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3일 화요일

한자 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한자 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持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0개

  • 가지 (加持) : 부처의 힘을 빌려서 병, 재난, 부정 따위를 면하기 위하여 기도를 올리는 일. 또는 그 기도.
  • 견지 (堅持) : 어떤 견해나 입장 따위를 굳게 지니거나 지킴.
  • 고지 (固持) : 놓치지 않고 굳게 가지거나 지님.
  • 구지 (久持) : 맥을 좀 오래 짚어 보는 일. 일반적으로 맥은 1분 정도 보는데 3~5분 정도 보는 것을 이른다.
  • 군지 (軍持) : 승려가 가지고 다니는 물병.
  • 군지 (軍持) : 기름종이를 부채 모양으로 접어 만든 바가지. 꼭대기에 고달이를 달아 끈을 꿰어 차게 되어 있는데, 군졸들이 가지고 다니면서 물을 마시는 데 썼다.
  • 근지 (靳持) : 선뜻 마음이 내키지 아니하여 미룸.
  • 긍지 (矜持) : 자신의 능력을 믿음으로써 가지는 당당함.
  • 담지 (擔持) : 국악에서, 임금이 행차할 때 방향(方響)이나 교방고(敎坊鼓)를 메고 따르는 사람. 방향은 두 사람, 교방고는 네 사람이 멘다.
  • 대지 (對持) : 서로 대립되는 양쪽이 버티고 꼼짝하지 않음.
  • 배지 (陪持) : 지방 관아에서 장계를 가지고 서울에 가던 사람.
  • 보지 (保持) : 온전하게 잘 지켜 지탱해 나감.
  • 봉지 (奉持) : 경건한 마음으로 받들어 지님.
  • 봉지 (奉持) : 조선 시대에, 임금이 거둥할 때 말을 타고 교룡기를 받들고 가던 금군(禁軍).
  • 부지 (扶持/扶支) : 상당히 어렵게 보존하거나 유지하여 나감.
  • 부지 (不持) : 가지고 있지 아니함.
  • 상지 (相持) : 서로 자기의 의견만을 고집하고 양보하지 아니함.
  • 소지 (所持) : 민법에서, 사회 통념으로 보아 물건이 사실적으로 지배되어 있다고 보이는 객관적 상태를 이르는 말.
  • 수지 (受持) : 경전이나 계율을 받아 항상 잊지 않고 머리에 새겨 가짐.
  • 염지 (念持) : 십지(十地)의 넷째 단계. 번뇌를 태워 없애 지혜가 더욱 성하는 단계이다.
  • 유지 (維持) :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변함없이 계속하여 지탱함.
  • 자지 (自持) : 자기가 가짐.
  • 작지 (作持) : 불상, 불당, 탑을 만들고 경전을 외는 일 따위의 선근(善根)을 쌓는 온갖 좋은 일.
  • 전지 (傳持) : 교법(敎法)을 전하여 받아 지님. 또는 그런 일.
  • 주지 (住持) : 절을 주관하는 승려.
  • 지견 (持見) : 전부터 지니고 있던 견해.
  • 지경 (持經) : 경전을 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읽고 욈. 또는 그런 일.
  • 지계 (持戒) : 계를 받은 사람이 계법(戒法)을 지킴.
  • 지구 (持久) : 오랫동안 버티어 견딤.
  • 지군 (持軍) :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옷을 입고 탈과 벙거지를 쓴다.
  • 지극 (持戟) : 창을 지님. 또는 그런 병사.
  • 지난 (持難) : 일을 얼른 처리하지 아니하고 질질 끌며 미루기만 함.
  • 지론 (持論) : 늘 가지고 있거나 전부터 주장하여 온 생각이나 이론.
  • 지만 (持滿) : 활시위를 한껏 당김.
  • 지맥 (持脈) : 병을 진찰하기 위하여 손목의 맥을 짚어 보는 일.
  • 지병 (持病) : 오랫동안 잘 낫지 아니하는 병.
  • 지보 (持保) : 가지고 있거나 간직하고 있음.
  • 지복 (持服) : 상중에 상복을 입음.
