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9일 일요일

한자 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한자 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 부 (否) : 아니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비 (否) :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건괘(乾卦)와 곤괘(坤卦)가 거듭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서로 사귀지 못함을 상징한다.
  • 가부 (可否) : 찬성과 반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거부 (拒否) : 요구나 제의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침.
  • 기부 (箕否) : 기자(箕子)의 후손으로 알려진 사람. 조선후(朝鮮侯)라고 이르다가 뒤에 왕이라고 하였다고 전하여진다.
  • 낙부 (諾否) : 허락과 거절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당부 (當否) : 옳고 그름. 또는 마땅함과 그렇지 않음.
  • 부결 (否決) : 의논한 안건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기로 결정함. 또는 그런 결정.
  • 부인 (否認) : 어떤 내용이나 사실을 옳거나 그러하다고 인정하지 아니함.
  • 부정 (否定)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함.
  • 부편 (否便) : 회의에서 안건을 표결할 때 반대하는 편.
  • 부표 (否票) : 회의에서 가부를 표결할 때에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표.
  • 비괘 (否卦) :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건괘(乾卦)와 곤괘(坤卦)가 거듭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서로 사귀지 못함을 상징한다.
  • 비부 (否婦) : 무지한 여인이나 부인.
  • 비색 (否塞) : 운수가 꽉 막힘.
  • 비운 (否運) : 막혀서 어려운 처지에 이른 운수.
  • 비태 (否泰) : 막힌 운수와 터진 운수 즉, 불행과 행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선부 (善否) : 좋음과 나쁨.
  • 성부 (成否) : 일이 되고 안 됨.
  • 숙부 (熟否) : 익음과 익지 아니함. 또는 성숙함과 미숙함.
  • 신부 (信否) : 믿을 수 있는 일과 믿을 수 없는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실부 (實否) : 살림의 넉넉함과 넉넉하지 아니함.
  • 안부 (安否) : 어떤 사람이 편안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 그렇지 아니한지에 대한 소식. 또는 인사로 그것을 전하거나 묻는 일.
  • 양부 (良否) : 좋음과 나쁨.
  • 여부 (與否) : 그러함과 그러하지 아니함.
  • 연부 (然否) : 그러함과 그렇지 아니함.
  • 장부 (臧否) : 착함과 착하지 못함.
  • 적부 (適否) : 알맞음과 알맞지 아니함.
  • 적부 (的否) : 꼭 그러함과 그러하지 아니함.
  • 정부 (正否) : 바른 것과 그른 것.
  • 존부 (存否) : 존재함과 존재하지 않음. 또는 생존함과 생존하지 않음.
  • 진부 (眞否) : 참됨과 거짓됨. 또는 진짜와 가짜.
  • 찬부 (贊否) : 찬성과 불찬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채부 (採否) : 사람을 채용하고 채용하지 아니하는 것.
  • 평부 (平否) : 어떤 사람이 편안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 그렇지 아니한지에 대한 소식. 또는 인사로 그것을 전하거나 묻는 일.
  • 허부 (許否) : 허락함과 허락하지 아니함.
  • 현부 (顯否) : 나타남과 나타나지 않음.
  • 현부 (賢否) : 현명함과 그렇지 못함.
  • 호부 (好否) : 좋음과 나쁨.
  • 휴부 (休否) : 운이 막혀 통하지 아니함.
  • 가부간 (可否間) : 옳거나 그르거나, 찬성하거나 반대하거나 어쨌든.
  • 가부편 (可否便) : 회의에서, 찬성하는 편과 반대하는 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거부감 (拒否感) : 어떤 것에 대해 받아들이고 싶지 않거나 물리치고 싶은 느낌.
  • 거부권 (拒否權) : 거부할 수 있는 권리.
  • 부인권 (否認權) : 부인할 수 있는 권리.
  • 부정문 (否定文) :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문장. '철수는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 '그는 오늘 학교에 가지 못했다.', '무리하게 일을 하지 마라.' 따위이다.
