성낼 진) (: 지을 작) (: 웃을 소) ]
  • 회진작희(回嗔作喜) : 성을 내었다가 슬쩍 돌리어 기쁜 표정을 지음. [ (: 돌 회) (: 성낼 진) (: 지을 작) (: 기쁠 희) ]
  • 농과성진(弄過成嗔) : (1)'농과성진'의 북한어. (2)장난도 지나치면 상대편의 노염을 사게 됨. [ (: 지날 과) (: 이룰 성) (: 성낼 진) ]

[弄] 희롱할 롱 (희롱하다, 놀이, 노리개, 마음대로 다루다, 좋아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농장지희 획순 이미지 농장지희(弄璋之喜) :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반쪽 홀 장) (: 갈 지) (: 기쁠 희) ]
  • 음풍농월(吟風弄月)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 (: 읊을 음) (: 바람 풍) (: 달 월) ]
  • 롱가성진(弄假成眞)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 (: 거짓 가) (: 이룰 성) (: 참 진) ]

[成] 이룰 성 (이루다, 이루어지다, 다스리다, 무성하다, 중재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여낙성 획순 이미지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 정미할 정) (: 신 신) (: 한 일) (: 이를 도) (: 어찌 하) (: 일 사) (: 아니 불) (: 이룰 성) ]
  • 자수성가(自手成家)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 (: 스스로 자) (: 손 수) (: 이룰 성) (: 집 가) ]
  • 개물성무(開物成務)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 열 개) (: 만물 물) (: 이룰 성) (: 힘쓸 무) ]
  • 화호불성(畵虎不成)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 (: 그림 화) (: 범 호) (: 아니 불) (: 이룰 성) ]

[過] 지날 과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언박과 획순 이미지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 말씀 어) (: 말씀 언) (: 엷을 박) (: 지날 과)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 고칠 개) (: 지날 과) (: 옮길 천) (: 착할 선) ]
  • 개과자신(改過自新)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 고칠 개) (: 지날 과) (: 스스로 자) (: 새 신) ]
  • 과맥전대취(過麥田大醉)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 지날 과) (: 보리 맥) (: 밭 전) (: 큰 대) (: 취할 취) ]
  •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장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어혼수 획순 이미지 수어혼수(數魚混水) : 몇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 (: 셀 수) (: 고기 어) (: 섞을 혼) (: 물 수) ]
  • 마희(魔戱) : 귀신(鬼神)의 장난이라는 뜻으로, 일의 진행(進行)에서 나타나는 뜻밖의 해살을 이르는 말. [ (: 마귀 마) (: 놀 희) ]
  • 롱가성진(弄假成眞)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 (: 거짓 가) (: 이룰 성) (: 참 진) ]
  • 유희삼매(遊戱三昧) : 놀며 장난하며 삼매경에 빠진다는 뜻으로, 딴 정신이 없이 노는 데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 (: 놀 유) (: 놀 희) (: 석 삼) (: 어두울 매) ]
  • 롱와지경(弄瓦之慶) :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 (: 기와 와) (: 갈 지) (: 경사 경) ]

[상대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해전술 획순 이미지 인해전술(人海戰術) : 우수한 화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6ㆍ25 전쟁에서 중국 공산군이 썼던 전법이다. [ (: 사람 인) (: 바다 해) (: 싸움 전) (: 꾀 술) ]
  • 연막작전(煙幕作戰) :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연기 연) (: 막 막) (: 지을 작) (: 싸움 전) ]
  • 괄목상대(刮目相對) :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 (: 깎을 괄) (: 눈 목) (: 서로 상) (: 대답할 대) ]
  • 해약금(解約金) : 계약을 체결할 때에 그 계약을 해제할 권리를 갖는다는 뜻으로 상대편에게 주는 돈. 해약금을 준 자는 그 돈을 포기함으로써, 받은 자는 그 배액(倍額)을 상환함으로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 (: 풀 해) (: 묶을 약) (: 쇠 금) ]
  • 객중보체(客中寶體) : 객지에 있는 보배로운 몸이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객지에 있는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 [ (: 손 객) (: 가운데 중) (: 보배 보) (: 몸 체)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회갑: 回甲

