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5일 월요일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0개

  • 교차 (交叉) : 생식 세포가 감수 분열을 할 때에 상동 염색체 사이에 일어나는 유전 물질의 부분적인 교환 현상.
  • 낙차 (落叉) : 인도(印度)에서 쓰는 수량(數量)의 단위. 구지(俱胝)의 백분의 일이며 십만을 이른다.
  • 목차 (木叉) : 죄를 금하고 제약하는 것. 율장(律藏)에서 설한 것으로, 소극적으로는 그른 일을 막고 나쁜 일을 멈추게 하는 힘이 되고, 적극적으로는 모든 선을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 삼차 (三叉) : 세 갈래. 또는 세 갈래로 갈림.
  • 야차 (夜叉) : 모질고 사나운 귀신의 하나.
  • 요차 (了叉) : 팔짱을 낌.
  • 육채 (肉叉) : 양식에서, 고기ㆍ생선ㆍ과일 따위를 찍어 먹거나 얹어 먹는 식탁 용구.
  • 음차 (音叉) : 일정한 진동수의 소리를 내는 기구. 'U' 자형 강철 막대의 구부러진 부분에 자루를 달아 상자 위에 붙여서 만드는데, 두드리면 일정한 진동수의 소리를 낸다. 음향 측정, 악기의 조율 따위에 쓴다.
  • 차극 (叉棘) : 성게나 극피동물의 표면에 있는 가시 모양의 기관. 끝에 굽혔다 폈다 할 수 있는 부분과 집게발 모양의 발 같은 것이 있는데, 물체를 잡는 역할을 한다.
  • 차로 (叉路) : 두 갈래로 나뉜 길.
  • 차상 (叉狀) : 서로 엇걸려 있는 모양.
  • 차선 (叉線) : 망원경 따위에 물체를 바르게 관측하도록 '+' 자로 그은 선.
  • 차수 (叉手) : 두 손을 어긋매껴 마주 잡음.
  • 차승 (叉乘) : 산가지를 써서 하는 곱셈.
  • 차환 (叉鬟) : 주인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젊은 계집종.
  • 철차 (轍叉) : 레일의 교차 부분. 또는 차량의 안전 통행을 위하여 레일의 교차 부분에 설치한 장치.
  • 협차 (夾叉) : 포격에서 탄환이 목표물의 전후 또는 좌우에 떨어졌을 때에 표적의 반대 방향으로 오차를 줄여 가면서 표적에 접근시켜 가는 일. 또는 그런 관측 사격 절차.
  • 교차가 (交叉價)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교차로 (交叉路) : 두 길이 엇갈린 곳. 또는 서로 엇갈린 길.
  • 교차맥 (交叉脈) : 크고 작은 맥파가 교대로 나타나는 일. 심장 근육의 기질적 장애가 있을 때나 심장 근육이 피로할 경우에 생긴다.
  • 교차법 (交叉法) : 한 기준선과 그 선의 양 끝에서 어떤 물체를 이은 각에 의하여 그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 교차보 (交叉보) : 일정한 각도로 서로 교차하고 있는 여러 개의 보.
  • 교차운 (交叉韻) : 한 시행(詩行)씩 걸러서 다는 운. 주로 각운에서 쓴다.
  • 교차율 (交叉率)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교차점 (交叉點)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친 곳.
  • 교차형 (交叉型) : 감수 분열 시 상동 염색체 사이의 교차에 의하여 생기는 유전자형.
  • 교찻값 (交叉값) : 감수 분열 때에 유전자의 교차가 일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나차녀 (羅叉女) : 여자 나찰. 사람의 고기를 즐겨 먹으며, 큰 바다 가운데 산다고 한다.
  • 아차발 (牙叉發) : '골조풍'을 달리 이르는 말. (골조풍: 충치가 심해져 잇몸 주위가 붓고 염증이 생겨 턱뼈까지 몹시 아프게 되는 병증.)
  • 야차두 (夜叉頭) : 우엉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인후염, 홍역 초기, 해수(咳嗽) 따위에 쓰인다.
  • 차선환 (叉線環) : 망원경의 차선을 설치하는 틀.
  • 철차각 (轍叉角) : 분기기 철심의 교차점에서 힘을 받는 양쪽 옆면으로 그은 선들이 이루는 각.
  • 교차되다 (交叉되다)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치게 되다.
  • 교차뜨기 (交叉뜨기) : 뜨개질에서, 코를 서로 엇걸어 뜨는 일.
  • 교차하다 (交叉하다) :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치다.
  • 금강야차 (金剛夜叉) : 오대존 명왕의 하나. 북방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항복시키는 명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으로 손에 여러 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
  • 금색야차 (金色夜叉) : 일본의 작가 오자키 고요(尾崎紅葉)가 쓴 사회 소설. 우리나라에서는 신소설인 <장한몽>으로 번안되어 널리 읽혔다.
  • 다지교차 (多枝交叉) : 다섯 갈래 이상인 교차로. 4지 교차와 비교하여 운행상의 위험도가 높고 교통 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낮다.
  • 식차마나 (式叉摩那)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식차마니 (式叉摩尼)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야차대장 (夜叉大將) : '다문천왕'을 달리 이르는 말. 야차를 통솔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다문천왕: 사천왕(四天王)의 하나. 다문천을 다스려 북쪽을 수호하며 야차와 나찰을 통솔한다. 분노의 상(相)으로 갑옷을 입고서 왼손에 보탑(寶塔)을 받쳐 들고 오른손에 몽둥이를 들고 있다.)
  • 요차하다 (了叉하다) : 공손히 손을 마주 잡다.
  • 차사오면 (chashao[叉燒]麵) : 중국요리의 하나. 국수를 삶아 국수의 물을 붓고, 차사오의 얇은 조각을 얹는다.
  • 차수하다 (叉手하다) : 두 손을 어긋매껴 마주 잡다.
  • 협차하다 (夾叉하다) : 포격에서 탄환이 목표물의 전후 또는 좌우에 떨어졌을 때에 표적의 반대 방향으로 오차를 줄여 가면서 표적에 접근시켜 가다.
  • 군다리야차 (軍茶利夜叉) : 팔대 명왕의 하나. 남쪽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물리치는 명왕으로, 머리 하나에 팔이 여덟으로 성난 모양을 하고 있다. 허공장보살의 화신으로 감로(甘露)의 보병(寶甁)으로써 삼매야형(三昧耶形)을 취하고 있어 감로 군다리명왕이라고도 한다. 오대존 명왕의 하나이기도 하다.
  • 금강야차법 (金剛夜叉法) : 밀교에서, 금강야차를 본존으로 하여 기도하는 수행 방법.
  • 식차마나계 (式叉摩那戒) : 식차마나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戒). 음행(淫行)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살생하지 않음, 거짓말하지 않음, 술 마시지 않음, 끼니때가 아니면 먹지 않음의 여섯 가지이다.
  • 식차마나니 (式叉摩那尼) : 구족계를 받아 비구니가 되기 위하여 수행하는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의 사미니.
  • 금강야차명왕 (金剛夜叉明王) : 오대존 명왕의 하나. 북방을 지키며 모든 악귀를 항복시키는 명왕으로,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으로 손에 여러 가지 무기를 가지고 있다.
  • 식차마나니계 (式叉摩那尼戒) : 식차마나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戒). 음행(淫行)하지 않음, 훔치지 않음, 살생하지 않음, 거짓말하지 않음, 술 마시지 않음, 끼니때가 아니면 먹지 않음의 여섯 가지이다.
  • 보기신경 교차 (보기神經交叉) :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스크램블 교차점 (scramble交叉點) : 교통량이 많은 교차점에서, 모든 방향의 차량을 정지시킨 뒤에 보행자가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갈 수 있도록 한 교차점.
  • 시신경 교차 (視神經交叉) : '시각교차'의 전 용어. (시각 교차: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와이형 교차 (Y形交叉) : 삼지 교차로의 한 형태로 세 방향의 도로가 서로 예각과 둔각을 이루며 형성하는 교차 형태.
  • 엑스형 교차로 (X型交叉路) : 도로가 교차할 때 직각을 이루지 아니하고 예각과 둔각을 이룬 교차로.
  • 교차 개념 (交叉槪念) : 두 개념이 근본적인 의의는 다르나, 그 외연(外延)의 일부가 같은 개념. 이를테면, '학자와 교육자', '군인과 용사', '소녀와 미인' 따위가 있다.
  • 교차 구분 (交叉區分) : 어떤 개념을 하나의 구분 원리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외연(外延)이 서로 중복되거나 엇갈리게 하는 것.
  • 교차 궁륭 (交叉穹窿) : '十' 자 모양으로 교차한 궁륭.
