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담 (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鼠膽 한자 뜻 풀이
- 鼠(쥐 서) : 쥐, 임금 측근의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질병 이름.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膽(쓸개 담) : 쓸개, 담력, 간이 크다, 마음, 닦다. '쓸개'의 의미에서 '담력' 파생. 오른쪽 부분은 발음
[膽] 쓸개 담 (쓸개, 담력, 간이 크다, 마음, 닦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
- 살기담성(殺氣膽盛) : 살기가 있어서 무엇이라도 무섭지 않음. [ (殺: 죽일 살) (氣: 기운 기) (膽: 쓸개 담) (盛: 담을 성)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肝: 간 간) (膽: 쓸개 담) (楚: 모형 초) (越: 넘을 월) ]
[鼠] 쥐 서 (쥐, 임금 측근의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질병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서(社鼠)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城: 성 성) (狐: 여우 호)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부서(腐鼠)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腐: 썩을 부) (鼠: 쥐 서) ]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眠: 잘 면) ]
[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서(社鼠)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城: 성 성) (狐: 여우 호)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부서(腐鼠)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腐: 썩을 부) (鼠: 쥐 서) ]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眠: 잘 면) ]
[담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충간의담(忠肝義膽) :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忠: 충성 충) (肝: 간 간) (義: 옳을 의) (膽: 쓸개 담) ]
- 명목장담(明目張膽) : 눈을 밝게 하고 담을 넓힌다는 뜻으로,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를 내어 일을 함. [ (明: 밝을 명) (目: 눈 목) (張: 베풀 장) (膽: 쓸개 담) ]
- 광세영웅(曠世英雄) : 세상에 보기 드문 영웅. [ (曠: 밝을 광) (世: 인간 세) (英: 꽃부리 영) (雄: 수컷 웅) ]
- 무장공자(無腸公子) :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 (無: 없을 무) (腸: 창자 장) (公: 공변될 공) (子: 아들 자) ]
[쓸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肝: 간 간) (膽: 쓸개 담) (楚: 모형 초) (越: 넘을 월) ]
- 토진간담(吐盡肝膽) : 간과 쓸개를 다 토한다는 뜻으로, 실정(實情)을 숨김없이 다 털어놓고 말함을 이르는 말. [ (吐: 토할 토) (盡: 다할 진) (肝: 간 간) (膽: 쓸개 담) ]
- 부간부념통(附肝附念通) :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한다'는 뜻으로, 속도 없이 이랬다 저랬다 함. [ (附: 붙을 부) (肝: 간 간) (附: 붙을 부) (念: 생각 념) (通: 통할 통)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