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3일 화요일

태수위탈함이: 太守爲脫頷頤

태수위탈함이 (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太守爲脫頷頤 한자 뜻 풀이

  • 太(클 태) : 크다, 심하다, 통하다, 콩, 처음.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守(지킬 수) : 지키다, 벼슬 이름, 임무, 거두다, 찾다. 집[관청의 의미]에서 법도[寸]를 적용한다 뜻에서 파생하여 '지키다'는 의미 생성.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爲(할 위) : 하다, 위하여 하다, …을 위하여 꾀함, 만들다, 다스리다. 위 부분의 손과 아래 부분의 코끼리의 결합으로 코끼리가 물건을 움직이는 것을 비유해 '하다', '만들다' 등의 의미 생성
  • 脫(벗을 탈) : 벗다, 기뻐하다, 허물을 벗다. 짐승의 껍질을 벗겨 살을 드러내게 한다는 의미에서 '벗다', '벗어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兌(태)는 발음 요소
  • 頷(턱 함) : 턱, 끄덕이다, 아래턱, 부황들다, 함련(頷聯).
  • 頤(턱 이) : 턱, 기르다, 후히 대접하다, 어조사, 괘(卦) 이름. '턱'의 의미인데, 후에 봉양하다까지 확대됨


[太] 클 태 (크다, 심하다, 통하다, 콩, 처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고지민 획순 이미지 태고지민(太古之民) : 아득한 옛적의 순박한 백성. [ (: 클 태) (: 예 고) (: 갈 지) (: 백성 민) ]
  • 태평성대(太平聖代) :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 (: 클 태) (: 평평할 평) (: 성스러울 성) (: 대신 대) ]
  • 태평연월(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 (: 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 ]
  • 태을선녀(太乙仙女) : 하늘에 있는 선녀. [ (: 클 태) (: 새 을) (: 신선 선) (: 여자 녀) ]
  • 태평천국(太平天國) :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 (: 클 태) (: 평평할 평) (: 하늘 천) (: 나라 국) ]

[守] 지킬 수 (지키다, 벼슬 이름, 임무, 거두다, 찾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창업수성 획순 이미지 창업수성(創業守成) : 나라를 세우는 일과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비롯할 창) (: 업 업) (: 지킬 수) (: 이룰 성) ]
  • 삼마태수(三馬太守) : 세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守令)이라는 뜻으로, 재물(財物)에 욕심이 없는 깨끗한 관리, 청백리(淸白吏)를 이르는 말. [ (: 석 삼) (: 말 마) (: 클 태) (: 지킬 수) ]
  • 묵수(墨守) :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먹 묵) (: 지킬 수) ]
  • 전이수난(戰易守難) : 싸우기는 쉬워도 지키기는 어려움. [ (: 싸움 전) (: 쉬울 이) (: 지킬 수) (: 어려울 난) ]
  • 수상불변(守常不變) : 떳떳함을 지켜 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정당한 도리(道理)를 지키며 부당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지킬 수) (: 항상 상) (: 아니 불) (: 변할 변) ]

[爲] 할 위 (하다, 위하여 하다, …을 위하여 꾀함, 만들다, 다스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낙위지사 획순 이미지 낙위지사(樂爲之事) : 즐거워서 하는 일.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일. [ (: 할 위) (: 갈 지) (: 일 사) ]
  • 무위무사(無爲無事)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 (: 없을 무) (: 할 위) (: 없을 무) (: 일 사) ]
  • 무위지치(無爲之治)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 (: 없을 무) (: 할 위) (: 갈 지) (: 다스릴 치) ]
  • 호말위구산(毫末爲丘山) :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 (: 가는 털 호) (: 끝 말) (: 할 위) (: 언덕 구) (: 메 산) ]
  • 막차위심(莫此爲甚) : 이에 더할 수 없이 심(甚)함. [ (: 없을 막) (: 이 차) (: 할 위) (: 심할 심) ]

