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19일 수요일

언재호야: 焉哉乎也

언재호야 (焉哉乎也) : '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語助辭)임.



焉哉乎也 한자 뜻 풀이

  • 焉(어찌 언) : 어찌, 어조사(語助辭), 새 이름, 황색의 봉황, 이에. 머리부분 화려한 새의 의미에서 후에 의미를 잃고 문장 속 '어조사'나 '대명사' 등의 의미로 전용됨
  • 哉(어조사 재) : 어조사(語助辭), 비로소, 재앙, 처음으로. 입으로 하는 말이 끊어지는데 사용하는 '어조사'의 의미로 쓰임.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발음 (재)와 '창으로 끊는다'의 의미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음
  • 乎(온 호) : 온, …니, …거든, 은(는). 丿(별)과 兮(혜)의 결합으로 소리를 길게 끌어 속마음까지 다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어조사'로 사용됨
  • 也(잇기 야) : 잇닿다.


[乎] 온 호 (온, …니, …거든, 은(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마염태호 획순 이미지 노마염태호(老馬厭太乎) : 늙은 말이 콩 마다 하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본능적(本能的)인 욕망(慾望)은 늙는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 [ (: 말 마) (: 싫어할 염) (: 클 태) (: 온 호) ]
  •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 (: 배울 학) (: 말 이을 이) (: 때 시) (: 익힐 습) (: 갈 지) (: 아니 불) (: 또 역) (: 기쁠 열) (: 온 호) ]
  • 언재호야(焉哉乎也) : '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語助辭)임. [ (: 어찌 언) (: 어조사 재) (: 온 호) (: 잇기 야) ]
  • 전불습호(傳不習乎) :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반성하는 것으로도 해석함. [ (: 전할 전) (: 아니 불) (: 익힐 습) (: 온 호) ]
  • 확호불발(確乎不拔) : 아주 든든하고 굳세어 흔들림이 없음. [ (: 굳을 확) (: 온 호) (: 아니 불) (: 뺄 발) ]

[也] 잇기 야 (잇닿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기다야 획순 이미지 하기다야(何其多也) : 의외로 많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하) (: 그 기) (: 많을 다) (: 잇기 야) ]
  • 정자정야(政者正也) : 정(政)이라는 글자의 본뜻은 나라를 바르게 한다는 것임. [ (: 정사 정) (: 놈 자) (: 바를 정) (: 잇기 야) ]
  • 언재호야(焉哉乎也) : '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語助辭)임. [ (: 어찌 언) (: 어조사 재) (: 온 호) (: 잇기 야) ]

[哉] 어조사 재 (어조사(語助辭), 비로소, 재앙, 처음으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재지가 획순 이미지 강재지가(康哉之歌) :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 (: 편안할 강) (: 어조사 재) (: 갈 지) (: 노래 가) ]
  • 상재지탄(傷哉之歎) : 살림이 군색(窘塞)하고 가난함에 대(對)한 한탄(恨歎). [ (: 다칠 상) (: 어조사 재) (: 갈 지) (: 탄식할 탄) ]
  • 언재호야(焉哉乎也) : '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語助辭)임. [ (: 어찌 언) (: 어조사 재) (: 온 호) (: 잇기 야) ]
  • 천하언재(天何言哉) :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道)는 반드시 행(行)함. [ (: 하늘 천) (: 어찌 하) (: 말씀 언) (: 어조사 재) ]
  • 오호통재(嗚呼痛哉) : '아, 비통하다'라는 뜻으로, 슬플 때나 탄식할 때 하는 말. [ (: 탄식소리 오) (: 부를 호) (: 아플 통) (: 어조사 재) ]

[焉] 어찌 언 (어찌, 어조사(語助辭), 새 이름, 황색의 봉황, 이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감생심 획순 이미지 언감생심(焉敢生心) :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겠냐는 뜻으로, 전혀 그런 마음이 없었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언) (: 감히 감) (: 날 생) (: 마음 심) ]
  •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 : 닭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나눌 할) (: 닭 계) (: 어찌 언) (: 쓸 용) (: 소 우) (: 칼 도) ]
  • 언재호야(焉哉乎也) : '언재호야'. 이 네 글자는 어조사(語助辭)임. [ (: 어찌 언) (: 어조사 재) (: 온 호) (: 잇기 야) ]
  • 오언성마(烏焉成馬) : '烏'와 '焉'이 '馬'가 된다는 뜻으로, 글자의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여 잘못 씀을 이르는 말. [ (: 까마귀 오) (: 어찌 언) (: 이룰 성) (: 말 마) ]
  • 오불관언(吾不關焉) :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 (: 나 오) (: 아니 불) (: 빗장 관) (: 어찌 언) ]

[글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시도하 획순 이미지 삼시도하(三豕渡河)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석 삼) (: 돼지 시) (: 건널 도) (: 강 이름 하) ]
  • 거동궤(車同軌)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 수레 거) (: 한가지 동) (: 길 궤) ]
  • 목불식정(目不識丁)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 (: 눈 목) (: 아니 불) (: 알 식) (: 넷째 천간 정) ]
  • 대서특서(大書特書) :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 (: 큰 대) (: 글 서) (: 유다를 특) (: 글 서) ]
  • 서동문(書同文) :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 글 서) (: 한가지 동) (: 글월 문)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