  • 교차 내성 (交叉耐性) : 어떤 약물에 노출되어 내성이 생긴 후에 그 약물과 화학 구조나 약리 작용이 비슷한 다른 약물에 대하여도 내성을 나타내는 일.
  • 교차 면역 (交叉免疫) : 하나의 항원이 두 종류의 병균에 작용하는 면역.
  • 교차 반응 (交叉反應) : 어떤 항원에 의하여 만들어진 항체가 그 항원과 성질이 비슷한 물질에 대하여 반응하는 일.
  • 교차 방위 (交叉方位) : 해도(海圖)의 도면상에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육지 표지물의 방위.
  • 교차 볼트 (交叉vault) : 두 개의 반원통 모양의 볼트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볼트.
  • 교차 빈도 (交叉頻度) : 일정한 염색체에서 형성된 교차점 수의 평균값. 염색체의 길이에 비례한다.
  • 교차 사격 (交叉射擊) : 한 목표에 대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하는 사격.
  • 교차 서기 (交叉서기) : 태권도에서,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의 오른쪽 앞에 옮겨 교차하는 동시에 두 무릎을 구부리면서 두 주먹을 교차하는 자세.
  • 교차 수역 (交叉水域) : 물의 흐름이 서로 만나거나 엇갈리는 지역.
  • 교차 승인 (交叉承認) : 남북한의 어느 한쪽만 승인하던 나라들이 다른 한쪽도 정식으로 승인하는 일. 미국과 일본이 북한을, 러시아와 중국이 한국을 각각 승인하여 국제 정세의 긴장 완화를 꾀하였다.
  • 교차 시험 (交叉試驗) : 수혈한 혈액이 수혈받은 사람에게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시험. 제공자의 혈구와 수용자의 혈청, 수용자의 혈구와 제공자의 혈청을 섞어서 응집 반응을 조사한다.
  • 교차 신문 (交叉訊問) : 증인 신문을 할 때에, 법원이 직접 증인에게 신문하지 않고 소송 당사자가 번갈아 신문하는 방식.
  • 교차 저항 (交叉抵抗) :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교통 흐름이 상호 잠재적인 또는 실제적인 충돌에 의하여 그 움직임이 저항을 받아 지연되는 효과.
  • 교차 책임 (交叉責任) : 두 선박이 서로의 잘못으로 충돌하였을 때에, 각 선박의 소유주가 서로 상대자에게 불법 행위로 인한 손해 배상 청구권을 가지는 일.
  • 교차 청약 (交叉請約) : 두 사람 사이에 서로 일치하는 내용의 청약을 하는 일.
  • 교차 편집 (交叉編輯) : 영화 편집의 하나.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벌어지는 인물의 극적 관계나 극적 정황의 장면을 급격하게 번갈아 가며 보여 주는 것이다.
  • 교차 효과 (交叉效果) :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부등 교차 (不等交叉) : 감수 분열 때 상동 염색체 사이에 교차가 일어날 때 상동 염색체가 정확하게 접합하지 않아서 서로 같은 염색체 부분이 교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염색체 부분이 교환되는 현상.
  • 삼차 신경 (三叉神經) : 다섯째 머릿골 신경으로, 얼굴에 분포하는 신경. 눈, 위턱, 아래턱의 세 신경으로 나뉘며 지각성의 대부분과 운동성의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시각 교차 (視覺交叉) : 눈의 망막에서 시작되는 좌우의 시각 신경이 뇌에 도달한 곳에서 좌우가 교차하는 것.
  • 음차 시계 (音叉時計) : 소리굽쇠의 진동을 이용하여 만든 전지 시계. 흔들림 기구로 전자기 굽쇠를 쓰고 태엽이나 추 대신 자그마한 전지를 동력 원천으로 쓴다.
  • 입체 교차 (立體交叉) : 도로나 선로 따위를 같은 지면 위에서 교차하지 아니하고 위아래로 분리하여 엇갈리게 하는 방식.
  • 전기 음차 (電氣音叉) : 전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도로 일정한 시간 동안 계속하여 울리게 만든 소리굽쇠.
  • 전자 음차 (電磁音叉) : 진동을 전자기적으로 지속시킨 소리굽쇠. 소리굽쇠가 일정한 진동수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정하여진 주파수의 교류를 만들어 시간의 표준에 사용한다.
  • 티형 교차 (T型交叉) : 삼지 교차의 한 형태로, 직선 도로에 다른 도로가 수직을 이루며 교차하는 형태.
  • 팔대 야차 (八大夜叉) : 다문천왕이 통솔하는 여덟 야차. 보현(普賢), 만현(滿賢), 산지(散支), 중덕(衆德), 응념(應念), 대만(大滿), 무비력(無比力), 밀엄(密嚴)을 이른다.
  • 평면 교차 (平面交叉) : 도로나 철도 따위가 같은 평면 위에서 서로 엇갈리는 일.
  • 교차 결합제 (交叉結合劑) : 선 모양의 분자 속에서 특정 원자와 원자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 생고무를 가황 고무로 만들 때 넣는 황이나 염화 황 따위이다.
  • 교차 구조물 (交叉構造物) : 물길이 골짜기, 하천, 도로, 철길, 산 따위의 장애물과 마주칠 때 이것을 지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 교차 방위법 (交叉方位法) : 배에서 두 군데 이상의 육지 목표물의 방위를 재고 그것을 해도(海圖)에 그려 그 교차점으로써 배의 현재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
  • 교차 주파수 (交叉周波數) : 확성 체계에서, 낮은 음역과 높은 음역을 담당하는 확성기의 작동 주파수를 분리하는 주파수.
  • 교차 탄력성 (交叉彈力性) :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수치.
  • 도로 교차점 (道路交叉點) : 도로가 도로 혹은 철길과 교차하는 부분.
  • 삼차 신경통 (三叉神經痛) : 삼차 신경의 분포 영역에 생기는 통증 발작. 얼굴 한쪽이 심하게 아프며 후두부나 어깨까지 아플 수도 있는데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많다.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뇌줄기에 발생한 종양이나 뇌동맥 자루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고, 다발 경화증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뇌 바닥 세동맥의 동맥 경화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음차 발진기 (音叉發振器) : 소리굽쇠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증폭한 다음 이것을 다시 소리굽쇠에 가하여 계속 발진시키는 장치. 전자석을 이용한 것으로, 저주파의 표준 발진기로 쓰인다.
  • 입체 교차로 (立體交叉路) : 도로나 철도 따위의 교차점을 위아래로 엇갈리게 만든 시설.
  • 입체 교차점 (立體交叉點) : 도로나 선로 따위가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지점.
  • 제로 교차파 (zero交叉波) : 음성의 파형을 '아'라든가 '파'라든가 하는 음절의 종류만 알 수 있을 정도로 극단으로 단순화한 것. 파형은 극히 간단한 네모파이고 진폭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일정치(一定値)로 균등화되며 원파형(原波形)이 음압 제로가 되는 시각(時刻)만이 보존된다. 전화, 음성 타이프라이터 따위에 쓴다.
  • 환상 교차로 (環狀交叉路) : 교통이 복잡한 네거리 같은 곳에 교통정리를 위하여 원형으로 만들어 놓은 교차로.
  • 남북 교차 승인 (南北交叉承認) : 남북한의 어느 한쪽만 승인하던 나라들이 다른 한쪽도 정식으로 승인하는 일. 미국과 일본이 북한을, 러시아와 중국이 한국을 각각 승인하여 국제 정세의 긴장 완화를 꾀하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叉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婿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서 (壻/婿) : 문어체에서, '사위'를 이르는 말. (사위: 딸의 남편을 이르는 말.)
  • 손서 (孫壻/孫婿) : 손녀의 남편.
  • 자서 (姊壻/姊婿) : 손위 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 자서 (子壻/子婿) : 아들과 사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제서 (帝壻/帝婿) : 제왕의 사위.
  • 쾌서 (快壻/快婿) : 마음에 드는 좋은 사위.
  • 택서 (擇壻/擇婿) : 사윗감을 고름.
  • 현서 (賢壻/賢婿) : 어진 사위라는 뜻으로, 자기의 사위나 남의 사위를 높여 이르는 말.
  • 택서하다 (擇壻하다/擇婿하다) : 사윗감을 고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婿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0월 24일 일요일

