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18일 일요일

초동목수: 樵童牧豎

초동목수 (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樵童牧豎 한자 뜻 풀이

  • 樵(땔나무 초) :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땔나무'의 의미에서 '나무하다'는 의미 파생. '焦(초)'는 발음
  • 童(아이 동) : 아이, 땅 이름, 어리석다, 뿔이 나지 않은 어린 양이나 소, 민둥산. 보통 15살 이하의 아이를 표현. '兒(아)'는 젖먹이부터 젊은 남자까지 모두 사용
  • 牧(칠 목) : 치다, 마소를 치는 사람, 목장, 기르다, 성 밖. 소를 치는 사람에서 백성을 기르는 관리의 의미로 확대됨.
  • 豎(더벅머리 수) : 竪의 本字.


[樵] 땔나무 초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길을 급) (: 며느리 부)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牧] 칠 목 (치다, 마소를 치는 사람, 목장, 기르다, 성 밖)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동목수 획순 이미지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 자목지임(字牧之任) : 백성을 돌보아 다스리는 책임이라는 뜻으로, '수령'을 달리 이르는 말. [ (: 글자 자) (: 칠 목) (: 갈 지) (: 맡길 임) ]
  • 십양구목(十羊九牧) : 양 열 마리에 목자가 아홉이라는 뜻으로, 백성에 비해 벼슬아치가 많음을 이르는 말. [ (: 열 십) (: 양 양) (: 아홉 구) (: 칠 목) ]
  • 목민지관(牧民之官) : 백성을 다스려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칠 목) (: 백성 민) (: 갈 지) (: 벼슬 관) ]

[童] 아이 동 (아이, 땅 이름, 어리석다, 뿔이 나지 않은 어린 양이나 소, 민둥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제지동 획순 이미지 해제지동(孩提之童) : 나이가 적은 아이. [ (: 어린아이 해) (: 끌 제) (: 갈 지) (: 아이 동)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길을 급) (: 며느리 부) ]
  • 학발동안(鶴髮童顔) :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 (: 학 학) (: 터럭 발) (: 아이 동) (: 얼굴 안)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 가동주졸(街童走卒) :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 (: 거리 가) (: 아이 동) (: 달릴 주) (: 군사 졸) ]

[豎] 더벅머리 수 (竪의 本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동목수 획순 이미지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가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동목수 획순 이미지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 해약초양(駭躍超驤) :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家畜)의 모습을 말함. [ (: 놀랄 해) (: 뛸 약) (: 넘을 초) (: 머리 들 양) ]
  • 여라독특(驪騾犢特) :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家畜)을 말함. [ (: 노새 라) (: 송아지 독) (: 유다를 특)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식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독학고루 획순 이미지 독학고루(獨學孤陋) :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 (: 홀로 독) (: 배울 학) (: 외로울 고) (: 좁을 루) ]
  • 박학다식(博學多識) :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 (: 넓을 박) (: 배울 학) (: 많을 다) (: 알 식) ]
  • 무식군자(無識君子) :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말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 (: 없을 무) (: 알 식) (: 임금 군) (: 아들 자) ]
  • 안공대(眼孔大) : 눈구멍이 크다는 뜻으로, 식견이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눈 안) (: 구멍 공) (: 큰 대) ]

[아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추조거습 획순 이미지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 옮을 추) (: 마를 조) (: 있을 거) (: 축축할 습) ]
  • 파옹구아(破甕救兒)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 깨뜨릴 파) (: 독 옹) (: 건질 구) (: 아이 아) ]
  • 황구유취(黃口乳臭)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 누를 황) (: 입 구) (: 젖 유) (: 냄새 취) ]
  • 해제지동(孩提之童) : 나이가 적은 아이. [ (: 어린아이 해) (: 끌 제) (: 갈 지) (: 아이 동) ]
  • 양소무시(兩小無猜) : 두 아이가 시기(猜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이들의 천진한 모습을 이르는 말. [ (: 작을 소) (: 없을 무) (: 시기할 시) ]

[총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초동목수 획순 이미지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 결발부부(結髮夫婦) : 총각과 처녀가 혼인하여 맺은 부부. [ (: 맺을 결) (: 터럭 발) (: 지아비 부) (: 며느리 부) ]

[땔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형 획순 이미지 부형(負荊)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 (: 질 부) (: 모형나무 형)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길을 급) (: 며느리 부)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 어염시수(魚鹽柴水) : 생선ㆍ소금ㆍ땔나무ㆍ물이라는 뜻으로,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고기 어) (: 소금 염) (: 섶 시) (: 물 수)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