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26일 수요일

충간의담: 忠肝義膽

충간의담 (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忠肝義膽 한자 뜻 풀이

  • 忠(충성 충) : 충성, 정성을 다하다, 충직한 정성, 임금을 섬기는 도(道).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肝(간 간) : 간, 정성, 간장(肝臟), 충정(衷情). 오장(五臟)의 하나인 간장의 의미. '干(간)'은 발음
  • 義(옳을 의) : 옳다, 의(義), 뜻, 은혜, 의협. 羊(양)과 我(아)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 '옳다' 등의 의미 생성
  • 膽(쓸개 담) : 쓸개, 담력, 간이 크다, 마음, 닦다. '쓸개'의 의미에서 '담력' 파생. 오른쪽 부분은 발음


[忠] 충성 충 (충성, 정성을 다하다, 충직한 정성, 임금을 섬기는 도(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사필충사사필경 획순 이미지 언사필충사사필경(言思必忠事思必敬) : 말은 반드시 충직(忠直)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반드시 공경(恭敬)의 자세(姿勢)로 할 것을 생각함. [ (: 말씀 언) (: 생각할 사) (: 반드시 필) (: 충성 충) (: 일 사) (: 생각할 사) (: 반드시 필) (: 공경 경) ]
  • 사신이례사군이충(使臣以禮事君以忠) : 신하(臣下)를 예로써 부려야 하고 임금을 충성(忠誠)으로써 섬겨야 함. [ (使: 부릴 사) (: 신하 신) (: 써 이) (: 예도 례) (: 일 사) (: 임금 군) (: 써 이) (: 충성 충) ]
  • 충의지심(忠義之心) :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마음. [ (: 충성 충) (: 옳을 의) (: 갈 지) (: 마음 심) ]
  •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 충신(忠臣)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음. [ (: 충성 충) (: 신하 신) (: 아니 불) (: 일 사) (: 두 이) (: 임금 군) ]
  • 충간의담(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충성 충) (: 간 간) (: 옳을 의) (: 쓸개 담) ]

[義] 옳을 의 (옳다, 의(義), 뜻, 은혜, 의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숙시주의 획순 이미지 숙시주의(熟柿主義) : 감이 익기를 기다리는 주의라는 뜻으로, 홍시(紅柿)가 저절로 떨어져 입에 들어오기를 기다리듯이 호기(好期)가 오기를 앉아서 기다리는 주의. [ (: 익을 숙) (: 감나무 시) (: 주인 주) (: 옳을 의) ]
  • 망은배의(忘恩背義) : 은혜를 모르거나 잊고 의리를 배반함. [ (: 잊을 망) (: 은혜 은) (: 등 배) (: 옳을 의) ]
  • 행즉사의(行則思義) : 행하면 의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일거일동(一擧一動)에 예(禮)를 잃지 않으며, 한 가기 일을 행함에도 의(義)를 생각한다는 의미. [ (: 갈 행) (: 곧 즉) (: 생각할 사) (: 옳을 의) ]
  • 견리망의(見利忘義)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 (: 볼 견) (: 날카로울 리) (: 잊을 망) (: 옳을 의) ]
  • 대의멸친(大義滅親)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 큰 대) (: 옳을 의) (: 멸망할 멸) (: 친할 친) ]

[肝] 간 간 (간, 정성, 간장(肝臟), 충정(衷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간뇌도지 획순 이미지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 간 간) (: 뇌 뇌) (: 진흙 도) (: 땅 지) ]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간 간) (: 쓸개 담) (: 모형 초) (: 넘을 월) ]
  • 충간의담(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충성 충) (: 간 간) (: 옳을 의) (: 쓸개 담) ]
  • 충비서간(蟲臂鼠肝) : 벌레의 팔과 쥐의 간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 벌레 충) (: 팔 비) (: 쥐 서) (: 간 간) ]
  • 토진간담(吐盡肝膽) : 간과 쓸개를 다 토한다는 뜻으로, 실정(實情)을 숨김없이 다 털어놓고 말함을 이르는 말. [ (: 토할 토) (: 다할 진) (: 간 간) (: 쓸개 담) ]

[膽] 쓸개 담 (쓸개, 담력, 간이 크다, 마음, 닦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담 획순 이미지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 맛볼 상) (: 쓸개 담) ]
  • 살기담성(殺氣膽盛) : 살기가 있어서 무엇이라도 무섭지 않음. [ (: 죽일 살) (: 기운 기) (: 쓸개 담) (: 담을 성)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 쥐 서) (: 쓸개 담) ]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간 간) (: 쓸개 담) (: 모형 초) (: 넘을 월) ]
  • 충간의담(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충성 충) (: 간 간) (: 옳을 의) (: 쓸개 담) ]

[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신지책 획순 이미지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 전처소생(前妻所生)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 (: 앞 전) (: 아내 처) (: 바 소) (: 날 생) ]
  • 흠신답례(欠身答禮) : 몸을 굽혀서 답례함. 또는 그런 답례. [ (: 하품 흠) (: 몸 신) (: 대답할 답) (: 예도 례)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 성 성) (: 여우 호) (: 토지신 사) (: 쥐 서) ]

[담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서담 획순 이미지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 쥐 서) (: 쓸개 담) ]
  • 충간의담(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충성 충) (: 간 간) (: 옳을 의) (: 쓸개 담) ]
  • 명목장담(明目張膽) : 눈을 밝게 하고 담을 넓힌다는 뜻으로,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를 내어 일을 함. [ (: 밝을 명) (: 눈 목) (: 베풀 장) (: 쓸개 담) ]
  • 광세영웅(曠世英雄) : 세상에 보기 드문 영웅. [ (: 밝을 광) (: 인간 세) (: 꽃부리 영) (: 수컷 웅) ]
  • 무장공자(無腸公子) :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 (: 없을 무) (: 창자 장) (: 공변될 공) (: 아들 자) ]

[마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 획순 이미지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 사치할 사) (: 놈 자) (: 마음 심) (: 항상 상) (: 가난할 빈) ]
  • 상사일념(相思一念) :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 (: 서로 상) (: 생각할 사) (: 한 일) (: 생각 념) ]
  • 홀홀불락(忽忽不樂) :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 (: 문득 홀) (: 문득 홀) (: 아니 불) (: 즐거울 락) ]
  • 도외치지(度外置之) : 마음에 두지 아니함. [ (: 법도 도) (: 바깥 외) (: 둘 치) (: 갈 지)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충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내심왕실 획순 이미지 내심왕실(乃心王室) : 마음을 왕실에 둔다는 뜻으로, 나라에 충성함을 이르는 말. [ (: 이에 내) (: 마음 심) (: 임금 왕) (: 집 실) ]
  • 견마지역(犬馬之役)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개 견) (: 말 마) (: 갈 지) (: 부릴 역) ]
  • 견마지성(犬馬之誠) : (1)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2)개나 말의 정성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개 견) (: 말 마) (: 갈 지) (: 정성 성) ]
  • 사신이례사군이충(使臣以禮事君以忠) : 신하(臣下)를 예로써 부려야 하고 임금을 충성(忠誠)으로써 섬겨야 함. [ (使: 부릴 사) (: 신하 신) (: 써 이) (: 예도 례) (: 일 사) (: 임금 군) (: 써 이) (: 충성 충) ]
  • 충의지심(忠義之心) :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마음. [ (: 충성 충) (: 옳을 의) (: 갈 지) (: 마음 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