한자 蝟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蝟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蝟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위모 (蝟毛) : 고슴도치의 털 수가 많음을 이르는 말.
  • 위집 (蝟集) : 고슴도치의 털같이 사물이 한꺼번에 번잡하게 모여듦을 이르는 말.
  • 위축 (蝟縮) : 고슴도치가 적을 만나면 몸을 움츠린다는 뜻으로, 두려워서 몸을 움츠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위피 (蝟皮) : 고슴도치의 가죽. 태워서 가루로 만들어 오치(五痔), 치루(痔漏), 장풍(腸風), 탈항(脫肛), 치병(痔病)에 약으로 쓴다.
  • 자위 (刺蝟) : 고슴도칫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20~30cm, 꼬리의 길이는 3~4cm이며, 주둥이는 거의 돼지처럼 뾰족하고 다리가 짧다. 등 전체에 갈색과 흰색의 바늘 같은 가시가 돋쳐 있어서 적이 가까이 오면 몸을 웅크리어 밤송이같이 만들어 자신을 방어한다. 겨울 동안에는 썩은 나무 틈 같은 곳에서 겨울잠을 잔다. 한국,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대륙 각지에 분포한다.
  • 위집하다 (蝟集하다) : 고슴도치의 털같이 사물이 한꺼번에 번잡하게 모여들다.
  • 위축하다 (蝟縮하다) : (비유적으로) 두려워서 몸을 움츠리다. 고슴도치가 적을 만나면 몸을 움츠린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위도 띠뱃놀이 (蝟島띠뱃놀이)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민속놀이.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재액(災厄)을 씻어 낸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82-3호.
  • 위도 띠뱃굿놀이 (蝟島띠뱃굿놀이)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민속놀이.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재액(災厄)을 씻어 낸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82-3호.


https://dict.wordrow.kr에서 蝟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檐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한자 檐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檐에 관한 단어는 모두 27개