  • 부정성 (否定性) : 바람직하지 아니한 특성이나 성질.
  • 부정식 (否定式) : 소전제에 있어서 가언 명제인 대전제의 후건(後件)을 부정하여 부정적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반가언적 삼단 논법. 이를테면, '공부를 잘하면 학자가 된다. 학자가 아니다. 그러므로 공부를 잘하지 않았다.'와 같은 따위가 있다.
  • 부정어 (否定語) : 부정하는 뜻을 가진 말. '아니', '못', '아니다', '못하다', '말다' 따위이다.
  • 부정적 (否定的) : 바람직하지 못한 것.
  • 가부취결 (可否取決) : 회의에서, 회칙에 따라 의안(議案)의 가부를 결정함.
  • 가타부타 (可타否타) : 어떤 일에 대하여 옳다느니 그르다느니 함.
  • 거부하다 (拒否하다) : 요구나 제의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다.
  • 부결되다 (否決되다) : 의논한 안건이 받아들여지지 아니하기로 결정되다.
  • 부결하다 (否決하다) : 의논한 안건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기로 결정하다.
  • 부인되다 (否認되다) : 어떤 내용이나 사실이 옳거나 그러하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다.
  • 부인하다 (否認하다) : 어떤 내용이나 사실을 옳거나 그러하다고 인정하지 아니하다.
  • 부정되다 (否定되다)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되다.
  • 부정하다 (否定하다)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하다.
  • 비색하다 (否塞하다) : 운수가 꽉 막히다.
  • 신부양난 (信否兩難) : 믿기도 힘들고 아니 믿기도 어려움.
  • 안부하다 (安否하다) : 어떤 사람이 편안하게 잘 지내는지 그렇지 아니한지에 대한 소식을 인사로 전하거나 묻다.
  • 여부없다 (與否없다) : 조금도 틀림이 없어 의심할 여지가 없다.
  • 여부없이 (與否없이) : 조금도 틀림이 없어 의심할 여지가 없이.
  • 여부지사 (與否之事) : 틀리거나 의심할 여지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일.
  • 왈가왈부 (曰可曰否) : 어떤 일에 대하여 옳거니 옳지 아니하거니 하고 말함.
  • 운부천부 (運否天賦) : 좋은 운명이건 나쁜 운명이건 모두 하늘이 내림을 이르는 말.
  • 절대부정 (絕對否定) : 헤겔 변증법의 근본 법칙의 하나. 사물이나 정신은 모두 내부에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첫 번째 자기를 부정하고, 다시 그 상대적 대립 그 자체를 부정하여 한층 높은 종합 통일로 나아가는 일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맨 처음의 규정보다 풍부한 내용을 가진다.
  • 휴부하다 (休否하다) : 운이 막혔을 때 좋은 일을 행하다.
  • 가부취결하다 (可否取決하다) : 회의에서, 회칙에 따라 의안(議案)의 가부를 결정하다.
  • 왈가왈부하다 (曰可曰否하다) : 어떤 일에 대하여 옳거니 옳지 아니하거니 하고 말하다.
  • 부정의 부정 (否定의否定) : 헤겔 변증법의 근본 법칙의 하나. 사물이나 정신은 모두 내부에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첫 번째 자기를 부정하고, 다시 그 상대적 대립 그 자체를 부정하여 한층 높은 종합 통일로 나아가는 일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맨 처음의 규정보다 풍부한 내용을 가진다.
  • 부정적 개념 (否定的槪念) : 어떠한 성질의 존재를 부정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보통 무(無), 불(不), 비(非) 따위의 글자를 붙여서 나타낸다. 무지, 불행, 비정 따위가 있다.
  • 부정적 명사 (否定的名辭) : 부정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곧 부정직(不正直), 무학(無學), 비합리(非合理), 무식(無識) 따위가 있다.
  • 부정적 판단 (否定的判斷) : 어떤 사태가 성립함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판단. 전통적 형식 논리학에서 주사(主辭)의 외연이 빈사(賓辭)의 외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단을 이른다.