  • 지분 (持分) : 공유물이나 공유 재산 따위에서, 공유자 각자가 소유하는 몫. 또는 그런 비율.
  • 지불 (持佛) : 자기가 거처하는 방에 안치하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며 모시는 불상.
  • 지설 (持說) : 늘 가지고 있거나 전부터 주장하여 온 생각이나 이론.
  • 지세 (持勢) : 가축이 다리를 딛고 선 모양.
  • 지속 (持續) : 어떤 상태가 오래 계속됨. 또는 어떤 상태를 오래 계속함.
  • 지신 (持身) : 제 몸의 처신.
  • 지심 (持尋) : 예전에, 관부(官府)에서 토지를 측량할 때에 그 지방 사람으로 하여금 안내하게 하던 일.
  • 지약 (持藥) : 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먹는 약.
  • 지율 (持律) : 계율을 굳게 지킴.
  • 지자 (持字) : 지방 관아들 사이에서 공문서나 물건을 지고 다니던 사람.
  • 지재 (持齋) : 정오를 지나서는 밥을 먹지 않는다는 계법을 지킴.
  • 지점 (持點) : 당구에서, 제각기 얼마씩 치기로 정한 점수.
  • 지정 (持正) : 바른 도리를 취하고 지킴.
  • 지주 (持株) : 소유하고 있는 주식(株式).
  • 지중 (持重) : 몸가짐을 점잖고 무게 있게 함.
  • 지지 (支持) : 어떤 사람이나 단체 따위의 주의ㆍ정책ㆍ의견 따위에 찬동하여 이를 위하여 힘을 씀. 또는 그 원조.
  • 지지 (止持) : 몸과 말로 하는 나쁜 짓을 억제하여 죄업을 짓지 아니함.
  • 지참 (持參) : 무엇을 가지고서 모임 따위에 참여함.
  • 지출 (持出) : 물품을 가지고 나감.
  • 지평 (持平) :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사헌부에 속한 종오품 벼슬.
  • 지피 (持彼) : 격구에서, 배지(排至)를 한 다음 막대기의 바깥쪽으로 공을 돌려 밀어 당기는 동작.
  • 지헌 (持憲) : 법을 행사할 권리를 가짐.
  • 초지 (初持) : 맥을 짧은 시간 짚어 보는 일. 일반적으로 맥은 1분 정도 짚어 보는데, 이보다 짧은 시간 짚어 보는 것을 이른다.
  • 파지 (把持) : 꽉 움키어 쥐고 있음.
  • 포지 (抱持) : 안아 일으킴.
  • 포지 (抱持) : 마음에 지님.
  • 품지 (稟持) : 불법을 전하여 받아 잘 간직함.
  • 행지 (行持) : 불도를 닦아 지님.
  • 협지 (挾持) : 옆에서 부축함.
  • 호지 (護持) : 보호하여 지님.
  • 휴지 (携持) :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님.
  • 가지문 (加持門) : 중생이 부처의 가르침을 믿고 받아들이게 하기 위하여 부처나 보살이 나타내는 작용이나 힘.
  • 가지신 (加持身) : 중생이 받아들이기에 알맞은 몸으로 나타나서 설법하고 교화하는 불신.
  • 군지수 (軍持手) : 군지(軍持)를 들고 있는 천수관음의 마흔 번째 손.
  • 긍지감 (矜持感) : 긍지를 갖는 마음.
  • 긍지심 (矜持心) : 긍지를 갖는 마음.
  • 보지자 (保持者) : 지니고 있는 사람.
  • 부지군 (負持군) : → 짐꾼. (짐꾼: 짐을 지어 나르는 사람.)
  • 부지꾼 (負持꾼) : → 짐꾼. (짐꾼: 짐을 지어 나르는 사람.)
  • 소지금 (所持金) : 몸에 지니고 있는 돈. 또는 가진 돈.
  • 소지인 (所持人) : 어떤 물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
  • 소지자 (所持者) : 어떤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
  • 소지죄 (所持罪) : 법으로 금지하는 물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마약이나 총포를 소지하는 따위이다.