  • 남첨 (南檐) : 남쪽 처마.
  • 단첨 (單檐) : 부연을 달지 않고 처마 서까래만으로 된 처마.
  • 단첨 (短檐) : 낮고 짧은 처마.
  • 모첨 (茅檐) : 초가지붕의 처마.
  • 비첨 (飛檐) : 처마 서까래 끝에 부연을 달아 기와집의 네 귀가 높이 들린 처마.
  • 심첨 (深檐) : 깊이 뻗어 나온 추녀.
  • 왜첨 (矮檐) : 낮고 짧은 처마.
  • 입첨 (笠檐) : 갓모자의 밑 둘레 밖으로 둥글넓적하게 된 부분.
  • 첨계 (檐階) : 집채의 낙숫물이 떨어지는 곳 안쪽으로 돌려 가며 놓은 돌.
  • 첨단 (檐端) : 처마의 끝.
  • 첨령 (檐鈴) : 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 속에는 붕어 모양의 쇳조각을 달아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리면서 소리가 난다.
  • 첨마 (檐馬) : 처마 끝에 다는 작은 종. 속에는 붕어 모양의 쇳조각을 달아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리면서 소리가 난다.
  • 첨무 (檐廡) : 몸채나 사랑채에 딸린 작은 집채.
  • 첨아 (檐牙) : 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 첨연 (檐椽) : 오량(五梁) 이상으로 지은 집의 맨 끝에 걸리는 서까래.
  • 첨차 (檐遮) : 삼포(三包) 이상의 집에 있는 꾸밈새. 초제공, 이제공 따위의 가운데에 어긋나게 맞추어 짠다.
  • 첨하 (檐下) : 처마 밑.
  • 회첨 (會檐) :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
  • 가첨석 (加檐石) : 빗돌이나 석등 따위를 세운 다음 그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 첨계석 (檐階石) : 댓돌을 이룬 낱개의 돌.
  • 첨곗돌 (檐階돌) : 댓돌을 이룬 낱개의 돌.
  • 첨하연 (檐下椽) : 오량(五梁) 이상으로 지은 집의 맨 끝에 걸리는 서까래.
  • 회첨골 (會檐골) :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의 지붕골.
  • 회첨장 (會檐장) : 두 지붕면이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생긴 골에 깐 암키와와 수키와.
  • 가첨 장여 (加檐長欐) : 귀포에서 출목 제공을 맞끼운 첨차.
  • 회첨 기둥 (會檐기둥) :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에 세운 기둥.
  • 회첨 추녀 (會檐추녀) : 처마가 'ㄱ' 자 모양으로 꺾이어 굽은 곳에 있는 추녀. 보통은 걸지 않는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檐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한자 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瞽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 고녀 (瞽女) : 여자 맹인.
  • 고수 (瞽瞍) : 눈먼 노인.
  • 고악 (瞽樂) : 조선 시대에, 관현맹(管絃盲)의 음악을 이르던 말.
  • 고인 (瞽人) : '시각장애인'을 달리 이르는 말. (시각 장애인: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생겨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 또는 아주 약한 시력만 남아 있어서 앞을 보기 어려운 사람.)
  • 고자 (瞽者) : '시각장애인'을 달리 이르는 말. (시각 장애인: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생겨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 또는 아주 약한 시력만 남아 있어서 앞을 보기 어려운 사람.)
  • 몽고 (矇瞽) : '시각장애인'을 달리 이르는 말. (시각 장애인: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생겨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 또는 아주 약한 시력만 남아 있어서 앞을 보기 어려운 사람.)
  • 무고 (巫瞽) : 무당과 판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고녀당 (瞽女堂) : 점을 치는 여자 맹인이 신을 모시기 위하여 차려 놓은 당집.
  • 고마문령 (瞽馬聞鈴) : 눈먼 망아지가 워낭 소리를 듣고 따라간다는 뜻으로, 맹목적으로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이르는 말.
  • 고사여령 (瞽師女伶) : 맹인(盲人) 악사와 여자 악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십고일장 (十瞽一杖)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瞽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抗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2개

한자 抗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抗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2개

  • 항 (抗) : '그것에 저항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길항 (拮抗) : 서로 버티어 대항함.
  • 낭항 (狼抗) : 이리처럼 성질이 거칠고, 사납게 마구 반항기가 있음.
  • 대항 (對抗) : 그것끼리 서로 겨룸.
  • 반항 (反抗) :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함.
  • 저항 (抵抗) :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팀.
  • 항거 (抗拒) : 순종하지 아니하고 맞서서 반항함.
  • 항고 (抗告) : 법원의 결정, 명령에 대하여 당사자 또는 제삼자가 위법임을 주장하고 상급 법원에 그 취소나 변경을 구하여 불복 상소를 함. 또는 그런 절차. 성질에 따라 즉시 항고와 보통 항고로 나누고 심급에 따라서는 최초 항고, 재항고로 나눈다.
  • 항균 (抗菌) : 균에 저항함.
  • 항독 (抗毒) : 독에 저항함.
  • 항량 (抗量) : 어떤 물질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물질 속에서 끓는점이 낮은 성분이 달아나거나 열분해되어 물질의 질량이 일정한 값에 이른 때의 질량.
  • 항력 (抗力) : 어떤 물체가 유체 속을 운동할 때에 운동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물체에 미치는 유체의 저항력. 항공 역학에 응용한다.
  • 항례 (抗禮) : 한편으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동등하게 교제함. 또는 그런 예(禮).
  • 항론 (抗論) : 어떤 주장이나 이론에 반대하여 논의함.
  • 항명 (抗命) : 명령이나 제지에 따르지 아니하고 반항함. 또는 그런 태도.
  • 항변 (抗辯) : 대항하여 변론함. 또는 그런 변론.
  • 항변 (抗卞) : 못마땅한 생각이나 반대의 뜻을 주장함.
  • 항생 (抗生) : 두 종류의 미생물을 같은 배지에서 배양할 때, 한쪽 미생물이 다른 쪽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현상.
  • 항소 (抗訴) : 민사 소송에서, 제일심의 종국 판결에 대하여 불복하여 상소함. 또는 그 상소.
  • 항심 (抗心) : 맞서려는 마음.
  • 항안 (抗顔) : 얼굴을 들어 사람을 대함.
  • 항암 (抗癌) :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죽임.
  • 항어 (抗禦) : 맞서 막음.
  • 항언 (抗言) : 맞서 말함.
  • 항역 (抗逆) : 맞서 거역함.
  • 항원 (抗原) : 생체 속에 침입하여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단백성 물질. 세균이나 독소 따위가 있다.
  • 항의 (抗議) : 어떤 나라가 다른 나라의 처사에 반대하는 뜻을 정식으로 통고함. 또는 그런 일.
  • 항일 (抗日) :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싸움.
  • 항재 (抗材) : 기초 공사의 버팀목으로 쓰는 재목.
  • 항쟁 (抗爭) : 맞서 싸움.
  • 항적 (抗敵) : 적과 맞섬.
  • 항전 (抗戰) : 적에 대항하여 싸움.
  • 항절 (抗節) : 굽히지 아니하고 저항함.
  • 항조 (抗租) : 소작인이 소작료를 내지 아니하거나 깎으려고 지주에게 항거한 운동.
  • 항체 (抗體) : 항원의 자극에 의하여 생체 내에 만들어져 특이하게 항원과 결합하는 단백질. 응집소ㆍ침강소ㆍ항독소의 작용을 가지며, 생체에 그 항원에 대한 면역성이나 과민성을 준다.
  • 항형 (抗衡) : 서로 지지 아니하고 맞섬.
  • 힐항 (詰抗) : 서로 트집을 잡아 비난하며 맞서서 겨룸.
  • 광저항 (光抵抗) : 광전도를 이용하여 빛의 신호를 전기 저항의 변화로 바꾸는 장치.
  • 길항근 (拮抗筋) :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동시에 하는 한 쌍의 근육. 골격근의 폄근과 굽힘근, 동공의 조임근과 확장근 따위가 있다.
  • 길항제 (拮抗劑) : 길항 작용을 나타내는 약.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쪽 약물이 다른 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양쪽 약물의 효과가 상호 감소 한다.
  • 내저항 (內抵抗) : 전지 내부의 전류에 대한 저항.
  • 대항군 (對抗軍) : 전투 훈련을 위하여 훈련 부대에 대항하는 임무를 맡은 모의(模擬) 적군.
  • 대항근 (對抗筋) :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동시에 하는 한 쌍의 근육. 골격근의 폄근과 굽힘근, 동공의 조임근과 확장근 따위가 있다.
  • 대항력 (對抗力) : 대항하는 힘.
  • 대항로 (對抗路) : 요새전(要塞戰)에서, 공격하는 편이 뚫는 갱도(坑道)에 대항하기 위하여 방어하는 편이 뚫는 갱도.
  • 대항마 (對抗馬) : 경마에서, 우승이 예상되는 말과 결승을 겨루는 말.
  • 대항의 (大抗議) : 1621년에 영국 의회가 제임스 일세의 실정을 비판하여 제기한 항의.
  • 대항자 (對抗者) : 대항하는 사람.
  • 대항쟁 (大抗爭) : 큰 항쟁.
  • 대항적 (對抗的) : 대항하거나 대항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
  • 대항전 (大抗戰) : 큰 항전.
  • 대항전 (對抗戰) : 주로 운동 경기에서 서로 대항하여 승부를 겨루는 일.
  • 대항책 (對抗策) : 대항할 방법이나 꾀.
  • 면저항 (面抵抗) : 얇은 막의 저항값을 특징짓는 지표. 흔히 박막의 단위 두께당 비저항으로 표시한다.
  • 무저항 (無抵抗) : 저항하지 않음.
  • 반항기 (反抗期) : 어린이의 정신 발달 단계에서, 자아의식이 몹시 강해져서 부모나 어른들의 말을 잘 듣지 아니하게 되는 시기. 3~5세에 나타나는 제일 반항기와 13~14세에 나타나는 제이 반항기가 있다.
  • 반항률 (反抗律) : 열역학적 평형 이동에 관한 법칙. 화학 평형에서 계(系)의 상태를 결정하는 변수인 온도ㆍ압력ㆍ성분 농도 따위의 조건을 바꾸면, 그 계는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1884년 르샤틀리에가 발표하였으며, 1887년 브라운이 보완하였다.
  • 반항성 (反抗性) :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성질.
  • 반항심 (反抗心) :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마음.
  • 반항아 (反抗兒) :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아이. 또는 그런 사람.
  • 반항적 (反抗的) :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태도나 경향이 있는 것.
  • 부저항 (負抵抗) : 전압 변화와 전류 변화의 비가 음수가 되는 경우의 저항. 특별한 회로 소자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비저항 (比抵抗) : 단면적이 같은 등질의 전기 도체가 갖는 전기 저항의 비율. 각각의 물질에 따라 일정한 상수로 나타낸다.
  • 역저항 (逆抵抗) : 금속 정류기의 역전류에 대한 저항.
  • 외저항 (外抵抗) : 전지 외부의 전류에 대한 저항.
  • 음저항 (陰抵抗) : 전류의 증가에 따라 전압 강하가 줄어드는 현상. 방전을 하면 이온화가 증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 재항고 (再抗告) : 항고 법원의 결정과 고등 법원의 결정이나 명령이 법령에 위배됨을 이유로 대법원에 다시 항고하는 일. 또는 그런 항고.
  • 재항변 (再抗辯) : 원고가 피고의 항변에 대하여 그것이 타당하지 않음을 주장하여 다시 항변하는 일. 또는 그런 항변.
  • 저항감 (抵抗感) :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저항을 받는 느낌.
  • 저항계 (抵抗計) : 옴(Ω)을 단위로 하여 회로의 전기 저항을 재는 계기.
  • 저항권 (抵抗權) : 법치 국가에서, 기본 질서를 침해하는 국가의 공권력 행사에 대하여 주권자인 국민이 최후의 비상수단으로 행할 수 있는 권리.
  • 저항기 (抵抗器) : 필요한 전기 저항을 얻기 위한 기구나 부품. 세라믹 몸체에 탄소 피막(被膜)을 입힌 피막 저항기, 저항선을 감은 권선 저항기,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가변 저항기 따위가 있다.
  • 저항력 (抵抗力) : 질병이나 병원균 따위를 견뎌 내는 힘.
  • 저항로 (抵抗爐) : 도선(導線)에 흐르는 전류의 열작용으로 얻는 높은 온도를 이용하는 용해로(鎔解爐). 저항체에 전류를 통하여 발생하는 열량을 이용하는 간접 저항로와, 피용해물(被溶解物)에 직접 전류를 통하는 직접 저항로가 있다.
  • 저항률 (抵抗率) : 단면적이 같은 등질의 전기 도체가 갖는 전기 저항의 비율. 각각의 물질에 따라 일정한 상수로 나타낸다.
  • 저항법 (抵抗法) : 동물의 행동 원인을 분석할 때, 어떤 양성 경향(陽性傾向)의 강도를 음성 작인(陰性作因)의 강도로 측정하거나, 어떤 음성 경향의 강도를 양성 작인의 강도로 측정하는 방법.
  • 저항선 (抵抗線) : 주가의 상승이 저항을 받는 지수 선.
  • 저항성 (抵抗性) :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티는 성질.
  • 저항손 (抵抗損) : 전류가 저항체를 흐를 때 열이 발생하여 일어나는 전기 에너지의 손실.
  • 저항시 (抵抗詩) : 일제 강점기 때 일제에 대한 저항 의지를 승화한 시. 현실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구도자나 예언자적인 자세로 표현하여 정신적인 시의 영역을 구축하였다.
  • 저항심 (抵抗心) :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티려는 마음.
  • 저항자 (抵抗者) :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티는 사람.
  • 저항체 (抵抗體) : 저항기나 저항 재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저항통 (抵抗桶) : 전기 회로에 넣어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데 쓰는, 저항 물질을 넣은 통.
  • 정저항 (靜抵抗) : 작용하지 아니하는 정지 상태에서의 전기 저항.
  • 준항고 (準抗告) : 민사 소송법에서, 수명 법관이나 수탁 판사의 재판에 불복하는 당사자가 소송 법원에 신청하는 이의.
  • 항고심 (抗告審) : 항고에 대하여 상급 법원이 행하는 심리. 항고가 있는 경우에 개시한다.
  • 항고장 (抗告狀) : 항고하기 위하여 원심 법원에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 당사자와 법정 대리인, 원심 재판의 결과에 대한 표시와 그에 대한 항고의 뜻을 기재하여야 한다.
  • 항균성 (抗菌性) : 항생 물질 따위가 균에 저항하는 성질.
  • 항독소 (抗毒素) : 특정 독소 또는 그것을 불활성화한 변성 독소를 항원으로 하여 말 따위의 동물을 면역시켜 만든다.
  • 항렬성 (抗裂性) : 말뚝 따위를 박을 때, 그 때리는 힘에 대항하는 물체의 성질.
  • 항명죄 (抗命罪) : 상관의 정당한 명령을 어긴 죄.
  • 항변권 (抗辯權) : 상대편의 청구권 행사를 저지할 수 있는 권리.
  • 항변조 (抗卞調) : 항의하려는 태도나 기색이 있는 말투.
  • 항산균 (抗酸菌) : 아닐린 색소에 염색되기 힘드나 일단 염색되면 광산(鑛酸)으로 처리하여도 탈색되지 아니하는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결핵균, 나병균 따위가 있다.
  • 항생제 (抗生劑) :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항생 물질로 된 약제. 다른 미생물이나 생물 세포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거나 죽인다.
  • 항소권 (抗訴權) : 항소를 할 수 있는 권리.
  • 항소심 (抗訴審) : 항소 사건에 대한 항소 법원의 심리.
  • 항소인 (抗訴人) : 항소한 사람.


