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7일 수요일

한자 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3개

한자 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傍에 관한 단어는 모두 93개

  • 근방 (近傍) : 가까운 주변.
  • 노방 (路傍) : 길의 양쪽 가장자리.
  • 도방 (道傍) : 길의 양쪽 가장자리.
  • 방각 (傍刻) : 도장의 옆면에 글자를 새김. 또는 그렇게 새겨진 글자.
  • 방계 (傍系) : 직접적이고 주(主)된 계통에서 갈라져 나가거나 벗어나 있는 관련 계통.
  • 방관 (傍觀)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함.
  • 방배 (傍輩) : 같은 주인 밑에서나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
  • 방백 (傍白) : 연극에서, 등장인물이 말을 하지만 무대 위의 다른 인물에게는 들리지 않고 관객만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약속되어 있는 대사.
  • 방비 (傍妃) : 임금의 첩을 왕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방생 (傍生) : 몸이 옆으로 되어 있는 생물. 벌레, 날짐승, 물고기 따위를 이른다.
  • 방서 (傍書) : 본문 옆에 씀.
  • 방선 (傍線) : 세로쓰기에서 글줄의 오른편에 내리긋는 줄. 가로쓰기에서의 밑줄과 같다.
  • 방섭 (傍涉) : 다른 분야의 책을 섭렵함.
  • 방손 (傍孫) : 방계(傍系)에 속하는 혈족의 자손.
  • 방수 (傍受) : 무선 통신에서, 통신을 직접 받는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통신을 우연히 또는 고의적으로 수신함.
  • 방실 (傍室) : 안방에서 대청을 건너 맞은편에 있는 방.
  • 방심 (傍心) : 삼각형의 방접원의 중심. 삼각형의 세 각 가운데 한 각의 내각 이등분선과 다른 두 각의 외각 이등분선의 교점이다.
  • 방우 (傍羽) : 조선 시대에, 무관이 융복을 입을 때 주립(朱笠)을 장식하던 공작의 깃. 공작의 꽁지깃을 무늬를 맞추어서 길이 46cm, 넓이 15cm 정도로 미선(尾扇)과 같이 둥글게 결어서 만들었으며, 무신 이외에 별감(別監), 겸내취 등도 능행(陵幸)을 따를 때는 초립에 꽂았다.
  • 방인 (傍人) : 옆이나 곁의 사람.
  • 방점 (傍點) : 글 가운데에서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글자 옆이나 위에 찍는 점.
  • 방접 (傍接) : 다각형의 한 변과 거기에 인접하는 두 변의 연장선에 어떠한 도형이 접하는 일.
  • 방조 (傍助) : 곁에서 도와줌.
  • 방조 (傍照) :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법조문을 참조하는 일.
  • 방조 (傍祖) : 육대조(六代祖) 이상이 되는, 직계가 아닌 방계의 조상.
  • 방종 (傍腫) : 부스럼이 번져서 옆으로 돋은 작은 부스럼.
  • 방주 (旁註/傍註) : 본문 옆이나 본문의 한 단락이 끝난 뒤에 써넣는 본문에 대한 주석.
  • 방증 (傍證) :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줌. 또는 그 증거.
  • 방참 (傍參) : 방청하려고 참여함.
  • 방창 (傍唱) : 가극, 영화, 무용 따위의 예술에서 주인공의 내면세계나 극적 정황, 극 진행을 무대나 화면 밖에서 설명하고 보충하는 노래.
  • 방첨 (傍籤) : 간단히 적거나 표하여서 붙이는 작은 종이쪽지.
  • 방청 (傍聽) : 정식 성원이 아니거나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이 회의, 토론, 연설, 공판(公判), 공개 방송 따위에 참석하여 들음.
  • 방친 (傍親) : 방계(傍系)의 친척.
  • 방평 (傍評) : 곁에서 보는 사람의 눈으로 비평함.
  • 방회 (傍灰) : 장례 때에, 관을 땅에 묻으면서 그 언저리에 메우는 석회.
  • 사방 (四傍) : 심장, 간, 허파, 콩팥의 네 가지 장기.
  • 양방 (兩傍) : 두 곁 또는 오른쪽과 왼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재방 (在傍) : 곁에 있음.
  • 측방 (側傍) : 가까운 곁이나 옆.