  • 소지품 (所持品) : 가지고 있는 물품.
  • 속지기 (粟持伎) : 소그드인의 탈춤. 또는 그 탈춤에 쓰는 음악.
  • 염지불 (念持佛) : 사실(私室)에 모셔 두거나 몸에 지니며 항상 공양하는 작은 불상.
  • 유지량 (維持量) : 약물을 연속 투여할 때에 체액 중의 약물 농도를 유효 농도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유효 혈중 농도.
  • 유지비 (維持費) : 무엇을 지니거나 지탱하는 데 드는 비용.
  • 유지자 (維持者) : 어떤 상태를 지탱하여 나가는 사람.
  • 윤지충 (尹持忠) : 조선 정조 때의 천주교인(1759~1791). 교명은 바오로. 정약용의 외사촌으로, 그의 가르침에 따라 천주교를 믿고 영세를 받았다. 정조 13년(1789) 베이징에 가서 견진 성사를 받고 귀국하여 어머니 장사 때 천주교 의식에 따라 초상을 치른 것이 죄가 되어 신해박해 때 처형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 자지반 (自持飯) : 어딘가에 갈 때 자기가 먹을 것을 지님.
  • 전화지 (轉花持) : 춘앵전(春鶯囀)에서, 뒤로 두 팔을 여미고 한 팔씩 들고 솟아 뛰는 춤사위.
  • 조지겸 (趙持謙) : 조선 숙종 때의 문신(1639~1685). 자는 광보(光甫). 호는 오재(汚齋). 형조 참의와 경상도 관찰사를 지냈다. 같은 서인이었던 김익훈이 모반 사건을 조작하여 남인을 해치려 하자 이를 탄핵하고, 윤증과 함께 소론의 우두머리가 되어 노론의 송시열과 대립하였다.
  • 지구력 (持久力) : 오랫동안 버티며 견디는 힘.
  • 지구성 (持久性) : 오래도록 버티어 견디는 성질.
  • 지구적 (持久的) : 오랫동안 버티어 견디는 것.
  • 지구전 (持久戰) : 승부를 빨리 내지 아니하고 오랫동안 끌어 가며 싸우는 전쟁이나 시합.
  • 지국천 (持國天) : 사왕천(四王天)의 하나. 지국천왕이 다스리는 수미산 중턱 동쪽의 하늘이다.
  • 지금강 (持金剛) : 여래의 비밀 사적을 알아서 오백 야차신을 부려 현겁(賢劫) 천불의 법을 지킨다는 두 신. 절 문 또는 수미단 앞의 좌우에 세우는데, 허리에만 옷을 걸친 채 용맹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왼쪽은 밀적금강으로 입을 벌린 모양이며, 오른쪽은 나라연금강으로 입을 다문 모양이다.
  • 지념종 (持念宗) : 진언종의 한 파. 우리나라 밀교의 시초로서, 신라 문무왕 5년(665)에 혜통 대사가 개종(開宗)하였다. 뒤에 남산종과 합하여 총남종이 되었다. 개성 총지사, 전주 주석사, 경주 신충봉성사 따위가 중심 도량이다.
  • 지련화 (持蓮華) : 보살상(菩薩像)에 들리는, 나무로 만든 반쯤 핀 연꽃.


https://dict.wordrow.kr에서 持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癧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한자 癧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癧에 관한 단어는 모두 21개

  • 결력 (結癧) : 겨드랑이에 생긴 오래된 나력(瘰癧).
  • 근력 (筋癧) : 목의 양쪽 힘줄 사이에 생기는 나력. 간이 상하여 생기는 것으로, 크고 작은 멍울이 비교적 단단하게 생기고 체온의 변화가 심하며, 피로하거나 성이 나면 증세가 더 심해지고 몸이 차차 여윈다.
  • 기력 (氣癧) : 목의 좌우측에 생긴 나력(癩癧).
  • 나력 (瘰癧) : '결핵목림프샘염'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결핵 목 림프샘염: 목이나 귀의 뒷부분 또는 겨드랑이에 콩알만 하거나 좀 더 큰 멍울이 생기는 병.)