https://dict.wordrow.kr에서 抗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0월 23일 토요일

한자 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개

한자 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緯에 관한 단어는 모두 97개

  • 위 (緯) : 적도에 평행하게 지구의 표면을 남북으로 자른 가상의 선. 위도를 나타낸 선이다.
  • 경위 (經緯) :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
  • 낙위 (絡緯) : 여칫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3~3.6cm이며 옅은 녹색이나 드물게 갈색도 있다. 머리는 삼각형이고 빛깔은 누런 갈색이며, 앞가슴의 등 쪽에는 갈색의 굵은 줄무늬가 있다. 산란관은 길고 칼 모양이며 더듬이는 갈색이고 몸보다 길다. 인가 근처의 풀숲 속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남위 (南緯) : 적도로부터 남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남극의 90도에 이른다.
  • 도위 (圖緯) : 미래와 점술에 관한 일을 적은 책인 ≪하도(河圖)≫와 ≪위서(緯書)≫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북위 (北緯) : 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 비위 (祕緯) : 신비스러운 내용을 담은 책.
  • 신위 (申緯) : 조선 후기의 시인ㆍ서화가(1769~1845). 자는 한수(漢叟). 호는 자하(紫霞)ㆍ경수당(警修堂).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절(三絕)로 꼽혔으며, 후세의 시인들이 그의 작시법을 많이 본받았다.
  • 오위 (五緯) : 다섯 가지 위서(緯書).
  • 위권 (緯圈) :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하고 천체의 극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천구 위의 작은 원. 천구의 적도에 나란하며, 그 크기는 극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가장 큰 일주권은 적도권이다.
  • 위도 (緯度) :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로 된 것. 적도를 중심으로 하여 남북으로 평행하게 그은 선이다. 적도를 0도로 하여 남북으로 각 90도로 나누는데 북쪽의 것을 북위, 남쪽의 것을 남위라고 한다.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도, 분, 초이다.
  • 위사 (緯絲) : 피륙이나 그물을 짤 때, 가로 방향으로 놓인 실.
  • 위서 (緯書) : 중국 전한 말기부터 후한에 걸쳐서 유학의 경전인 경서(經書)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책. 시위(詩緯), 역위(易緯), 서위(書緯), 예위(禮緯), 악위(樂緯), 춘추위(春秋緯), 효경위(孝經緯) 등으로 길흉화복 따위의 예언을 적은 책인데, 뒤에 금서가 되어 그 일부만 전한다.
  • 위선 (緯線) : 적도에 평행하게 지구의 표면을 남북으로 자른 가상의 선. 위도를 나타낸 선이다.
  • 위할 (緯割) : 수정란이 분열할 때에 알의 주축(主軸)에 대하여 평수직으로 분할하는 현상. 다세포 동물의 발생 초기에 일어나는 알의 세포 분열의 한 형태이다.
  • 은위 (銀緯) : 은하 좌표에서의 위도. 은하 적도에서 남북으로 각각 0도에서 90도까지 있다.
  • 적위 (赤緯) : 적도 좌표에서의 위도. 적도의 북쪽이나 남쪽으로 잰 각거리로 나타내며, 그 범위는 +90도에서 -90도까지이다.
  • 참위 (讖緯) : 미래의 길흉화복의 조짐이나 앞일에 대한 예언. 또는 그런 술수의 책.
  • 황위 (黃緯) : 황도 좌표의 위도. 황도는 0도, 북극은 +90도, 남극은 -90도이다.
  • 경위기 (經緯器) : 지구 표면의 물체나 천체(天體)의 고도와 방위각을 재는 장치. 조그만 망원경으로, 천체의 고도와 방위각을 재는 데 필요한 자눈이 새겨진 바퀴가 붙어 있다.
  • 경위도 (經緯度) : 경도와 위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경위사 (經緯絲) : 날실과 씨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경위서 (經緯書) : 일이 벌어진 경위를 적은 서류.
  • 경위선 (經緯線) : 경선과 위선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경위의 (經緯儀) : 지구 표면의 물체나 천체(天體)의 고도와 방위각을 재는 장치. 조그만 망원경으로, 천체의 고도와 방위각을 재는 데 필요한 자눈이 새겨진 바퀴가 붙어 있다.
  • 고위도 (高緯度) : 남극과 북극에 가까운 위도.
  • 고위도 (古緯度) : 지괴(地塊)가 형성된 시점에서의 위도.
  • 남위선 (南緯線) : 적도 이남의 위도를 표시하는 선.
  • 동위도 (同緯度) : 같은 위도.
  • 북위선 (北緯線) : 적도 이북의 위도를 표시하는 선.
  • 오정위 (吳挺緯) : 조선 중기의 문신(1616~1692). 자는 군서(君瑞)ㆍ서장(瑞章), 호는 동사(東沙). 호조ㆍ공조ㆍ형조의 판서 등을 지냈으며, 송시열 처벌에 강경론을 지지하였다.
  • 위권기 (緯捲機) : 북에 끼울 달랭이에 씨실을 감는 직조 준비 기계.
  • 위도권 (緯度圈) : 지구 표면에서 적도면에 평행한 원. 이 원에 따라서 위도를 잰다.
  • 위도대 (緯度帶) : 지구 위에서 공통적인 자연 지리적 특징이 위도를 따라 길게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지대.
  • 위도선 (緯度線) : 적도에 평행하게 지구의 표면을 남북으로 자른 가상의 선. 위도를 나타낸 선이다.
  • 위도척 (緯度尺) : 해도면의 동쪽과 서쪽에 표시된 축척.
  • 이위국 (李緯國)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97~1673). 자는 태언(台彦). 호는 운포(雲浦). 상원 군수, 이천 부사 등 여러 지방 관직을 거치며 선정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알려졌다. 글씨에도 뛰어나 초서, 예서에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 저위도 (低緯度) : 적도에 가까운 위도. 대체로 적도에서 남북 회귀선인 23도 27분 사이의 위도를 이른다.
  • 적위권 (赤緯圈) :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하고 천체의 극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천구 위의 작은 원. 천구의 적도에 나란하며, 그 크기는 극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가장 큰 일주권은 적도권이다.
  • 적위차 (赤緯差) : 천체의 실제 적위와 표에 기입된 개산(槪算) 적위와의 편차.
  • 적위환 (赤緯環) :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하고 천체의 극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천구 위의 작은 원. 천구의 적도에 나란하며, 그 크기는 극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가장 큰 일주권은 적도권이다.
  • 중위도 (中緯度) : 저위도와 고위도의 중간. 대략 위도 20~50도를 이른다.
  • 참위가 (讖緯家) : 미래의 길흉화복의 조짐이나 앞일에 대하여 예언을 하던 사람.
  • 참위서 (讖緯書) : 미래의 일에 대한 주술적 예언을 기록한 책.
  • 참위설 (讖緯說) : 고대 중국에서, 음양오행설에 의하여 인간 사회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던 학설.
  • 참위학 (讖緯學) : 고대 중국에서, 음양오행설에 의하여 인간 사회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던 학설.
  • 하위지 (河緯地) :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1412~1456). 자는 천장(天章)ㆍ중장(仲章). 호는 단계(丹溪). 벼슬은 부제학ㆍ예조 판서에 이르렀다.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역대병요≫를 편찬하였으며, ≪화원악보≫에 시조 2수가 전한다.
  • 황위권 (黃緯圈) : 황도 좌표의 남극과 북극을 지나며 황도의 면에 수직인, 천구 위의 큰 원.
  • 경천위지 (經天緯地) :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림.
  • 위무경문 (緯武經文) : 무(武)를 씨로 하고 문(文)을 날로 한다는 뜻으로, 문무를 겸비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위이중직 (緯二重織) : 씨실이 이중으로 짜인 직물의 특수 조직. 두껍고 아름다운 직물을 짤 수 있다.
  • 위파일직 (緯pile織) : 씨실로 파일을 만든 첨모직(添毛織). 우단 따위이다.
  • 유학경위 (儒學經緯) : 건양 원년(1896)에 신기선(申箕善)이 지은 유학의 해설서. 유학을 경위(經緯)로 보아 이기(理氣), 천지 형체(天地形體), 인도(人道), 학술(學術), 우주 술찬(宇宙述贊)의 5문(門)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1책의 인본(印本).
  • 이불휼위 (嫠不恤緯) : 자기의 직분을 다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길쌈하는 한 과부가 부족한 씨 걱정은 하지 않고 주나라가 망하여 화가 자신에게 미침을 두려워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천경지위 (天經地緯) : 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
  • 적위대성표 (赤緯帶星表) : 천구를 몇 개의 적위대로 나누어, 그 한정된 영역 안에 있는 천체들의 위치를 관측ㆍ기록한 표.
  • 천동상위고 (天東象緯考) : 조선 시대에 최천벽(崔天璧)이 지은 책. 고려 475년 동안의 사실(史實)에 나타난 천지의 이상(異常)을 모아 엮었다. 숙종 34년(1707)에 간행되었다. 18권 8책.
  • 경천위지지재 (經天緯地之才) :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리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 경천위지하다 (經天緯地하다) :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리다.
  • 위무경문하다 (緯武經文하다) : (비유적으로) 문무를 겸비하다. 무(武)를 씨로 하고 문(文)을 날로 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지리학적 위도 (地理學的緯度) : 어떤 지점에서 지구 표면에 내린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구가 일정한 적도 반경과 편평도를 가지는 회전 타원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 천문학적 위도 (天文學的緯度) : 기준이 되는 적도면과 관측 지점의 연직선이 이루는 각도.
  • 측지학적 위도 (測地學的緯度) : 어떤 지점에서 지구 표면에 내린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구가 일정한 적도 반경과 편평도를 가지는 회전 타원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 지리학적 위도권 (地理學的緯度圈) : 측지 위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
  • 천문학적 위도권 (天文學的緯度圈) : 같은 천문 위도를 가지는 점을 연결한 선.
  • 경위도 원점 (經緯度原點) : 지도의 뼈대를 만드는 삼각 측량(三角測量)에 필요한 원점. 우리나라에서는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에 있다.
  • 고위도 지방 (高緯度地方) : 고위도에 있는 지방. 곧 남극과 북극에 가까운 지방을 이른다.
  • 고위도 해역 (高緯度海域) : 고위도 지역에 위치한 해역.
  • 저위도 지방 (低緯度地方) : 적도와 남북 회귀선 사이의 지방.
  • 저위도 해역 (低緯度海域) : 저위도 지역에 위치한 해역.
  • 중위도 기단 (中緯度氣團) : 중위도 지방에서 형성된 온화한 기단. 대륙성 중위도 기단과 해양성 중위도 기단이 있다.
  • 중위도 지방 (中緯度地方) : 중위도에 있는 지방.
  • 중위도 해역 (中緯度海域) : 중위도 지역에 위치한 해역.
  • 지자기 위도 (地磁氣緯度) : 지구의 자기장을 그것과 닮은 쌍극 자기장으로 치환하였을 때의 자기적(磁氣的)인 위도.
  • 중위도 고기압 (中緯度高氣壓) : 위도 30도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고기압.
  • 중위도 고압대 (中緯度高壓帶) : 위도 35도 부근에서 중위도 고기압이 형성한 띠 모양의 영역. 아열대 고압대와 같은 것을 이를 때도 있다.
  • 고무사 삽입 위편물 (고무絲揷入緯編物) : 뜨개질에서, 탄력이 좋은 실을 뜨개 바탕에 넣어 신축성이 있는 천을 뜨는 일. 스웨터의 단이나 수영복, 브래지어와 같이 여성들의 몸매를 드러내기 위한 속옷 따위에 쓴다.
  • 위도 변화 (緯度變化) : 지구의 자전축의 끊임없는 이동 때문에 생기는 천문학적 위도의 주기적인 변화.
  • 위도 효과 (緯度效果) : 우주선이 만드는 이온의 양이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 적도에 가까울수록 이온의 양은 감소한다.
  • 일면 위도 (日面緯度) : 일면 좌표에 쓰는 위도. 태양의 적도에서 극 쪽으로 잰 각도이다.
  • 일심 위도 (日心緯度) : 일면 좌표에 쓰는 위도. 태양의 적도에서 극 쪽으로 잰 각도이다.
  • 자기 위도 (磁氣緯度) : 자기의 적도에서 북쪽이나 남쪽을 각도로 나타낸 거리.
  • 적위 등권 (赤緯等圈) :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하고 천체의 극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천구 위의 작은 원. 천구의 적도에 나란하며, 그 크기는 극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가장 큰 일주권은 적도권이다.
  • 적위 세차 (赤緯歲差) : 지구의 일반 세차에 의하여 항성의 적위가 이동하는 현상.
  • 지리 위도 (地理緯度) : 어떤 지점에서 지구 표면에 내린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구가 일정한 적도 반경과 편평도를 가지는 회전 타원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 지심 위도 (地心緯度) : 지구 표면의 한 지점과 지구의 중심을 잇는 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도.
  • 천문 위도 (天文緯度) : 기준이 되는 적도면과 관측 지점의 연직선이 이루는 각도.
  • 측지 위도 (測地緯度) : 어떤 지점에서 지구 표면에 내린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 지구가 일정한 적도 반경과 편평도를 가지는 회전 타원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 표준 위선 (標準緯線) : 지도 투영법에서 투영면과 접하는 위선. 표준 위선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커진다.
  • 경위 경계선 (經緯境界線) : 경선이나 위선으로 경계를 지은 선.
  • 극성 위도법 (極星緯度法) : 극성의 고도를 재어 그 지점의 위도를 산출하는 방법.
  • 위도 관측소 (緯度觀測所) : 위도의 변화를 관측하여 지구의 회전과 변형(變形)을 조사하는 기관.
  • 위사 감지기 (緯絲感知器) : 피륙을 짤 때에, 달랭이에 씨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구.
  • 측지 위도권 (測地緯度圈) : 측지 위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
  • 측풍 경위의 (測風經緯儀) : 측풍 기구의 위치를 알아내는 데 쓰는 기상 관측 기구. 소형 망원경으로 기구를 추적하고 위치를 측정한다.
  • 북위 삼십팔도선 (北緯三十八度線) : 우리나라 중앙부를 가로 지나는 북위 38도선을 이르는 말. 제이 차 세계 대전 중에 열린 얄타 회담의 결정에 따라 38도선 이남은 미군이, 38도선 이북은 소련군이 분할ㆍ진주하였다.
  • 지구 자기 위도 (地球磁氣緯度) : 지구의 자기장을 그것과 닮은 쌍극 자기장으로 치환하였을 때의 자기적(磁氣的)인 위도.


https://dict.wordrow.kr에서 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扃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한자 扃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扃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 경관 (扃關) :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
  • 경당 (扃堂) : 고구려 때에, 각 지방에 세운 사학 기관. 평민층의 미혼 남자를 모아 경학(經學)과 문학, 무예를 가르쳤다.
  • 경비 (扃扉) : 나뭇가지를 엮어서 만든 문짝.
  • 경쇄 (扃鎖) : 여닫게 되어 있는 물건을 잠그는 장치.
  • 옥경 (玉扃) : 옥으로 만든 문.
  • 중경외폐 (中扃外閉) : 마음속의 욕심을 밖으로 나타내지 아니하고 외부의 사악을 마음속에 들어오지 못하게 함.


https://dict.wordrow.kr에서 扃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格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0개