[脫] 벗을 탈 (벗다, 기뻐하다, 허물을 벗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탈토지세 획순 이미지 탈토지세(脫兎之勢) : 달아나는 토끼의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빠른 기세를 이르는 말. [ (: 벗을 탈) (: 토끼 토) (: 갈 지) (: 기세 세) ]
  • 영탈(穎脫) :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 (: 이삭 영) (: 벗을 탈) ]
  •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 삼 해탈문의 하나. 모든 법(法)은 공(空)으로서 차별상(差別相)이 없다고 보고, 자재경(自在境)에 들어가는 선정(禪定)을 이른다. [ (: 없을 무) (: 서로 상) (: 풀 해) (: 벗을 탈) (: 문 문) ]
  •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여탈폐사(如脫弊屣) : 헌신짝 버리듯 한다는 뜻으로, 아낌없이 버림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벗을 탈) (: 해어질 폐) (: 신 사) ]

[頤] 턱 이 (턱, 기르다, 후히 대접하다, 어조사, 괘(卦)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수위탈함이 획순 이미지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이지기사(頤指氣使) : 턱으로 가리키고 기운으로 부린다는 뜻으로, 턱이나 기색, 몸짓 등으로 가리키고 시키는 것처럼 남을 마음대로 부림을 일컫는 말. [ (: 턱 이) (: 손가락 지) (: 기운 기) (使: 부릴 사) ]
  • 기이지수(期頤之壽) : 백세가 되는 사람의 나이라는 뜻으로, 백 살이 된 나이를 이르는 말. [ (: 만날 기) (: 턱 이) (: 갈 지) (: 목숨 수) ]

[頷] 턱 함 (턱, 끄덕이다, 아래턱, 부황들다, 함련(頷聯))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수위탈함이 획순 이미지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연함호두(燕頷虎頭) : 제비 비슷한 턱과 범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 (: 제비 연) (: 턱 함) (: 범 호) (: 머리 두)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두구탄성(杜口呑聲)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 팥배나무 두) (: 입 구) (: 삼킬 탄) (: 소리 성) ]

[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답복철 획순 이미지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아닌가 부) (: 밟을 답) (: 뒤집힐 복) (: 바퀴 자국 철) ]
  • 상복지음(桑濮之音)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 뽕나무 상) (: 강 이름 복) (: 갈 지) (: 소리 음) ]
  •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역린 획순 이미지 역린(逆鱗)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 (: 거스를 역) (: 비늘 린) ]
  •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연함호두(燕頷虎頭) : 제비 비슷한 턱과 범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 (: 제비 연) (: 턱 함) (: 범 호) (: 머리 두) ]

[결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만추가경 획순 이미지 만추가경(晩秋佳景) :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풍경 또는 뒤늦게 큰 결실을 맺음을 이르는 말. [ (: 늦을 만) (: 가을 추) (: 아름다울 가) (: 볕 경) ]
  •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천고마비(天高馬肥) :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높을 고) (: 말 마) (: 살찔 비) ]

[노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신일도하사불성 획순 이미지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 정미할 정) (: 신 신) (: 한 일) (: 이를 도) (: 어찌 하) (: 일 사) (: 아니 불) (: 이룰 성) ]
  • 양지(養志) :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 (: 기를 양) (: 뜻 지) ]
  • 목로(沐露) :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머리감을 목) (: 이슬 로) ]
  • 발분망식(發憤忘食)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 필 발) (: 결낼 분) (: 잊을 망) (: 밥 식) ]
  • 적수성가(赤手成家)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 (: 붉을 적) (: 손 수) (: 이룰 성) (: 집 가) ]

[속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치망순역지 획순 이미지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측수심매인심(測水深昧人心) :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 잴 측) (: 물 수) (: 깊을 심) (: 어두울 매) (: 사람 인) (: 마음 심) ]
  • 지부작족(知斧斫足) :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힌다는 뜻의 우리말 속담을 한역한 것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알 지) (: 도끼 부) (: 벨 작) (: 발 족) ]
  •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 (: 열 십) (: 칠 벌) (: 갈 지) (: 나무 목) ]
  • 적공지탑불휴(積功之塔不隳) :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속담(俗談)의 한역. [ (: 쌓을 적) (: 공 공) (: 갈 지) (: 탑 탑) (: 아니 불) (: 무너뜨릴 휴) ]

[태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이천석 획순 이미지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