  • 노방초 (路傍草) : 길가에 나 있는 풀이라는 뜻으로, 흔히 '기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생: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나 춤 또는 풍류로 흥을 돋우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
  • 도방처 (道傍處) : 길가 근처에 있어서, 사람들이 자주 오가는 곳.
  • 방계친 (傍系親) : 같은 시조(始祖)에서 갈라져 나온 친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및 그 자손 사이의 관계 따위를 이른다.
  • 방관시 (傍觀視)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함.
  • 방관인 (傍觀人)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는 사람.
  • 방관자 (傍觀者)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는 사람.
  • 방관적 (傍觀的)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는.
  • 방열형 (傍熱型) : 음극(陰極)이 곁에 있는 가열기에 의하여 열을 받아서 열전자를 내보내게 되어 있는 진공관.
  • 방접원 (傍接圓) : 삼각형의 한 변과 다른 두 변의 연장선에 접하는 원.
  • 방청객 (傍聽客) : 방청하는 사람.
  • 방청권 (傍聽券) : 방청을 허락하는 표.
  • 방청권 (傍聽權) : 방청할 수 있는 권리.
  • 방청생 (傍聽生) : 방청으로 강의에 참가한 학생이나 일반인.
  • 방청석 (傍聽席) : 방청하는 사람들이 앉는 자리.
  • 방청인 (傍聽人) : 방청하는 사람.
  • 방청자 (傍聽者) : 방청하는 사람.
  • 심방변 (心傍邊) : 한자 부수의 하나. '마음심(心)' 부수가 '性', '情' 따위에서 '忄'로 쓰일 때의 이름이다.
  • 우부방 (右阜傍) : 한자 부수의 하나. '고을읍(邑)' 부수가 '郡', '鄕' 따위에서 '阝'으로 쓰일 때의 이름이다.
  • 재방변 (才傍邊) : 한자 부수의 하나. '손수(手)' 부수가 '打', '技' 따위에서 '扌'으로 쓰일 때의 이름이다.
  • 재방자 (在傍者) : 곁에 있는 사람.
  • 노방잔읍 (路傍殘邑) : 큰길가의 작은 고을이라는 뜻으로, 큰길 왕래가 잦은 벼슬아치를 접대하느라고 백성의 생활이 몹시 피폐해진 작은 마을을 이르는 말.
  • 방각하다 (傍刻하다) : 도장의 옆면에 글자를 새기다.
  • 방관하다 (傍觀하다)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다.
  • 방서하다 (傍書하다) : 본문 옆에 쓰다.
  • 방섭하다 (傍涉하다) : 다른 분야의 책을 섭렵하다.
  • 방수하다 (傍受하다) : 무선 통신에서, 통신을 직접 받는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통신을 우연히 또는 고의적으로 수신하다.
  • 방약무인 (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 방조하다 (傍照하다) :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법조문을 참조하다.
  • 방조하다 (傍助하다) : 곁에서 도와주다.
  • 방증하다 (傍證하다) :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주다.
  • 방참하다 (傍參하다) : 방청하려고 참여하다.
  • 방청하다 (傍聽하다) : 정식 성원이 아니거나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이 회의, 토론, 연설, 공판(公判), 공개 방송 따위에 참석하여 듣다.
  • 방평하다 (傍評하다) : 곁에서 보는 사람의 눈으로 비평하다.
  • 선칼도방 (선칼刀傍) : 한자 부수의 하나. '칼도(刀)' 부수가 '刑', '別' 따위에서 '刂'로 쓰일 때의 이름이다.
  • 수수방관 (袖手傍觀) :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려둠을 이르는 말.
  • 악방봉뢰 (惡傍逢雷) : 죄지은 사람 옆에 있다가 벼락을 맞는다는 뜻으로, 나쁜 짓을 한 사람과 함께 있다가 죄 없이 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 이미기방 (이미旣傍) : 한자 부수의 하나. '旣'에 쓰인 '旡'를 이른다.
  • 작사도방 (作舍道傍) : 길가에 집 짓기라는 뜻으로, 무슨 일에 여러 사람의 의견이 서로 달라서 얼른 결정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 재방하다 (在傍하다) : 곁에 있다.
  • 방관시하다 (傍觀視하다) : 어떤 일에 직접 나서서 관여하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다.
  • 방약무인하다 (傍若無人하다)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다.
  • 수수방관하다 (袖手傍觀하다) : 간섭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려두다.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방열형 음극 (傍熱型陰極) : 방열형 열음극의 하나. 음극의 온도가 비교적 균일하게 되어 있으며 열을 받으면 열전자를 내보낸다.