한자 格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格에 관한 단어는 모두 680개

  • 격 (格) : 주위 환경이나 형편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분수나 품위.
  • 가격 (價格) : 물건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돈으로 나타낸 것.
  • 가격 (家格) :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 간격 (扞格) : 서로 막아서 들이지 아니함.
  • 객격 (客格) :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격.
  • 격간 (格間) : 바둑판무늬와 같이 가로, 세로로 금을 그어 나타나는 '井' 자 모양으로 짜 만든 각각의 칸살.
  • 격군 (格軍) : 조선 시대에, 사공(沙工)의 일을 돕던 수부(水夫).
  • 격납 (格納) : 집어서 수납해 둠.
  • 격담 (格談) : 격에 맞게 하는 말.
  • 격도 (格度) : 품격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격령 (格令) : 형률과 법령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법률의 총칭이다.
  • 격례 (格例) : 격식으로 되어 있는 관례.
  • 격률 (格率) : 논리적으로 분명한 명제 또는 공리(公理).
  • 격목 (格目) : 격식을 갖춘 목록.
  • 격문 (格紋) : → 문살무늬. (문살무늬: 문살 모양으로 가로세로 줄이 난 무늬.)
  • 격물 (格物) : 양명학에서, 사물에 의지가 있다고 보아 그에 의하여 마음을 바로잡음을 이르는 말.
  • 격별 (格別) : → 각별. (각별: 어떤 일에 대한 마음가짐이나 자세 따위가 유달리 특별함.)
  • 격본 (格本) : 본이 되는 격식.
  • 격비 (格非) :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음.
  • 격살 (格殺) : 손으로 쳐서 죽임.
  • 격상 (格上) : 자격이나 등급, 지위 따위의 격이 높아짐. 또는 그것을 높임.
  • 격상 (格尙) : '격상하다'의 어근. (격상하다: 품격이 높다.)
  • 격수 (格數) : 끗의 수.
  • 격식 (格式) : 격에 맞는 일정한 방식.
  • 격심 (格心) : 바른 마음.
  • 격암 (格菴) : '남사고'의 호. (남사고: 조선 중기의 예언가(1509~1571). 자는 경초(景初). 호는 격암(格菴). 역학ㆍ풍수ㆍ천문ㆍ복서(卜筮)ㆍ관상 따위의 비결에 도통하였으며, 예언이 적중하였다고 한다.)
  • 격약 (格藥) : 약을 복용할 때에 속에서 약이 잘 받지 않는 일.
  • 격언 (格言) : 오랜 역사적 생활 체험을 통하여 이루어진 인생에 대한 교훈이나 경계 따위를 간결하게 표현한 짧은 글.
  • 격왜 (格倭) : 조선 시대에, 우리나라에 왕래하던 왜인(倭人)의 배에서 일하던 뱃사공.
  • 격외 (格外) : 보통의 격식이나 관례에서 벗어남. 또는 그런 정도.
  • 격인 (格人) : 외국과 왕래하는 사신의 배를 부리는 뱃사공을 이르던 말.
  • 격자 (格子) : 대나무로 된 갓끈의 대통들 사이사이에 꿴 둥근 구슬.
  • 격조 (格調) : 문예 작품 따위에서, 격식과 운치에 어울리는 가락.
  • 격차 (格差) : 가격이나 자격, 품등 따위의 서로 다른 정도.
  • 격치 (格致) :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 격토 (格토) :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갖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주격 조사, 서술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 따위가 있다.
  • 격투 (格鬪) : 서로 맞붙어 치고받으며 싸움.
  • 격하 (格下) : 자격이나 등급, 지위 따위의 격이 낮아짐. 또는 그것을 낮춤.
  • 격호 (格護) : 포섭하여 보호함.
  • 결격 (缺格) :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있지 못함.
  • 고격 (高格) : 높은 인격.
  • 고격 (古格) : 옛 격식.
  • 골격 (骨格/骨骼) : 어떤 사물이나 일에서 계획의 기본이 되는 틀이나 줄거리.
  • 공격 (公格) : 관직(官職)이나 공직(公職)에 관한 격식.
  • 과격 (科格) : 부역의 징발에 관한 규정.
  • 관격 (關格) : 먹은 음식이 갑자기 체하여 가슴 속이 막히고 위로는 계속 토하며 아래로는 대소변이 통하지 않는 위급한 증상.
  • 구격 (舊格) : 옛날부터의 격식.
  • 구격 (具格) : 격식을 갖춤. 또는 격식에 맞음.
  • 국격 (國格) : 나라의 품격.
  • 귀격 (귀格) : → 구격. (구격: 격식을 갖춤. 또는 격식에 맞음.)
  • 귀격 (貴格) : 흔하지 않은 체격.
  • 규격 (規格) : 일정한 규정에 들어맞는 격식.
  • 기격 (基格) : 기본이 되는 격식.
  • 기격 (氣格) : 기품과 인격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내격 (來格) : 어떤 곳에 오거나 이름. 특히 제사 때에 귀신이 도착하는 것을 이른다.
  • 대격 (對格) :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격.
  • 동격 (同格) : 한 문장에서, 어떤 단어나 구절이 다른 단어나 구절과 문장 구성에서 같은 기능을 가지는 일.
  • 묵격 (墨格) : 책 속에 글자가 빈 곳에 검게 인쇄된 것.
  • 문격 (文格) : 글의 품격.
  • 물격 (物格) :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
  • 변격 (變格) : 일정한 규칙에서 벗어난 격식.
  • 별격 (別格) : 보통 것과 다른 특별한 형체나 격식.
  • 보격 (補格) : 문장 안에서, 체언이 보어임을 표시하는 격.
  • 본격 (本格) : 근본에 맞는 올바른 격식이나 규격.
  • 빈격 (賓格) :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시하는 격.
  • 사격 (寺格) : 절의 자격이나 등급. 문적(門跡), 본사(本寺), 별원(別院), 말사 따위가 있다.
  • 사격 (沙格) : 사공과 그 옆에서 일을 도와주는 곁꾼.
  • 사격 (斜格) : 인도ㆍ유럽어에서, 주격ㆍ호격 이외의 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상격 (上格) : 뛰어나고 높은 격.
  • 상격 (賞格) : 공로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상을 주는 규정.
  • 상격 (相格) : 관상에서, 얼굴의 생김새를 이르는 말.
  • 선격 (船格) : 조선 시대에, 사공(沙工)의 일을 돕던 수부(水夫).
  • 성격 (成格) : 격식을 이룸.
  • 성격 (性格) :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이나 품성.
  • 속격 (俗格) : 속된 격식. 또는 세상에서의 일반적인 격식.
  • 속격 (屬格) : 문장 안에서, 앞에 오는 체언이 뒤에 오는 체언의 관형어임을 보이는 격.
  • 수격 (壽格) : 오래 살 수 있게 생긴 골격.
  • 수격 (手格) : 주먹을 불끈 쥐고 침.
  • 승격 (昇格) : 지위나 등급 따위가 오름. 또는 지위나 등급 따위를 올림.
  • 시격 (詩格) : 시의 격식이나 품격.
  • 신격 (神格) : 신으로서의 자격이나 격식.
  • 실격 (失格) : 격식에 맞지 아니함.
  • 어격 (語格) : 말을 할 때 갖추어야 하는 일정한 격식.
  • 엄격 (嚴格) : 말, 태도, 규칙 따위가 매우 엄하고 철저함. 또는 그런 품격.
  • 여격 (與格) : 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나타내는 체언이 무엇을 받는 자리에 있음을 보이는 격.
  • 예격 (例格) : 이전부터 정하여져 내려오는 격식.
  • 운격 (惲格) : 중국 청나라 초기의 화가(1633~1690). 자는 수평(壽平). 호는 남전(南田)ㆍ백운외사(白雲外史). 사왕오운의 한 사람으로, 시서화(詩書畫)에 모두 뛰어나고, 특히 화조화(花鳥畫)에 몰골법을 가미하여 발전시켰다.
  • 운격 (韻格) : 고상하고 우아한 멋.
  • 원격 (原格) : 원래의 격식.
  • 위격 (位格) : 자유 의지를 가지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존재.
  • 위격 (位格) : 지위와 품격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위격 (違格) : 도리에 어긋남.
  • 율격 (律格) : 격식이나 규격.
  • 은격 (隱格) : 관상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얼굴의 생김새.
  • 인격 (人格) : 사람으로서의 품격.
  • 일격 (逸格) : 뛰어난 품격.
  • 입격 (入格) : 소과(小科) 또는 초시(初試)의 과거에 합격함. 또는 그런 일.
  • 자격 (字格) : 글자를 쓰는 법칙.
  • 자격 (資格) : 일정한 신분이나 지위.


