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3일 월요일

한자 杵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한자 杵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杵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 구저 (臼杵) : 절구와 절굿공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도저 (搗杵) : 곡식 따위를 찧는 절굿공이.
  • 동저 (銅杵) : 구리로 만든 절굿공이.
  • 목저 (木杵) : 나무로 만든 달굿대.
  • 영저 (鈴杵) : 자루를 금강저 모양으로 만든 방울. 밀교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불구(佛具)이다.
  • 용저 (舂杵) : 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 나무, 돌, 쇠 따위로 만든다.
  • 저구 (杵臼) : 절굿공이와 절구통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저성 (杵聲) : 다듬이질을 하는 소리.
  • 저손 (杵孫) :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 침저 (砧杵) : 다듬이질을 할 때 쓰는 방망이. 두 개가 한 쌍이 되도록 나무로 만든다.
  • 갈마저 (羯磨杵) : 밀교 특유의 불구(佛具). 세 가락의 금강저를 십자 모양으로 엇걸어 만든 형태로 부처가 본래 갖추고 있는 지혜의 작용을 상징한다.
  • 구고저 (九鈷杵) : 아래위의 머리가 아홉 가닥으로 갈라진 금강저(金剛杵).
  • 금강저 (金剛杵) : 승려가 불도를 닦을 때 쓰는 법구(法具)의 하나. 번뇌를 깨뜨리는 보리심을 상징하는데, 독고(獨鈷)ㆍ삼고(三鈷)ㆍ오고(五鈷) 따위가 있다.
  • 삼고저 (三鈷杵) : 양쪽 끝이 세 갈래로 된 금강저. 밀교에서 쓰는 법구(法具)의 하나이다.
  • 상저가 (相杵歌) : 조선 시대의 가사. ≪고금가곡≫에 실려 전하며, 작가가 이황이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오고저 (五鈷杵) : 밀교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법구(法具)의 하나. 양 끝이 다섯 개의 가랑이로 된 금강저이다.
  • 저타령 (杵타령) : 산타령에서 갈라져 나온, 전라도 지방의 잡가. 갖가지 화초들의 이름을 엮어 부른다. 경기 지방 산타령 가운데 놀량의 사설과 비슷하며, 처음은 중모리장단으로, 끝부분은 중중모리장단 또는 굿거리장단으로 부른다.
  • 유혈표저 (流血漂杵) : 흐르는 피가 무거운 방앗공이도 떠 내려보낸다는 뜻으로, 전투가 격렬함을 이르는 말.
  • 저구지교 (杵臼之交) : 귀천을 가리지 않고 사귐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공사목(公沙穆)이 오우(吳祐)의 집에서 방아 찧는 품팔이를 했는데, 오우가 공사목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친교를 맺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화저타령 (花杵타령) : 산타령에서 갈라져 나온, 전라도 지방의 잡가. 갖가지 화초들의 이름을 엮어 부른다. 경기 지방 산타령 가운데 놀량의 사설과 비슷하며, 처음은 중모리장단으로, 끝부분은 중중모리장단 또는 굿거리장단으로 부른다.
  • 저구지교하다 (杵臼之交하다) : 귀천을 가리지 않고 사귀다. 중국 한나라의 공사목(公沙穆)이 오우(吳祐)의 집에서 방아 찧는 품팔이를 했는데, 오우가 공사목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친교를 맺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杵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