  • 노방 전도 (路傍傳道) : 단체로 길거리에 나와서 하는 전도.
  • 동방 내각 (同傍內角) : 두 직선을 제3의 직선이 교차하여 끊었을 때에, 두 직선 안에서 마주 대하고 있는 각. 예를 들어 d와 a', c와 b' 따위를 이른다.
  • 동방 외각 (同傍外角) : 두 직선에 다른 하나의 선분이 교차할 때에, 두 직선 밖의 같은 쪽으로 향한 두 각.
  • 방계 가족 (傍系家族) : 직계 존속과 직계 비속 이외의 친족을 포함한 가족.
  • 방계 비속 (傍系卑屬) : 방계 혈족 가운데 자기보다 항렬이 낮은 친족. 생질, 종손 따위가 있다.
  • 방계 인물 (傍系人物) : 작품에서 단역을 맡아 등장하는 인물.
  • 방계 인족 (傍系姻族) : 배우자의 방계 혈족과 방계 혈족의 배우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방계 존속 (傍系尊屬) : 방계 혈족 가운데 자기보다 항렬이 높은 친족. 백부모, 숙부모, 종조부모 따위가 있다.
  • 방계 친족 (傍系親族) : 방계 혈족과 방계 인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방계 혈족 (傍系血族) : 같은 시조(始祖)에서 갈라져 나간 혈족. 백부모, 숙부모, 생질, 형제자매 등이며 법률에서는 8촌 이내 방계 혈족 사이의 혼인을 무효로 인정한다.
  • 방계 회사 (傍系會社) : 어느 회사의 계통(系統)을 이어받기는 하였으나, 자회사(子會社)보다는 그 관계가 밀접하지 않고 지배권도 비교적 덜 미치는 회사.
  • 방조 인용 (傍照引用) :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다른 법조문을 끌어다 적용하는 일.


https://dict.wordrow.kr에서 傍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1월 16일 화요일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錨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 대묘 (大錨) : 배에서, 이물의 좌우에 있는 닻과 예비로 갖춘 닻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묘박 (錨泊) :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름.
  • 묘삭 (錨索) : 닻을 매다는 줄. 밧줄이나 쇠줄로 되어 있다.
  • 묘상 (錨床) : 선박에서 닻을 놓기 위하여 갑판 위에 설치한 대.
  • 묘쇄 (錨鎖) : 닻에 연결된 쇠사슬.
  • 묘지 (錨地) : 배가 닻을 내리고 정박하는 곳.
  • 발묘 (拔錨) : 내렸던 닻을 거두어 올린다는 뜻으로, 배가 떠남을 이르는 말.
  • 소묘 (小錨) : 선박에 예비로 마련하여 두는 닻.
  • 양묘 (揚錨) : 닻을 감아올림.
  • 주묘 (主錨) : 배의 앞머리에 있는 닻.
  • 중묘 (中錨) : 배의 고물 부근에 두어 고물의 흔들림을 막거나 좌초될 때에 배의 몸을 고정하려고 쓰는 닻.
  • 철묘 (鐵錨) : 쇠로 만든 닻.
  • 투묘 (投錨) : 배를 정박하고자 닻을 내림.
  • 하묘 (下錨) : 닻을 내림. 또는 배를 항구에 댐.
  • 단묘박 (單錨泊) : 배가 닻 하나를 내리고 머무르는 일.
  • 묘쇄고 (錨鎖庫) : 닻사슬을 넣어 두는 창고.
  • 묘쇄공 (錨鎖孔) : 닻사슬이나 닻줄이 통과하도록 배의 외판에 뚫은 구멍.
  • 묘쇄관 (錨鎖管) : 닻사슬이나 닻줄이 통과하도록 배의 외판과 갑판 사이에 설치한 관.
  • 선미묘 (船尾錨) : 배의 고물에 있는 닻.
  • 선수묘 (船首錨) : 배의 앞머리에 있는 닻.
  • 쌍묘박 (雙錨泊) : 두 개의 닻을 내리고 정박하는 일.
  • 양묘기 (揚錨機) : 배의 닻을 감아 올리고 풀어 내리는 장치를 한 기계.
  • 양묘망 (兩錨網) : 두 개의 닻으로 고정한 낭장망. 그물을 든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쓴다.
  • 우현묘 (右舷錨) : 오른쪽 뱃전에 매단 닻.