  • 긍정적 부정식 (肯定的否定式) : 선언적 삼단 논법의 한 형식으로서, 대전제를 이루는 선언 명제의 한 선언지를 소전제에서 긍정하고 나머지 선언지를 결론에서 부정하는 추리.
  • 대통령 거부권 (大統領拒否權) : 대통령이 의회에서 가결된 법률안에 서명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헌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내각 책임제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 법률안 거부권 (法律案拒否權) : 국회에서 의결되어 정부에 넘어온 법률안에 대하여 대통령이 이의(異議)가 있을 경우에 이의서를 첨부하여 국회에 재의(再議)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
  • 부정적 긍정식 (否定的肯定式) : 선언적 삼단 논법의 한 형식으로서 대전제를 이루는 선언 명제의 한 선언지를 소전제에서 부정하고 나머지 선언지를 결론에서 긍정하는 추리. 일반적으로 선언적 삼단 논법이라고 하면 이런 형식의 추리를 가리킨다.
  • 부정적 논리곱 (否定的論理곱) : 부정 회로와 논리곱 회로로 이루어지는 논리 연산. 출력이 논리곱 회로의 반대가 되어, 둘 다 '참'일 때만 출력이 '거짓'이 되고 나머지 경우는 모두 '참'이 된다.
  • 부정적 논리합 (否定的論理合) : 출력이 논리합의 반대로 나오는 연산. 변수 '가'와 '나'가 주어졌을 때 '가'와 '나'가 모두 거짓일 때에만 출력이 '참'으로 나온다.
  • 절대적 거부권 (絕對的拒否權) : 대통령이나 군주가 국회에서 통과된 법률안을 완전히 거부할 수 있는 권리.
  • 절대적 부정성 (絕對的否定性) : 헤겔 변증법의 근본 법칙의 하나. 사물이나 정신은 모두 내부에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첫 번째 자기를 부정하고, 다시 그 상대적 대립 그 자체를 부정하여 한층 높은 종합 통일로 나아가는 일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맨 처음의 규정보다 풍부한 내용을 가진다.
  • 거부 반응 (拒否反應) : 조직이 잘 맞지 않는 장기를 이식하였을 때, 그것을 배제하려고 일어나는 생체 반응. 이식 후 처음 7~10일은 문제가 없어 보이나 곧 염증이나 괴사를 일으키게 된다.
  • 병역 거부 (兵役拒否) : 종교적 신조나 반전사상적 입장에서 병역 의무를 거부하는 일.
  • 부분 부정 (部分否定) : 말하는 사실이 꼭 전부에 대하여 성립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는 부정. '전부가……라고는 할 수 없다'와 같은 형식이 대표적이다.
  • 부정 개념 (否定槪念) : 어떠한 성질의 존재를 부정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보통 무(無), 불(不), 비(非) 따위의 글자를 붙여서 나타낸다. 무지, 불행, 비정 따위가 있다.
  • 부정 논리 (否定論理) : 데이터를 표기할 때에, 일반적인 상태와는 반대로 전압이 높은 상태를 '0', 전압이 낮은 상태를 '1'로 표현하는 일.
  • 부정 명사 (否定名辭) : 부정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곧 부정직(不正直), 무학(無學), 비합리(非合理), 무식(無識) 따위가 있다.
  • 부정 명제 (否定命題) : 부정 판단을 나타낸 명제. 전통적 형식 논리학에서, 주사(主辭)의 외연(外延)이 빈사(賓辭)의 외연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함을 나타내는 명제를 이른다.
  • 부정 부사 (否定副詞) : 용언의 앞에 놓여 그 내용을 부정하는 부사. '아니', '안', '못' 따위가 있다.
  • 부정 소구 (否定訴求) : 광고에서, 상품의 장점이나 편리한 점 따위를 부정적인 면이나 상황과 연결하여 수용자에게 호소하는 일.