https://dict.wordrow.kr에서 格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 경 (景)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태인(泰仁), 해주(海州) 등이 현존한다.
  • 경 (景) : 무대의 같은 장에서 등장인물의 교체 따위로 변화가 일어나는 장면.
  • 가경 (佳景) : 빼어나게 아름다운 경치.
  • 강경 (江景) :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읍. 내포평야의 중심지로, 금강의 하류에 있으며 호남선의 중요한 철도역이다.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상공업ㆍ어업이 활발하다. 한때는 대구, 평양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시장으로 유명하였다.
  • 경개 (景槪)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관 (景觀)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풍경.
  • 경광 (景光)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교 (景敎) : 옛 중국에서 '네스토리우스교'를 이르던 말. 당나라 태종 9년(635)에 페르시아인에 의하여 중국에 전래되었다. (네스토리우스교: 네스토리우스가 창시한 기독교의 한 파. 그리스도의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불일치를 주장하여 이단시되었으나 교리는 페르시아를 거쳐 인도와 중국에까지 퍼졌다.)
  • 경기 (景氣) : 매매나 거래에 나타나는 호황ㆍ불황 따위의 경제 활동 상태.
  • 경릉 (景陵)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하나. 조선 헌종과 비(妃) 효현 왕후 및 계비(繼妃) 효정 왕후의 능이다.
  • 경릉 (景陵) : 황해북도 장풍군 대덕산리에 있는 고려 문종의 능.
  • 경명 (景命) : 임금의 명령을 이르던 말.
  • 경모 (景慕) : 우러러 사모함.
  • 경문 (景門) : 점술에서, 팔문(八門)의 하나. 구궁(九宮)의 하나인 화성(火星)이 본자리가 되는 길한 문이다.
  • 경물 (景物) :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치.
  • 경번 (景樊) : '허난설헌'의 자. (허난설헌: 조선 중기의 시인(1563~1589).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난설헌은 호.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발휘하였으며, 특히 한시에 능하였다. 한시에 <유선시(遊仙詩)>, 가사 작품에 <규원가>, <봉선화가> 따위가 있고, 유고집에 ≪난설헌집≫이 있다.)
  • 경복 (景福) : 크나큰 복.
  • 경상 (景狀) : 좋지 못한 몰골.
  • 경상 (景象)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색 (景色) : 정경이나 광경.
  • 경성 (景星) : 상서로운 별. 태평성대에 나타난다고 한다.
  • 경승 (景勝) : 경치가 좋음. 또는 그런 곳.
  • 경앙 (景仰) : 덕망이나 인품을 사모하여 우러러봄.
  • 경왕 (景王) : 발해의 제13대 왕(?~893?). 성은 대(大). 이름은 현석(玄錫). 중국 당나라 및 일본과 교역을 활발히 하였다. 재위 기간은 871~893?년이다.
  • 경운 (景雲) : 상서로운 구름.
  • 경조 (景祚) : 아주 크나큰 복.
  • 경종 (景宗) : 조선 제20대 왕(1688~1724). 이름은 윤(昀). 자는 휘서(輝瑞). 재임 기간 동안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여 신임사화가 일어나는 등 당쟁이 절정을 이루었다. 재위 기간은 1720~1724년이다.
  • 경종 (景宗) : 고려 제5대 왕(955~981). 이름은 유(怞). 자는 장민(長民). 즉위 초에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는 등 의욕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뒤에 정사를 돌보지 않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재위 기간은 975~981년이다.
  • 경처 (景處) : 경치가 뛰어난 곳.
  • 경천 (景天) :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 정도이며, 잎은 초록색이나 더러는 자줏빛을 띠는데, 두껍고 다닥다닥 어긋나서 기와를 포갠 것처럼 보인다. 가을에 잎 사이에서 20cm가량의 꽃줄기가 나와 피침 모양의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산속의 바위 위에 저절로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경취 (景趣)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치 (景致)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태 (景泰) : 중국 명나라 대종 때의 연호(1450~1456).
  • 경품 (景品) : 특정한 기간 동안 많은 상품을 팔고 손님의 호감을 얻기 위해, 일정한 액수 이상의 상품을 사는 손님에게 곁들여 주는 물품.
  • 경풍 (景風) : 뱃사람들의 은어로, '남풍'을 이르는 말. (남풍: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 경한 (景閑) : 고려 시대의 승려(1299~1374). 백운 화상(白雲和尙)이라고도 한다. 1370년에 공부선(工夫選)의 시관(試官)이 되었다. 저서에 세계 최고(最古)의 주자본(鑄字本)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있다.
  • 경행 (景行) : 훌륭한 행실.
  • 경황 (景況) : 정신적ㆍ시간적인 여유나 형편.
  • 관경 (官景) : 신라의 장군(?~?). 927년 견훤이 침입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고려에 투항하여 고려 태조로부터 왕씨(王氏) 성을 하사받고 대승(大丞)이 되었다.
  • 광경 (光景) : 벌어진 일의 형편과 모양.
  • 근경 (近景) : 가까이 보이는 경치. 또는 가까운 데서 보는 경치.
  • 도경 (圖景) : 그림으로 그린 경치나 모양.
  • 도영 (倒影/倒景) : 해 질 무렵의 그림자.
  • 만경 (晩景) : 해 질 무렵의 경치.
  • 모경 (暮景) : 저녁때의 경치.
  • 미경 (美景) : 아름다운 경치.
  • 배경 (背景) : 뒤쪽의 경치.
  • 분경 (盆景) : 조그마한 정원.
  • 산경 (山景) : 산의 경치.
  • 서경 (敍景) : 자연의 경치를 글로 나타냄.
  • 서경 (曙景) : 동이 틀 무렵의 경치.
  • 석경 (夕景) : 저녁 햇빛의 그늘.
  • 설경 (雪景) : 눈이 내리거나 눈이 쌓인 경치.
  • 소경 (小景) : 자그마한 경치.
  • 소경 (韶景) : 화창한 봄 경치.
  • 숙경 (淑景) : 봄의 맑은 경치.
  • 승경 (勝景) : 뛰어난 경치.
  • 식경 (寔景) : 매우 좋은 경치.
  • 실경 (實景) : 실제의 경치나 광경.
  • 야경 (野景) : 들의 경치.
  • 야경 (夜景) : 밤의 경치.
  • 연경 (煙景) : 구름이나 연기 따위가 한가로이 어리어 있는 아름다운 경치.
  • 영종 (影從/景從) : 그림자처럼 따라다님.
  • 완경 (玩景) : 풍경 따위를 즐김.
  • 우경 (雨景) : 비가 올 때의 경치.
  • 원경 (遠景) : 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 유경 (流景) : 해가 질 무렵의 경치.
  • 이경 (異景) : 색다른 풍경.
  • 일경 (一景) : 한 가지의 경치나 흥취.
  • 장경 (場景) : 그 장면의 광경.
  • 전경 (全景) : 한눈에 바라보이는 전체의 경치.
  • 전경 (前景) : 앞쪽에 보이는 경치.
  • 절경 (絕景) :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경치.
  • 점경 (點景) : 멀리 점점이 이루어진 경치.
  • 정경 (情景) : 사람이 처하여 있는 모습이나 형편.
  • 조경 (造景) : 경치를 아름답게 꾸밈.
  • 종경 (縱景) : 세로로 보이는 경치.
  • 주경 (主景) : 경치의 주된 풍경이나 대상. 원림 풍경의 경우에는 폭포, 못, 꽃밭 따위로 이루어진다.
  • 중경 (中景) : 근경과 원경 사이의 중간 정도에서 보이는 경치.
  • 즉경 (卽景) : 그 자리에서 보는 광경이나 눈앞의 경치.
  • 진경 (眞景) : 생활 따위의 실제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진경 (珍景) : 진귀한 경치나 구경거리.
  • 참경 (慘景) : 끔찍하고 비참한 광경.
  • 추경 (秋景) : 가을의 경치.
  • 춘경 (春景) : 봄철의 경치.
  • 치경 (致景) : 썩 좋은 경치.
  • 토경 (兔景) : 달에서 비쳐 오는 빛.
  • 퇴경 (頹景) : 쇠퇴한 모양.
  • 팔경 (八景) : 어떤 지역에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덟 군데의 경치. 중국의 샤오샹(瀟湘) 팔경에서 유래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관동 팔경ㆍ단양 팔경 따위가 있다.
  • 풍경 (風景)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하경 (夏景) : 여름 경치.
  • 호경 (好景) : 좋은 경치.
  • 화경 (化景) : 불교를 믿음.
  • 화경 (化景) : 변화하는 경치.
  • 화경 (華景) : 음력 2월을 달리 이르는 말.
  • 활경 (活景) : 생기 있게 움직이는 광경.
  • 후경 (後景) : 후일의 경황.
  • 후경 (侯景) : 중국 남조 시대 양나라의 장군(503~552). 자는 만경(萬景). 처음에 북위에서 벼슬을 하였으나 양나라의 무제(武帝)에게 투항하였으며, 후에 반역하여 스스로 한제(漢帝)라고 칭하다가 곧 왕승변(王僧辨)에게 패하였다.
  • 강경선 (江景線) : 호남선 채운역에서 분기하여 동남쪽으로 연무대에 이르는 철도. 1958년 5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5.8km.


https://dict.wordrow.kr에서 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타 (朶) : 꽃송이나 꽃가지를 세는 단위.
  • 고타 (古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붙인 무기. 둥근 쇠붙이를 은으로 도금한 은골타(銀骨朶), 표범의 가죽으로 싼 표골타(豹骨朶), 곰의 가죽으로 싼 웅골타(熊骨朶)가 있다.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골타 (骨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붙인 무기. 둥근 쇠붙이를 은으로 도금한 은골타(銀骨朶), 표범의 가죽으로 싼 표골타(豹骨朶), 곰의 가죽으로 싼 웅골타(熊骨朶)가 있다.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만타 (萬朶) : 수많은 꽃송이.
  • 이타 (耳朶) :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
  • 화타 (花朶) : 꽃이 핀 가지.
  • 백운타 (白雲朶) : 꽃이 희며 꽃잎이 크고 두꺼운 국화.
  • 은골타 (銀骨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은으로 도금하여 붙인 무기.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홍운타 (紅雲朶) : 빛이 붉고 두꺼운 국화.
  • 백운타회 (白雲朶膾) : 백운타의 꽃잎을 넣어서 만든 육회나 생선회.


https://dict.wordrow.kr에서 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 여갱 (藜羹) : 명아주로 끓인 국이라는 뜻으로, 맛없고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곽 (藜藿) :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로 (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었다. 잎은 촘촘히 어긋나고 평행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게 넓은 타원형이고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있다. 7~8월에 연한 황백색의 꽃이 줄기 끝에 원뿔 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뿌리줄기에는 독이 있어 농업용 살충제 또는 한약재로 쓴다. 산속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여장 (藜杖)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여철 (藜鐵)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여회 (藜灰) : 명아주를 불에 태운 재. 어루러기나 혹을 없애는 데 쓴다.
  • 질려 (蒺藜) :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핀다. 꽃과 뿌리, 씨는 약용한다.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데 한국, 인도,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청려 (靑藜)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백질려 (白蒺藜) : 꽃이 흰 남가새.
  • 연려실 (燃藜室) : '이긍익'의 호. (이긍익: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ㆍ연려실(燃藜室). 소론의 한 사람으로, 당론을 강력히 주장하여 노론(老論)이 집권하자 여러 번 귀양을 갔다. 실학을 제창하였고 고증학파 학자로서도 유명하다. 저작(著作)은 대부분 유실되고 ≪연려실기술≫만 남아 있다.)
  • 자질려 (紫蒺藜) : '남가새'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남가새: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핀다. 꽃과 뿌리, 씨는 약용한다.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데 한국, 인도,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질려자 (蒺藜子) : 말린 남가새의 열매. 간기(肝氣)가 몰려서 옆구리가 아픈 데나 두통, 눈병, 피부 가려움증에 쓴다.
  • 질려철 (蒺藜鐵)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질려포 (蒺藜砲) : 마름쇠가 든 탄환(彈丸)을 내쏘던 화포(火砲). 전략적으로 중요한 길에 탄환을 쏘아 마름쇠를 뿌려서 적병(敵兵)의 공격을 막았다.
  • 참여로 (참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박새와 비슷하나 여로의 꽃이 달린 것이 다르다. 8~9월에 검은 자주색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뿌리와 줄기는 약용한다.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데 제주도와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 철질려 (鐵蒺藜)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청려장 (靑藜杖)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긴잎여로 (긴잎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100cm이며, 잎은 주로 아래쪽에 달리는데 위로 갈수록 좁아진다.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화서를 이루고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를 맺는다. 강원,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 나도여로 (나도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모양은 여로와 비슷하며 독이 있다. 뿌리줄기는 약용하며,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의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소질려포 (小蒺藜砲) : 타원 모양으로 생긴 불화살. 폭발하면서 수많은 마름쇠를 날려 보낸다.
  • 여곽지복 (藜藿之福) : 명아주 잎과 콩잎을 먹는 복이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반찬을 즐기며 욕심 없이 검소하고 마음 편히 사는 복을 이르는 말.
  •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 조선 정조 때에 이긍익이 펴낸 역사책. 조선 태조 이래 현종까지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400여 가지에 달하는 야사(野史)에서 자료를 수집ㆍ분류하여 사견(私見)이 섞이지 않은 공정한 필치로 엮었다. 59권 42책.