  • 좌현묘 (左舷錨) : 왼쪽 뱃전에 매단 닻.
  • 묘박하다 (錨泊하다) :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르다.
  • 발묘하다 (拔錨하다) : 배가 떠나다. 내렸던 닻을 거두어 올린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양묘하다 (揚錨하다) : 닻을 감아올리다.
  • 투묘하다 (投錨하다) : 배를 정박하고자 닻을 내리다.
  • 하묘하다 (下錨하다) : 닻을 내리다. 또는 배를 항구에 대다.
  • 쌍묘박하다 (雙錨泊하다) : 두 개의 닻을 내리고 정박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錨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陳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3개

  • 진 (陳) : 중국 춘추 시대, 제후국 가운데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호공(胡公) 만(滿)에게 봉한 나라.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화이양현(淮陽縣)에 있었는데, 세력을 떨치지 못하다가 기원전 478년경 초나라에 망하였다.
  • 진 (陳) : 중국 남북조 시대, 남조의 마지막 나라. 557년 진패선(陳霸先)이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한 뒤, 양나라의 정권을 장악하여 제위에 올랐는데, 589년 수나라의 문제에게 망하였다.
  • 진 (陳)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여양(驪陽), 삼척(三陟), 나주(羅州) 등 30여 본이 현존한다.
  • 개진 (開陳) : 주장이나 사실 따위를 밝히기 위하여 의견이나 내용을 드러내어 말하거나 글로 씀.
  • 구진 (口陳) : 입으로 말함.
  • 구진 (句陳) : 동ㆍ서ㆍ남ㆍ북ㆍ중앙의 다섯 방향을 지킨다는 육신(六神)의 하나. 등사(螣蛇)와 함께 방위의 중앙을 맡아 지킨다고 한다.
  • 구진 (久陳) : 음식이 만든 지 오래되어 맛이 변함.
  • 구진 (舊陳) : 여러 해 내버려 둔 땅이나 논밭.
  • 구진 (具陳) : 모든 것을 갖추어 자세히 진술함.
  • 구진 (鉤陳) : 북극에 가장 가까운 여섯 개의 별자리 가운데 갈고리 모양의 별자리.
  • 나진 (羅陳) : 나란히 줄을 지음.
  • 날진 (날陳) : 야생의 매.
  • 내진 (內陳) : 의견 따위를 비공식적으로 은밀히 말함. 또는 그런 진술.
  • 논진 (論陳) : 논하여 진술함.
  • 누진 (縷陳) : 자세하게 진술함.
  • 매진 (枚陳) : 사실대로 낱낱이 들어 말함.
  • 면진 (面陳) : 직접 만나서 진술함.
  • 묘진 (墓陳) : 묘지에 딸려 있어 조세를 면제받는 논밭.
  • 사진 (査陳) : 예전에, 묵힌 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던 일.
  • 산진 (山陳) : 산에서 자라 여러 해를 묵은 매나 새매.
  • 삼진 (三陳) : 세 해를 묵어서 네 살이 된 매나 새매. 동작이 느려 사냥에는 쓰지 못한다.
  • 소진 (疏陳) : 조리 있게 진술함.
  • 소진 (所陳) : 진술한 것.
  • 소진 (訴陳) : 소송의 뜻을 진술하는 일. 원고와 피고의 진술을 뜻한다.
  • 수진 (手陳) :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 신진 (新陳) : 새것과 묵은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재진 (再陳) : 두 해를 묵어서 세 살이 된 매나 새매.
  • 적진 (積陳) : 죽 벌여 쌓음.
  • 전진 (前陳) : 앞에서 이미 진술하거나 논술함.
  • 조진 (條陳) : 조목조목 들어서 말하거나 써서 진술함.
  • 주진 (奏陳) : 임금에게 아뢰던 일.
  • 지진 (地陣/地陳) : 예전에, 진을 치는 세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하천과 구릉 따위의 지형을 이용하여 전쟁에 유리하게 치는 일이다.
  • 지진 (紙陳) : 조선 시대에, 승문원에 속하여 종이 다루는 일을 맡아보던 잡직(雜職).
  • 진결 (陳結) : 묵은 논밭에서 받던 조세.
  • 진계 (陳啓) : 임금에게 사리를 가려서 아뢰던 일.
  • 진고 (陳告) : 윗사람에게 이야기하여 아룀.