회갑 (回甲) :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回甲 한자 뜻 풀이

  • 回(돌 회) : 돌다, 소용돌이치다, 구불구불하다, 돌아오다, 돌아나가다. 물이 소용돌이치고 있는 모양에서 '돌다'는 의미 생성
  • 甲(갑옷 갑) : 갑옷, 첫째 천간(天干), 거북의 등딱지, 껍질, 무장한 병사. 초목의 처음 나오는 모양이라서 씨의 '껍질'로 인해 '갑옷', 처음이라서 '천간의 첫 번째' 등의 의미 파생


[回] 돌 회 (돌다, 소용돌이치다, 구불구불하다, 돌아오다, 돌아나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피부득 획순 이미지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 돌 회) (: 피할 피) (: 아닌가 부) (: 얻을 득) ]
  • 자력회향(自力回向)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 스스로 자) (: 힘 력) (: 돌 회) (: 향할 향) ]
  • 기사회생(起死回生) :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 (: 일어날 기) (: 죽을 사) (: 돌 회) (: 날 생) ]
  • 회복공격(回復攻擊) : 빼앗긴 진지(陣地)를 다시 찾기 위(爲)한 공격(攻擊). [ (: 돌 회) (: 회복할 복) (: 칠 공) (: 칠 격) ]
  • 회광반조(回光反照) :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 (: 돌 회) (: 빛 광) (: 돌이킬 반) (: 비출 조) ]

[甲] 갑옷 갑 (갑옷, 첫째 천간(天干), 거북의 등딱지, 껍질, 무장한 병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수갑산 획순 이미지 삼수갑산(三水甲山)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 석 삼) (: 물 수) (: 갑옷 갑) (: 메 산) ]
  •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새 을) (: 옮을 이) ]
  • 을축갑자(乙丑甲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 (: 새 을) (: 소 축) (: 갑옷 갑) (: 아들 자) ]
  • 화갑(華甲) :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빛날 화) (: 갑옷 갑) ]
  • 갑남을녀(甲男乙女)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 (: 갑옷 갑) (: 사내 남) (: 새 을) (: 여자 녀) ]

[60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환갑 획순 이미지 환갑(還甲) :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아올 환) (: 갑옷 갑) ]
  • 회갑(回甲) :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 회) (: 갑옷 갑) ]
  • 이순지년(耳順之年) : 귀가 순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나이 60이 되어서 천지 만물의 이치를 통달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나이 60세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됨. [= 耳順(이순)] <論語(논어>. [ (: 귀 이) (: 순할 순) (: 갈 지) (: 해 년) ]

[나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야 획순 이미지 야야(爺爺) : 예전에, '아버지'를 높여 이르던 말. [ (: 아비 야) (: 아비 야) ]
  • 망년교(忘年交)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 (: 잊을 망) (: 해 년) (: 사귈 교) ]
  • 현거지년(懸車之年) :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수레 거) (: 갈 지) (: 해 년) ]
  • 강장지년(强壯之年) :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 (: 굳셀 강) (: 씩씩할 장) (: 갈 지) (: 해 년) ]
  • 이립지년(而立之年) :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말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말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 (: 말 이을 이) (: 설 립) (: 갈 지) (: 해 년) ]

[예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망륙 획순 이미지 망륙(望六) :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이르는 말. [ (: 바랄 망) (: 여섯 륙) ]
  • 망칠(望七) : 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바랄 망) (: 일곱 칠) ]
  • 환갑(還甲) :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아올 환) (: 갑옷 갑) ]
  • 회갑(回甲) :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 회) (: 갑옷 갑) ]
  • 회혼례(回婚禮) : 부부가 혼인하여 함께 맞이하는 예순 돌을 기념하는 잔치. [ (: 돌 회) (: 혼인할 혼) (: 예도 례) ]

[육십갑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을축갑자 획순 이미지 을축갑자(乙丑甲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 (: 새 을) (: 소 축) (: 갑옷 갑) (: 아들 자) ]
  • 환갑(還甲) : 육십갑자의 '갑(甲)'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아올 환) (: 갑옷 갑) ]
  • 회갑(回甲) :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돌 회) (: 갑옷 갑)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