https://dict.wordrow.kr에서 藜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 공계 (栱枅) : 가로로 걸친 보.
  • 공아 (栱牙) : 신라 때에, 공포(栱包)를 구성하던 방법의 하나. 구조가 주삼포형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다.
  • 공포 (栱包/貢包) :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두공 (枓栱/枓工/杜空) : 공청(空廳), 불벽에 장화반 대신으로 쓰는 나무.
  • 박공 (牔栱/欂栱)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제공 (提栱/諸貢) :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인 공포.
  • 초공 (草栱/草工) : 큰 규모의 목조 건축물에서, 도리가 좌우로 구르지 아니하도록 기둥 위와 도리 사이에 설치하는 기둥 받침. 풀잎 무늬를 새겨 넣는다.
  • 화공 (花栱) : 꽃무늬를 새긴 두공(枓栱).
  • 귀제공 (귀提栱) : 귀기둥 위에 짜인 제공.
  • 단익공 (單翼栱) :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 단입공 (單入栱) :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 박공각 (牔栱刻) : 박공 끝에 새김질하여 꾸민 무늬.
  • 박공널 (牔栱널)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박공못 (牔栱못) : 박공에 박는 큰 못.
  • 박공벽 (牔栱壁) : 박공처마 밑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벽.
  • 박공집 (牔栱집) : 박공지붕으로 된 집.
  • 박공판 (牔栱板)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삼제공 (三提栱) : 공포에서 이제공 위에 짜인 셋째 제공.
  • 심제공 (心提栱) : 귀제공에서 기둥 중심선의 수직면에 짜인 제공.
  • 이제공 (二提栱) : 주삼포 집 기둥에 덧붙이는 쇠서받침. 오포(五包)와 칠포(七包) 집에는 각각 삼제공, 사제공이라고 한다.
  • 초제공 (初提栱) : 제공 가운데 제일 밑에 짜인 첨차와 살미의 한 층. 주삼포의 집에는 기둥 위에 초방(初枋)과 교차하여 짜고, 삼포 이상의 집에는 기둥머리 위에 장화반과 교차하여 짠다.
  • 까치박공 (까치牔栱) : 팔작집 용마루의 양쪽 머리에 'ㅅ' 자 모양으로 붙인 널빤지.
  • 박공마루 (牔栱마루) : 지붕마루에서, 박공에 나란하게 처마까지 경사가 지게 하여 내린 마루.
  • 박공지붕 (牔栱지붕) :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이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 박공처마 (牔栱처마) : 박공벽 바깥으로 내민 처마.
  • 부른박공 (부른牔栱) : 중간이 위로 휘어 오른 박공. 부른지붕에 쓴다.
  • 욱은박공 (욱은牔栱) : 삼각형의 박공널 밑면이 곡선으로 휜 박공.
  • 삼출목 제공 (三出目提栱) : 귀제공의 기둥 중심에서 세 번째로 내민 제공.
  • 이출목 제공 (二出目提栱) : 기둥 중심으로부터 두 번 또는 두 번째로 나앉은 출목의 제공.
  • 익공식 두공 (翼工式枓栱) : 포벽이 없고 기둥 사이에 두공 대신 화반이 놓이는 건물 양식. 경쾌한 느낌을 주며, 누각이나 정자에 많이 쓰인다.
  • 일출목 제공 (一出目提栱) : 기둥의 중심선에서 한 줄 또는 첫 번째로 내민 제공.
  • 박공 장식 (牔栱裝飾) : 좌우 박공이 맞닿는 곳에 보강과 장식을 겸하여 박아 대는 철물.
  • 출목 제공 (出目提栱) : 기둥 중심선에서 내밀어 짜인 제공.
  • 포식 두공 (包式枓栱) : 공포로 장식한 두공. 익공식 두공보다 무게가 있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栱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 가릉 (訶陵) : 9~10세기 무렵에 지금의 인도네시아 자바의 중부 지역에 있었던 나라. 중국 당나라에 자주 조공을 바쳤다.
  • 가자 (訶子) : 가리륵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래된 설사, 기침, 분변혈(糞便血), 대하(帶下) 따위에 쓴다.
  • 마가 (摩訶) : → 마하. (마하: '위대함', '뛰어남', '많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마하 (摩訶) : '위대함', '뛰어남', '많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저가 (詆訶) : 성내어 나무라거나 꾸짖음.
  • 가려륵 (訶黎勒) : 사군자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5~30미터이며, 잎은 길고 둥글다. 꽃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초가을에 갈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한방에서 '가자'라 하여 이질이나 가래에 약으로 쓰이고 재목은 가구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인도 북부와 미얀마가 원산지이고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 가리륵 (訶梨勒) : 사군자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5~30미터이며, 잎은 길고 둥글다. 꽃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초가을에 갈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한방에서 '가자'라 하여 이질이나 가래에 약으로 쓰이고 재목은 가구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인도 북부와 미얀마가 원산지이고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 마하살 (摩訶薩) : '보살'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보살: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삼승(三乘)의 하나. 보살이 큰 서원(誓願)을 세워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는 교법을 이른다., 여자 신도(信徒)를 높여 이르는 말., 머리를 깎지 않고 절에서 사는 여자 신도., '고승'(高僧)을 높여 이르는 말. (고승: 계위(階位)가 높은 승려., 덕이 높은 승려., 출가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마하연 (摩訶衍) :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한다.
  • 사바하 (娑婆訶) : 원만한 성취라는 뜻으로, 진언의 끝에 붙여 그 내용이 이루어지기를 구하는 말.
  • 마하가라 (摩訶迦羅) : 삼전신의 하나. 삼보(三寶)를 지켜 먹을 것을 넉넉하게 하는 신을 이른다. 검은 두건을 쓰고 망치를 들었으며, 쌀자루를 둘러메고 쌀가마니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 마하가섭 (摩訶迦葉) : '마하카시아파'의 음역어. (마하카시아파: 석가모니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욕심이 적고 엄격한 계율로 두타(頭陀)를 행하였고 교단의 우두머리로 존경을 받았다.)
  • 마하마야 (摩訶摩耶) : 석가모니의 어머니.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슈도다나의 왕비로, 석가모니를 낳고 7일 후에 죽었다.
  • 마하지관 (摩訶止觀) : 천태종에서 법화경을 주석한 책. 3대 주석서의 하나로, 중국 수나라 개황(開皇) 14년(594)에 형주(荊州) 옥천사(玉泉寺)에서 지의(智顗) 대사가 강설한 것을 제자 관정(灌頂)이 필기한 책이다. 20권.
  • 저가하다 (詆訶하다) : 헐뜯어 비방하다.
  • 하리제모 (訶利帝母/訶梨帝母) : 해산과 유아 양육을 맡은 신. 만 명의 자식을 두고도 늘 남의 어린아이를 잡아먹으므로 석가모니가 그의 막내아들을 숨겨 놓고 훈계하여 귀의하도록 하였다. 어린아이를 품고 석류를 쥐고 있는 모습이다.
  • 마하가라천 (摩訶迦羅天) : 삼전신의 하나. 삼보(三寶)를 지켜 먹을 것을 넉넉하게 하는 신을 이른다. 검은 두건을 쓰고 망치를 들었으며, 쌀자루를 둘러메고 쌀가마니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 마하바라다 (摩訶波羅多) :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 카우라바스족(Kauravas族)의 백 형제와 판다바스족(Pandavas族) 다섯 형제 사이의 전쟁 이야기로, 힌두교도들의 종교ㆍ철학ㆍ정치ㆍ법률 등의 근본 성전(聖典)으로 존숭을 받는다.
  • 마하발특마 (摩訶鉢特摩) : 팔한 지옥의 하나. 심한 추위로 몸이 얼어 터져서 붉은 연꽃처럼 된다고 하는 지옥이다.
  • 석마하연론 (釋摩訶衍論) : 인도의 나가르주나가 지은 ≪대승기신론≫의 주석서. 후진(後秦)의 벌제마다(筏提摩多)가 번역하였다고 전한다. 10권.
  • 마하만다라화 (摩訶曼陀羅華)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2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6~7월에 깔때기 모양의 흰 꽃이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피고, 열매는 둥근 삭과(蒴果)로 가시 같은 돌기가 많고 10월에 익으며 깨알 같은 흰색 종자가 있다. 씨와 잎은 독이 있으며 약용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마하만주사화 (摩訶曼珠沙華) : 천상에 핀다는 붉은빛의 커다란 꽃. 보는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고 한다.
  • 마하분다리화 (摩訶芬陀利華) : 크고 흰 연꽃. 천축(天竺)의 아누달지에 피어난다고 하며 희귀한 꽃의 뜻으로 쓴다.
  • 마하반야 석론 (摩訶般若釋論) :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 마하반야 바라밀경 (摩訶般若波羅蜜經) : 인도의 승려 쿠마라지바가 홍시(弘始) 6년(404)에 대반야 바라밀다경의 제2분(401~478권)을 따로 번역한 경전. 모든 법이 다 같다는 이치를 밝힌 것으로 '대품반야경'이라고도 한다. 27권. (대품반야경: 모두 27권으로 된 반야경.)
  • 마하반야 바라밀다 (摩訶般若波羅蜜多) : 넓고 큰 지혜로 피안의 경지에 이름.
  • 마하반야 바라밀경 석론 (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 :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 마하반야 바라밀다 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결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것으로 260자로 되어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