  • 내력 (嬭癧) : 여자가 첫 월경을 하게 되는 즈음에 유방 부위에 둥글고 편평한 멍울이 생겨 아픈 병증. 통증은 심하지 않고 대개 몇 주일이 지나면 점차 멍울이 풀려서 저절로 낫는다.
  • 누력 (漏癧) : 나력(瘰癧)이 곪아 터진 뒤 누공(漏孔)이 생겨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증상.
  • 석력 (石癧) : 나력(瘰癧)의 하나. 주로 목이나 겨드랑이에 생기며, 돌같이 단단하게 만져지고 잘 낫지 않는다.
  • 역풍 (癧風) : 목에 얼룩점이 생기는 병.
  • 유력 (乳癧) : 여자가 첫 월경을 하게 되는 즈음에 유방 부위에 둥글고 편평한 멍울이 생겨 아픈 병증. 통증은 심하지 않고 대개 몇 주일이 지나면 점차 멍울이 풀려서 저절로 낫는다.
  • 임력 (淋癧/痳癧) : 오줌 누는 횟수는 많으나 양은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아니하는 증상.
  • 풍력 (風癧) : 나력(瘰癧) 가운데 하나. 작은 멍울이 지면서 몹시 가렵다.
  • 과등력 (瓜藤癧) : 피부에 솟아난 큰 결절이 목, 가슴, 겨드랑이 등으로 퍼져 가면서 생긴 나력.
  • 기력옹 (𤷍癧癰) : 젖꼭지 옆에 생긴 단단한 멍울.
  • 기양력 (蜞瘍癧) : 젖가슴이나 허벅다리 따위의 살결이 부드러운 곳에 생기는 나력(瘰癧).
  • 나력루 (瘰癧瘻) : 감루(疳瘻)의 하나. 나력이 생겨 곪아 뚫린 구멍에서 늘 고름이 나는 병이다.
  • 나력창 (瘰癧瘡) : 나력이 심하여 곪아 터진 헌데.
  • 마도력 (馬刀癧) : 나력의 하나. 마도라가 심해져서 가슴, 겨드랑이 아래까지 콩알보다 큰 멍울이 염주처럼 줄지어 생긴다.
  • 반사력 (蟠蛇癧) : 목 주위에 돌아가면서 전반적으로 멍울이 생기는 나력(瘰癧).
  • 봉와력 (蜂窩癧) : 왼쪽 귀 밑에 생긴 벌집 같은 나력(瘰癧).
  • 유주력 (流注癧) : 나력(瘰癧)의 하나. 목의 림프샘에서 시작하여 온 몸의 림프샘이 부어오른다. 다발성 림프샘 결핵에 해당한다.
  • 연주 나력 (連珠瘰癧) : 목 주위에 염주처럼 줄지어 멍울이 생기는 림프샘염. 이것이 헐어서 터지면 연주창이 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癧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吼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개

한자 吼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吼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개

  • 규후 (叫吼) : 사자 따위의 짐승이 울부짖음.
  • 노후 (怒吼) : 성내어 으르렁거림.
  • 비후 (悲吼) : 크고 사나운 짐승이 슬피 울부짖음. 또는 그런 울음.
  • 일후 (一吼) : 크게 한 번 소리를 내어 울부짖음.
  • 효후 (哮吼) : 사나운 짐승 따위가 으르렁거림.
  • 사자후 (獅子吼) : 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규후하다 (叫吼하다) : 사자 따위의 짐승이 울부짖다.
  • 노후하다 (怒吼하다) : 성내어 으르렁거리다.
  • 비후하다 (悲吼하다) : 크고 사나운 짐승이 슬피 울부짖다.
  • 일우후지 (一牛吼地) : 소의 울음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의 땅.
  • 일후하다 (一吼하다) : 크게 한 번 소리를 내어 울부짖다.
  • 효후하다 (哮吼하다) : 사나운 짐승 따위가 으르렁거리다.
  • 사자후하다 (獅子吼하다) : 부처가 위엄 있는 설법을 하다.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吼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