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3일 금요일

좌포우혜: 左脯右醯

좌포우혜 (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左脯右醯 한자 뜻 풀이

  • 左(왼 좌) : 왼, 왼쪽으로 가다, 왼쪽으로 …하다, 낮추보다, 멀리하다. 왼손을 펴고 있는 모양. 후에 '오른손[右]'과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工(공)'을 더함
  • 脯(포 포) : 포, 포를 뜨다,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말린 것, 얇게 저미어 말린 고기, 육포(肉脯). 저미어 말린 고기인 '포'의 의미. '甫(보)'는 발음 역할
  • 右(오른쪽 우) : 오른쪽, 오른쪽으로 가다, 숭상하다, 중요하고 편리하다, 돕다. 오른손을 펴고 있는 모양. '又(우)'와 모양이 유사함. 역시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후에 '口'를 더함
  • 醯(초 혜) : 초, 위태롭다, 초장. 죽에 술을 섞어 만든 '초'의 의미에서 '鬻(죽)'의 생략형에 '酉[술]'과 '皿[용기]'를 결합해 만듦. '식혜'의 의미로도 사용됨


[右] 오른쪽 우 (오른쪽, 오른쪽으로 가다, 숭상하다, 중요하고 편리하다, 돕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좌여우 획순 이미지 남좌여우(男左女右)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 (: 사내 남) (: 왼 좌) (: 너 여) (: 오른쪽 우) ]
  • 우문좌무(右文左武) : 문무를 다 갖추어 천하를 다스림. [ (: 오른쪽 우) (: 글월 문) (: 왼 좌) (: 호반 무) ]
  • 애좌애우(挨左挨右) : 좌로 피하고 우로 피한다는 뜻으로, 서로를 위하는 마음에서 양보하고 피함을 이르는 말. [ (: 두들길 애) (: 왼 좌) (: 두들길 애) (: 오른쪽 우) ]
  • 좌우지명(座右之銘) : 자리 오른쪽의 새김이라는 뜻으로, 늘 자리 옆에 갖추어 놓고 반성의 재료로 삼는 격언 [ = 座右銘]. [ (: 자리 좌) (: 오른쪽 우) (: 갈 지) (: 새길 명)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左] 왼 좌 (왼, 왼쪽으로 가다, 왼쪽으로 …하다, 낮추보다, 멀리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좌여우 획순 이미지 남좌여우(男左女右)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 (: 사내 남) (: 왼 좌) (: 너 여) (: 오른쪽 우) ]
  • 우문좌무(右文左武) : 문무를 다 갖추어 천하를 다스림. [ (: 오른쪽 우) (: 글월 문) (: 왼 좌) (: 호반 무) ]
  • 애좌애우(挨左挨右) : 좌로 피하고 우로 피한다는 뜻으로, 서로를 위하는 마음에서 양보하고 피함을 이르는 말. [ (: 두들길 애) (: 왼 좌) (: 두들길 애) (: 오른쪽 우) ]
  • 피발좌임(被髮左衽)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 (: 이불 피) (: 터럭 발) (: 왼 좌) (: 옷깃 임)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脯] 포 포 (포, 포를 뜨다,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말린 것, 얇게 저미어 말린 고기, 육포(肉脯))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좌포우혜 획순 이미지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현양두매마포(懸羊頭賣馬脯) :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말린 말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선을 가장하여 악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 (: 매달 현) (: 양 양) (: 머리 두) (: 팔 매) (: 말 마) (: 포 포) ]
  • 육산포림(肉山脯林) : 고기가 산을 이루고 포(脯)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몹시 사치스러운 잔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고기 육) (: 메 산) (: 포 포) (: 수풀 림) ]