  • 부정 신학 (否定神學) : 신(神)에 대해서는 적극적 규정에 대한 부정의 방법으로만 인식할 수 있다는 신학. 신은 피조물인 모든 존재자들과 근본적으로 달라 존재자들에 대하여 내릴 수 있는 적극적 규정을 사용하여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 부정 연산 (否定演算) : 논리 연산에서, 출력이 입력의 반대로 나오는 연산. 입력이 '참'이면 출력은 '거짓'으로, 입력이 '거짓'이면 출력은 '참'으로 나온다.
  • 부정 연습 (否定練習) : 잘못된 동작을 고치기 위하여 그 동작을 그대로 연습하게 하는 일. 잘못인 줄 알고 연습함으로써, 잘못으로 이끄는 체제를 이해하여 동작을 수정할 수 있다.
  • 부정 판단 (否定判斷) : 어떤 사태가 성립함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판단. 전통적 형식 논리학에서 주사(主辭)의 외연이 빈사(賓辭)의 외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단을 이른다.
  • 부정 회로 (否定回路) : 이진 부호 1과 0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각각 0과 1의 출력 신호가 나오는 회로.
  • 이중 부정 (二重否定) : 한번 부정한 것을 다시 한번 부정하여 긍정을 나타내는 일.
  • 자기 부정 (自己否定) : 자기 자신을 부정하는 일. 변증법적 발전의 논리에서 존재의 가장 근본적인 성격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否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한자 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荔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 벽려 (薜荔) : 노박덩굴과의 상록 활엽 덩굴나무.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5~6월에 녹색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가꾸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만려지 (蔓荔枝) : 박과의 한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3미터이고 가늘게 자라며, 덩굴손으로 감아 오른다. 여름과 가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인데 돌기로 덮여 있고 붉고 노랗게 익는다. 어린 과일은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만여지 (蔓荔枝) : 박과의 한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3미터이고 가늘게 자라며, 덩굴손으로 감아 오른다. 여름과 가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인데 돌기로 덮여 있고 붉고 노랗게 익는다. 어린 과일은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석벽려 (石薜荔) :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줄기에 덩굴손이 있어 담이나 나무에 달라붙어 올라가며 심장 모양의 잎은 끝이 세 쪽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6~7월에 황록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흔히 담장이나 벽 밑에 심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여지노 (荔枝奴) : 무환자나뭇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1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두껍고 긴 타원형이다. 4월에 황백색 꽃이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7~8월에 익는데 강모(剛毛)가 많으며 씨에 붙은 용안육은 맛이 달아 식용하고 약용하기도 한다. 인도가 원산지로 동남아시아,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 여지주 (荔枝酒) : 여주의 열매를 까 넣어 담근 술.
  • 여지금대 (荔枝金帶) : 조선 시대에, 이품과 정삼품의 공복(公服)에 띠던 금대. 황금 바탕에 짙은 붉은색 점을 찍은 띠 동을 달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荔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齷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한자 齷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齷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 악착 (齷齪) : 일을 해 나가는 태도가 매우 모질고 끈덕짐. 또는 그런 사람.
  • 악착성 (齷齪性) : 악착스러운 성질이나 특성.
  • 악착이 (齷齪이) : 악착스러운 사람.
  • 악착히 (齷齪히) : 일을 해 나가는 태도가 매우 모질고 끈덕지게.
  • 악착같다 (齷齪같다) : 매우 모질고 끈덕지다.
  • 악착같이 (齷齪같이) : 매우 모질고 끈덕지게.
  • 악착배기 (齷齪배기) : → 악착빼기. (악착빼기: 몹시 악착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악착빼기 (齷齪빼기) : 몹시 악착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악착스레 (齷齪스레) : 매우 모질고 끈덕지게 일을 해 나가는 태도로.
  • 악착하다 (齷齪하다) : 잔인하고 끔찍스럽다.
  • 악착꾸러기 (齷齪꾸러기) : 매우 악착스러운 사람.
  • 악착스럽다 (齷齪스럽다) : 매우 모질고 끈덕지게 일을 해 나가는 태도가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齷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