  • 진곡 (陳穀) : 묵은 곡식.
  • 진공 (陳供) : 죄를 저지른 사람이 자기의 죄상을 사실대로 말함.
  • 진구 (陳久) : '진구하다'의 어근. (진구하다: 묵은 지 오래되다.)
  • 진국 (陳麴) : 오랫동안 발효시킨 누룩.
  • 진담 (陳談) : 낡고 진부한 이야기.
  • 진답 (陳畓) : 농사를 짓지 아니하고 오래 묵어서 거칠어진 논.
  • 진미 (陳米) : 그해에 난 것이 아닌 오래된 쌀.
  • 진변 (陳辯) : 일의 사정이나 까닭을 말하여 변명함.
  • 진부 (陳腐) : '진부하다'의 어근. (진부하다: 사상, 표현, 행동 따위가 낡아서 새롭지 못하다.)
  • 진사 (陳謝) : 까닭을 설명하며 사과의 말을 함.
  • 진상 (陳狀) : 일의 사정이나 상황을 말함.
  • 진서 (陳書) : 중국 북송 때에, 요사렴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진(陳)나라의 사서(史書).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6권과 열전(列傳)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 진설 (陳設) :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
  • 진성 (陳誠) : → 천청. (천청: 중국의 군인ㆍ정치가(1897~1965). 공산군과의 내전에 공을 세우고,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에는 중국 각 전구(戰區)의 사령관을 지냈으며, 전쟁 후에는 행정원장과 부총통을 겸하였다.)
  • 진성 (陳省) : 지방 관아에서 중앙 관아에 올리는 각종 보고서.
  • 진소 (陳訴) : 사정을 말하여 하소연함.
  • 진소 (陳疏) : 임금에게 글을 올리던 일. 또는 그 글. 주로 간관(諫官)이나 삼관(三館)의 관원이 임금에게 정사(政事)를 간하기 위하여 올렸다.
  • 진수 (陳壽) : 중국 서진(西晉)의 역사가(233~297). 자는 승조(承祚). 삼국 시대에 촉나라를 섬기었으나, 후에 진(晉)나라에 봉사하였다. 중국 정사(正史)의 하나인 ≪삼국지≫를 편찬하였다.
  • 진순 (陳淳) : 중국 명나라의 서화가(1483~1544). 자는 도복(道復). 호는 백양산인(白陽山人). 문징명에게 배웠으며, 화훼화(花卉畫)에 능하였다. 작품에 <만취도(晩翠圖)>가 있다.
  • 진술 (陳述) : 일이나 상황에 대하여 자세하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이야기.
  • 진승 (陳勝) : 중국 진(秦)나라 말기의 농민 반란 지도자(?~B.C.208). 진나라의 이세 황제 원년(B.C.209)에 오광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초나라 왕이 되었다가 6개월 만에 평정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진나라는 멸망하기 시작하였다.
  • 진시 (陳試) : 조선 시대에, 초시(初試)에 급제한 사람이 복시(覆試)에 응하기가 어려울 때에 그 사정을 예조(禮曹)에 고하고 다른 해에 복시를 보던 일.
  • 진언 (陳言) : 낡아 빠지고 케케묵은 말.
  • 진열 (陳列) : 여러 사람에게 보이기 위하여 물건을 죽 벌여 놓음.
  • 진오 (陳吳) : 어떤 일에 선수를 쳐서 앞지르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때에 진승과 오광이라는 사람이 군사를 일으켜 반란에 선수를 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 진용 (陳容) : 중국 남송 말기의 화가(?~?). 자는 공저(公儲). 호는 소옹(所翁). 강한 필력으로 분방하게 용의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 진원 (陳苑) : 중국 원나라의 학자(1256~1330). 자는 입대(立大). 정명 선생(靜明先生)이라고도 불린다. 육구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며, 고도(古道)를 밝히는 일에 힘써서 원나라에서 조해(趙偕)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었다.
  • 진유 (陳喩) : 까닭을 말하여 깨치게 함.
  • 진임 (陳琳) : 중국 후한 말기의 문인(?~?). 건안 칠자의 한 사람으로, 역사적 사실을 이용하여 대구법과 대유법을 많이 사용한 산문이 유명하다.
  • 진장 (陳醬) : 기름을 뺀 콩을 쪄서 볶은 밀가루와 섞고, 곰팡이 씨를 뿌려 메주를 띄운 후, 소금물을 부어 6개월가량 발효시켜 짜낸 간장.
