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일 화요일

흠휼지전: 欽恤之典

흠휼지전 (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欽恤之典 한자 뜻 풀이

  • 欽(공경할 흠) : 공경하다, 굽히다, 삼가다, 몸을 굽혀 다음 자세를 취함, 천자(天子)에 관한 일에 붙이는 말. 하품을 참는 모양에서 '삼가다', '공경하다' 등 생성
  • 恤(구휼할 휼) : 구휼하다, 근심, 가엾이 여기다, 돌보다, 근심함. 어려운 처지의 사람을 도와주는 마음의 의미에서 '구휼하다'는 뜻 생성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典(법 전) : 법, 책, 가르침, 의식, 바르다. 책상 위에 책을 놓은 모양에서 법, 규정 등의 의미를 생성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典] 법 전 (법, 책, 가르침, 의식, 바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축성전 획순 이미지 축성전(祝盛典) :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 (: 빌 축) (: 담을 성) (: 법 전) ]
  •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차인전적물훼필완(借人典籍勿毁必完) :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 (: 빌 차) (: 사람 인) (: 법 전) (: 문서 적) (: 말 물) (: 헐 훼) (: 반드시 필) (: 완전할 완) ]

[恤] 구휼할 휼 (구휼하다, 근심, 가엾이 여기다, 돌보다, 근심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 획순 이미지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환난상휼(患難相恤) :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 근심 환) (: 어려울 난) (: 서로 상) (: 구휼할 휼) ]
  • 안부휼궁(安富恤窮) : 부자(富者)의 마음을 편안(便安)하게 하고, 빈자를 구(救)하여 물품(物品)을 베풀어 줌. [ (: 편안할 안) (: 가멸 부) (: 구휼할 휼) (: 다할 궁) ]
  • 자유휼고(慈幼恤孤) : 어린이에 자애롭고 고아를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은혜로운 삶의 자세를 이르는 말. [ (: 사랑 자) (: 어릴 유) (: 구휼할 휼) (: 외로울 고) ]

[欽] 공경할 흠 (공경하다, 굽히다, 삼가다, 몸을 굽혀 다음 자세를 취함, 천자(天子)에 관한 일에 붙이는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 획순 이미지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흠명문사(欽明文思) : 심신을 삼가고, 도리에 밝고, 문장이 빛나고, 생각이 깊다는 뜻으로, 요임금의 덕을 기리는 말. [ (: 공경할 흠) (: 밝을 명) (: 글월 문) (: 생각할 사)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발장리 획순 이미지 다발장리(多發將吏)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 (: 많을 다) (: 필 발) (: 장수 장) (: 벼슬아치 리) ]
  • 개개복초(個個服招) : 죄를 낱낱이 자백함. [ (: 낱 개) (: 낱 개) (: 옷 복) (: 부를 초) ]
  • 호천불문(呼天不聞) :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부를 호) (: 하늘 천) (: 아니 불) (: 들을 문) ]
  • 축조발명(逐條發明) : 조목조목 따져 가면서 죄가 없음을 변명함. [ (: 쫓을 축) (: 가지 조) (: 필 발) (: 밝을 명) ]

[나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 획순 이미지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 집 당) (: 안 내) (: 이를 지) (: 친할 친) ]
  • 망국지한(亡國之恨)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 잃을 망) (: 나라 국) (: 갈 지) (: 한할 한)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 줄 사) (: 패 패) (: 갈 지) (: 땅 지) ]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 맛볼 상) (: 쓸개 담) ]

[불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 획순 이미지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형영상조(形影相弔) : 자기의 몸과 그림자가 서로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어 몹시 외로워함을 이르는 말. [ (: 형상 형) (: 그림자 영) (: 서로 상) (: 조상할 조) ]
  • 측은지심(惻隱之心) : 사단(四端)의 하나.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인의예지(仁義禮智) 가운데 인에서 우러나온다. [ (: 슬퍼할 측) (: 숨을 은) (: 갈 지) (: 마음 심) ]
  • 조민벌죄(弔民伐罪) : 불쌍한 백성(百姓)은 돕고, 죄지은 백성(百姓)은 벌(罪)주었음. [ (: 조상할 조) (: 백성 민) (: 칠 벌) (: 허물 죄) ]
  • 동병상련(同病相憐) :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오월춘추≫의 <합려내전(闔閭內傳)>에 나온다. [ (: 한가지 동) (: 병 병) (: 서로 상) (: 불쌍히여길 련) ]

[신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리박빙 획순 이미지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신종여시(愼終如始) :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일의 종말(終末)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의미. [ (: 삼갈 신) (: 끝날 종) (: 같을 여) (: 처음 시) ]

[은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 획순 이미지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역명지전(易名之典) : 임금에게서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 (: 바꿀 역) (: 이름 명) (: 갈 지) (: 법 전) ]
  • 임자지전(任子之典) :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 (: 맡길 임) (: 아들 자) (: 갈 지) (: 법 전) ]

[죄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흠휼지전 획순 이미지 흠휼지전(欽恤之典)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 (: 공경할 흠) (: 구휼할 휼) (: 갈 지) (: 법 전) ]
  • 파옥도주(破獄逃走) : 죄수가 옥을 부수고 도망감. [ (: 깨뜨릴 파) (: 옥 옥) (: 달아날 도) (: 달릴 주) ]
  • 수수상면(囚首喪面) :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 (: 가둘 수) (: 머리 수) (: 복입을 상) (: 낯 면) ]
  • 저돌희용(豬突豨勇) : (1)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 (2)중국 한(漢)나라 때에,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죄수나 가노(家奴) 등을 모아 조직한 군대. [ (: 돼지 저) (: 갑자기 돌) (: 멧돼지 희) (: 날랠 용)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