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8일 화요일

참초제근: 慘草除根

참초제근 (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慘草除根 한자 뜻 풀이

  • 慘(참혹할 참) : 참혹하다, 애처롭다, 아프다, 해치다, 근심하다. 혹독하게 손상이 일어나 마음에 슬픔을 느낀다는 의미에서 '참혹하다'는 뜻을 생성함. 參(참)은 발음
  • 草(풀 초) : 풀, 풀숲, 잡초, 풀을 베다, 천(賤)하다. 풀이 돋아난 모양인 艸(초)가 부수로 활용되자 발음 '早(조)'를 더해 별도의 글자를 만듦
  • 除(덜 제) : 덜다, 4월의 이칭, 가다, 떠남, 섬돌. 계단과 유사한 언덕의 의미인 阜(부)를 더해 하나하나 나누어 '덜다'는 의미를 도출함. 余는 발음 요소
  • 根(뿌리 근) : 뿌리, 뿌리박다, 뿌리째 뽑아 없애다, 생식기, 능력. 나무의 뿌리에서 '근본'의 의미 생성. '艮(간)'은 발음 요소


[慘] 참혹할 참 (참혹하다, 애처롭다, 아프다, 해치다, 근심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참초제근 획순 이미지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참척지변(慘慽之變) : 자손(子孫)이 부모나 조부모(祖父母)보다 일찍 죽는 변고(變故). [ (: 참혹할 참) (: 근심할 척) (: 갈 지) (: 변할 변) ]
  • 참불인견(慘不忍見) : 너무도 참혹하여 차마 볼 수가 없음. [ (: 참혹할 참) (: 아니 불) (: 참을 인) (: 볼 견) ]
  • 만목수참(滿目愁慘) : 눈에 띄는 모든 것이 시름겹고 참혹함. [ (滿: 찰 만) (: 눈 목) (: 시름 수) (: 참혹할 참) ]

[根] 뿌리 근 (뿌리, 뿌리박다, 뿌리째 뽑아 없애다, 생식기, 능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근연지 획순 이미지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 한가지 동) (: 뿌리 근) (: 가지 지) ]
  •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전초제근(剪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 (: 벨 전)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초근목피(草根木皮)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 (: 풀 초) (: 뿌리 근) (: 나무 목) (: 가죽 피) ]
  • 락엽귀근(落葉歸根) : (1)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자기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 (2)'낙엽귀근'의 북한어. [ (: 잎 엽) (: 돌아갈 귀) (: 뿌리 근) ]

[草] 풀 초 (풀, 풀숲, 잡초, 풀을 베다, 천(賤)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행초언 획순 이미지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바람 풍) (: 갈 행) (: 풀 초) (: 누울 언)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 짧을 단) (: 못 지) (: 외로울 고) (: 풀 초) (: 길 장) (: 통할 통) (: 저자 시) (: 구할 구) (: 날카로울 리) (: 올 래)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녹초청강상(綠草淸江上) : 푸른 풀, 맑은 강가. [ (: 풀 초) (: 맑을 청) (: 강 강) (: 위 상) ]

[除] 덜 제 (덜다, 4월의 이칭, 가다, 떠남, 섬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번 획순 이미지 제번(除煩) : 번거로운 인사말을 덜어 버리고 할 말만 적는다는 뜻으로, 간단한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 덜 제) (: 번거로울 번) ]
  •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전초제근(剪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 (: 벨 전)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파제만사(破除萬事) : 한 가지 일에만 전력하기 위하여 다른 일은 다 제쳐 놓음. [ (: 깨뜨릴 파) (: 덜 제) (: 일만 만) (: 일 사)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걱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참초제근 획순 이미지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만사무심(萬事無心) : (1)모든 일에 관심이 없음. (2)근심이나 걱정으로 다른 일을 돌볼 겨를이 없음. [ (: 일만 만) (: 일 사) (: 없을 무) (: 마음 심) ]
  • 좌불안석(坐不安席)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 (: 앉을 좌) (: 아니 불) (: 편안할 안) (: 자리 석) ]
  • 칠실지우(漆室之憂) :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옻 칠) (: 집 실) (: 갈 지) (: 근심 우) ]
  • 약발통치(若拔痛齒) : 마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걱정을 끼치던 것이 없어져 아주 시원하다는 의미. [ (: 같을 약) (: 뺄 발) (: 아플 통) (: 이 치) ]

[뿌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근연지 획순 이미지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 한가지 동) (: 뿌리 근) (: 가지 지) ]
  • 락화류수(落花流水) :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 (: 꽃 화) (: 물 수) ]
  •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전초제근(剪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 (: 벨 전)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제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참초제근 획순 이미지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두점방맹(杜漸防萌) : 점(漸)은 사물(事物)의 처음. 맹(萌)은 싹.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으로, 곧 좋지 못한 일의 조짐(兆朕)이 보였을 때 즉시(卽時) 그 해(害)로운 것을 제거(除去)해야 더 큰 해(害)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意味). [ (: 팥배나무 두) (: 점점 점) (: 둑 방) (: 싹틀 맹) ]
  • 양호유환(養虎遺患) :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 (: 기를 양) (: 범 호) (: 남길 유) (: 근심 환) ]
  • 호기부제(豪氣不除) : 호기가 제거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선비에게 군자의 아량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호걸 호) (: 기운 기) (: 아닌가 부) (: 덜 제) ]
  • 발안중정(拔眼中釘) : 눈 속의 못을 뽑는다는 뜻으로, 눈에 박힌 못을 뽑듯이 눈에 가시 같은 간신을 제거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뺄 발) (: 눈 안) (: 가운데 중) (: 못 정) ]

[화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참초제근 획순 이미지 참초제근(慘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 (: 참혹할 참)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삭주굴근(削株堀根) : 줄기를 자르고 뿌리를 파낸다는 뜻으로, 즉 미리 화근(禍根)을 뽑아 버림. [ (: 깎을 삭) (: 그루 주) (: 굴 굴) (: 뿌리 근) ]
  • 양호유환(養虎遺患) :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 (: 기를 양) (: 범 호) (: 남길 유) (: 근심 환) ]
  • 삭주굴근(削株掘根) : 줄기를 깎고 뿌리를 파낸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을 없앤다는 의미. [ (: 깎을 삭) (: 그루 주) (: 팔 굴) (: 뿌리 근) ]
  • 호모부가(毫毛斧柯) : (1)어린싹을 뽑아 버리지 않으면 마침내 큰 나무가 된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이르는 말. (2)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함을 이르는 말. [ (: 가는 털 호) (: 털 모) (: 도끼 부) (: 가지 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