  • 진장 (陳藏) : 겨우내 먹기 위하여 김치를 한꺼번에 많이 담그는 일. 또는 그렇게 담근 김치.
  • 진적 (陳迹) : 지난날의 묵은 자취.
  • 진전 (陳田) : 조선 시대에, 전안(田案)에는 경지로 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경작하지 아니한 토지. 면세전이었다.
  • 진정 (陳情) : 실정이나 사정을 진술함.
  • 진조 (陳朝) : 1225년에서 1413년까지 베트남을 지배하던 왕조. 진경(陳煚)이 세운 것으로, 몽고군에 항거하여 독립을 수호하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드는 등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다가 15대에 중국 명나라에게 망하였다.
  • 진주 (陳奏) : 사정을 윗사람에게 진술하여 아룀.
  • 진주 (陳主) : 조선 시대에, 토지 대장에 나타난 이전(以前) 경작자나 소유자.
  • 진채 (陳菜) : 음력 정월 대보름날, 여름에 더위를 이겨 내기 위하여 먹는 묵은 나물. 박나물, 말린 버섯, 콩나물순, 순무, 무, 가지 고지, 시래기 따위를 무쳐 먹는다.
  • 진청 (陳請) : 사정을 말하여 간청함.
  • 진초 (陳草) : 해를 지난 묵은 담배.
  • 진투 (陳套) :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투.
  • 진편 (陳編/陳篇) : 옛날의 서적.
  • 진평 (陳平) : 중국 한나라의 정치가(?~B.C.178). 한고조를 도와 천하 통일을 이루었으며, 여씨의 난을 평정하였다.
  • 진피 (陳皮) : 말린 귤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래 묵을수록 약효가 좋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위(胃)를 보호하여 소화를 돕고, 담(痰)을 삭이는 데 쓴다.
  • 진현 (陳玄) : '먹'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의 한유(韓愈)가 먹을 의인화하여 부른 데서 유래한다. (먹: 벼루에 물을 붓고 갈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검은 물감. 아교를 녹인 물에 그을음을 반죽하여 굳혀서 만든다., 벼루에 먹을 갈아 만든 검은 물.)
  • 진화 (陳澕) : 고려 시대의 문인(?~?). 호는 매호(梅湖). 시에 능하고 사(詞)에 쓰인 말이 맑고 고와 경지에 달하였으며, 변태 백출(變態百出)한 표현으로 이규보와 더불어 이름을 떨쳤다. 문집 ≪매호유고≫에 시 몇 편이 전한다.
  • 진황 (陳荒) : 논밭이나 들 따위가 묵어서 거칠어짐.
  • 착진 (錯陳) : 뒤섞여 늘어섬. 또는 뒤섞어 늘어놓음.
  • 청진 (請陳) : 권력 있는 양반과 토호들이 자기 하인들을 부려 묵은 밭을 개간할 수 있도록 조정에 청하던 일.
  • 초진 (初陳) : 한 해를 묵어서 두 살이 된 매나 새매.
  • 추진 (追陳) : 뒤에 덧붙여 말한다는 뜻으로, 편지의 끝에 더 쓰고 싶은 것이 있을 때에 그 앞에 쓰는 말.
  • 출진 (出陳) : 전람회나 전시회 따위에 물품을 내놓아 진열함.
  • 포진 (布陳) : 물건 따위를 펴서 늘어놓음.
  • 포진 (鋪陳) : 바닥에 깔아 놓는 방석, 요, 돗자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피진 (披陳) : 생각이나 사정을 숨기지 아니하고 말함. 또는 사정을 피력ㆍ개진함.
  • 구진전 (舊陳田) : 2년 이상 묵은 논밭.
  • 금진전 (今陳田) : 1년 묵은 진전(陳田).
  • 산진매 (山陳매) : 산에서 자라 여러 해를 묵은 매나 새매.
  • 솔인진 (솔茵陳)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깊게 갈라진다. 여름에 노란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줄기나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원뿔형이다. 고산 지대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수진개 (手陳개) : 수지니인 매.
  • 수진매 (手陳매) :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 양진전 (量陳田) : 조선 시대에, 양안(量案)에 진전(陳田)으로 올라 있던 논밭.
  • 어리진 (魚麗陳) : 물고기가 떼를 지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처럼 둥글고 긴 대형이나 진법.


https://dict.wordrow.kr에서 陳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