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30일 금요일

수장적구: 搜章摘句

수장적구 (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搜章摘句 한자 뜻 풀이

  • 搜(찾을 수) : 찾다, 움직이는 모양, 사람 이름, 흐트러지다, 어지러워짐.
  • 章(문채 장) : 문채(文彩), 악곡·시문(詩文)의 한 단락, 글, 조목, 규정. '十'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완결된 단락의 의미로 후에 '시문의 한 절'이나 '법률의 조목'의 의미로 사용됨
  • 摘(딸 적) : 따다, 악기를 타다, 들추어내다, 어지럽히다, 가리키다.
  • 句(글귀 구) : 글귀, 굽다, 거리끼다, 땅 이름, 구절. 본래 갈고리로 물건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인데, 후에 문장의 '구절'의 의미로 파생됨


[句] 글귀 구 (글귀, 굽다, 거리끼다, 땅 이름, 구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편언척구 획순 이미지 편언척구(片言隻句) : 몇 마디 안 되는 짧은 말. [ (: 조각 편) (: 말씀 언) (: 외짝 척) (: 글귀 구) ]
  •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 일언반구(一言半句) : 한 마디 말과 반 구절이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말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말씀 언) (: 반 반) (: 글귀 구) ]
  • 장귀지학(長句之學) :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 (: 길 장) (: 글귀 귀) (: 갈 지) (: 배울 학) ]
  • 월장성구(月章星句) :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 달 월) (: 문채 장) (: 별 성) (: 글귀 구) ]

[搜] 찾을 수 (찾다, 움직이는 모양, 사람 이름, 흐트러지다, 어지러워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장적구 획순 이미지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摘] 딸 적 (따다, 악기를 타다, 들추어내다, 어지럽히다, 가리키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장적구 획순 이미지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 발간적복(發奸摘伏) : 숨겨져 있는 정당하지 못한 일을 밝혀냄. [ (: 필 발) (: 범할 간) (: 딸 적) (: 엎드릴 복) ]

[章] 문채 장 (문채(文彩), 악곡·시문(詩文)의 한 단락, 글, 조목, 규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출언유장 획순 이미지 출언유장(出言有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날 출) (: 말씀 언) (: 있을 유) (: 문채 장) ]
  •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 법약삼장(法約三章) :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 (: 법 법) (: 묶을 약) (: 석 삼) (: 문채 장) ]
  • 월장성구(月章星句) :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 달 월) (: 문채 장) (: 별 성) (: 글귀 구) ]
  • 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 :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文章)의(글쓰는) 붓임. [ (: 돌 석) (: 웅크릴 준) (: 씩씩할 장) (: 선비 사) (: 주먹 권) (: 봉우리 봉) (: 뾰족할 첨) (: 글월 문) (: 문채 장) (: 붓 필) ]

[구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장적구 획순 이미지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 일언반구(一言半句) : 한 마디 말과 반 구절이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말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말씀 언) (: 반 반) (: 글귀 구) ]
  • 문불가점(文不加點) : 글에 점 하나 더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글이 아주 잘되어서 흠잡을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글월 문) (: 아니 불) (: 더할 가) (: 점 점) ]
  • 시금석(試金石) : (1)귀금속의 순도를 판정하는 데 쓰는 검은색의 현무암이나 규질의 암석. 금이나 은 조각을 이 돌의 표면에 문질러 나타난 흔적의 빛깔과 표본의 금 빛깔을 비교하여 순도를 시험한다. (2)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다른 구절과 비교하여 더욱 매력적인 시구를 파악하는 데 기준이 되는, 유명 시인의 작품에서 인용한 구절을 이르는 말. [ (: 시험할 시) (: 쇠 금) (: 돌 석) ]
  • 지희지귀(知希之貴) : 아는 이가 드물어 귀하다는 뜻으로, 노자(老子)가 세상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개탄하며, 세상이 나를 아는 사람이 드무니 나 혼자 귀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 구절임. [ (: 알 지) (: 바랄 희) (: 갈 지) (: 귀할 귀) ]

[기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영세불망 획순 이미지 영세불망(永世不忘) : 영원히 잊지 아니함. [ (: 길 영) (: 인간 세) (: 아니 불) (: 잊을 망) ]
  • 박문강식(博聞强識) :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 넓을 박) (: 들을 문) (: 굳셀 강) (: 알 식) ]
  • 수장적구(搜章摘句)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 찾을 수) (: 문채 장) (: 딸 적) (: 글귀 구) ]

[문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필력종횡 획순 이미지 필력종횡(筆力縱橫) : 문장(文章)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잘 지음을 이르는 말. [ (: 붓 필) (: 힘 력) (: 늘어질 종) (: 가로 횡) ]
  • 담천조룡(談天彫龍) : 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辯論)이나 문장이 원대하고 고상함을 이르는 말. [ (: 말씀 담) (: 하늘 천) (: 새길 조) (: 용 룡) ]
  • 화이부장(和而不壯) : 온화하나 씩씩하지 않다는 뜻으로, 문장의 필치(筆致)가 온화(穩和)하기는 하나 웅장(雄壯)하지는 못하다는 의미. [ (: 고를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씩씩할 장)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 빛날 화)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열매 실) ]

[사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 획순 이미지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콩 두) (: 막을 색) (: 귀 이) ]
  • 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 보낼 송) (: 옛 구) (: 맞을 영) (: 새 신)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중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빈자일등 획순 이미지 빈자일등(貧者一燈)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가난할 빈) (: 놈 자) (: 한 일) (: 등불 등) ]
  • 인후지지(咽喉之地) : 목구멍과 같은 곳이라는 뜻으로, 매우 중요한 길목을 이르는 말. [ (: 목구멍 인) (: 목구멍 후) (: 갈 지) (: 땅 지)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