[醯] 초 혜 (초, 위태롭다, 초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좌포우혜 획순 이미지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사재하 획순 이미지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두일미 획순 이미지 어두일미(魚頭一味) :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 (: 고기 어) (: 머리 두) (: 한 일) (: 맛 미) ]
  • 망운(望雲)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바랄 망) (: 구름 운) ]
  • 양상화매(兩相和賣)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 서로 상) (: 고를 화) (: 팔 매) ]
  • 아편(阿偏) : 아첨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 (: 언덕 아) (: 치우칠 편) ]
  • 불편부당(不偏不黨) : 아주 공평하여 어느 쪽으로도 치우침이 없음. [ (: 아니 불) (: 치우칠 편) (: 아닌가 부) (: 무리 당) ]

[격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단취장 획순 이미지 사단취장(捨短取長) : 길고 짧은 것을 가려서 격식에 맞춘다는 뜻으로,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을 취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예문지(藝文志)>에 나오는 말이다. [ (: 버릴 사) (: 짧을 단) (: 취할 취) (: 길 장)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야옥촌사(野屋村舍) : 격식을 갖추지 않고 조그맣게 지어 놓은 집. [ (: 들 야) (: 집 옥) (: 마을 촌) (: 둘 사) ]
  • 홍동백서(紅東白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 (: 붉을 홍) (: 동녘 동) (: 흰 백) (西: 서녘 서) ]

[왼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좌여우 획순 이미지 남좌여우(男左女右)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 (: 사내 남) (: 왼 좌) (: 너 여) (: 오른쪽 우) ]
  • 피발좌임(被髮左衽)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 (: 이불 피) (: 터럭 발) (: 왼 좌) (: 옷깃 임)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화씨지벽(和氏之璧) :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 (: 고를 화) (: 씨 씨) (: 갈 지) (: 둥근 옥 벽) ]
  • 전후좌우(前後左右) :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곧, 사방(四方)을 이른다. [ (: 앞 전) (: 뒤 후) (: 왼 좌) (: 오른쪽 우) ]

[육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좌포우혜 획순 이미지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속수지례(束脩之禮) : 제자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드리는 예물. 예전에, 중국에서 열 조각의 육포를 묶어 드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묶을 속) (: 포 수) (: 갈 지) (: 예도 례) ]

[제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홍동백서(紅東白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 (: 붉을 홍) (: 동녘 동) (: 흰 백) (西: 서녘 서) ]

[제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산호만세(山呼萬歲) :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 (: 메 산) (: 부를 호) (: 일만 만) (: 해 세) ]
  • 재계목욕(齋戒沐浴) :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 (: 재계할 재) (: 경계할 계) (: 머리감을 목) (: 목욕할 욕)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무사귀신(無祀鬼神) : 자손이 모두 죽어 제사를 지내 줄 사람이 없는 귀신. [ (: 없을 무) (: 제사 사) (: 귀신 귀) (: 신 신) ]

[오른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좌여우 획순 이미지 남좌여우(男左女右)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 (: 사내 남) (: 왼 좌) (: 너 여) (: 오른쪽 우) ]
  • 좌우지명(座右之銘) : 자리 오른쪽의 새김이라는 뜻으로, 늘 자리 옆에 갖추어 놓고 반성의 재료로 삼는 격언 [ = 座右銘]. [ (: 자리 좌) (: 오른쪽 우) (: 갈 지) (: 새길 명)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전후좌우(前後左右) :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곧, 사방(四方)을 이른다. [ (: 앞 전) (: 뒤 후) (: 왼 좌) (: 오른쪽 우) ]
  • 좌사우고(左思右考) : 이리저리 생각하고 헤아림. [ (: 왼 좌) (: 생각할 사) (: 오른쪽 우) (: 상고할 고) ]

[제사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좌포우혜(左脯右醯)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 (: 왼 좌) (: 포 포) (: 오른쪽 우) (: 초 혜)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홍동백서(紅東白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 (: 붉을 홍) (: 동녘 동) (: 흰 백) (西: 서녘 서) ]
  • 어동육서(魚東肉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반찬은 동쪽에 놓고 고기반찬은 서쪽에 놓는 일. [ (: 고기 어) (: 동녘 동) (: 고기 육) (西: 서녘 서)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