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과천선 (悔過遷善) : 잘못을 뉘우치고 착한 일을 하게 됨.
悔過遷善 한자 뜻 풀이
- 悔(뉘우칠 회) : 뉘우치다, 뉘우침, 깔봄, 주역의 외괘(外卦), 얕봄. 유감스럽게 뉘우쳐 '후회한다'는 의미 생성. 每(매)는 발음 요소
- 過(지날 과) :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遷(옮길 천) : 옮기다, 천도, 비방(誹謗)하다, 옮음, 서울을 옮김. 위치를 바꾸어 놓는다는 뜻에서 '옮기다'는 의미 생성
- 善(착할 선) : 착하다, 좋게 여기다, 좋음, 선(善), 높다.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善] 착할 선 (착하다, 좋게 여기다, 좋음, 선(善), 높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찬아선첨유지인(面讚我善諂諛之人)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面: 낯 면) (讚: 기릴 찬) (我: 나 아) (善: 착할 선) (諂: 아첨할 첨) (諛: 알랑거릴 유) (之: 갈 지) (人: 사람 인) ]
- 적선지가(積善之家) : 착한 일을 많이 한 집. [ (積: 쌓을 적) (善: 착할 선) (之: 갈 지) (家: 집 가) ]
- 취선보인(取善輔仁) : 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 (取: 취할 취) (善: 착할 선) (輔: 도울 보) (仁: 어질 인)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다전선고(多錢善賈) : 밑천이 넉넉하면 장사를 잘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多: 많을 다) (錢: 돈 전) (善: 착할 선) (賈: 장사 고) ]
[悔] 뉘우칠 회 (뉘우치다, 뉘우침, 깔봄, 주역의 외괘(外卦), 얕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과천선(悔過遷善) : 잘못을 뉘우치고 착한 일을 하게 됨. [ (悔: 뉘우칠 회)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회독지탄(悔毒之歎) : 독약을 마신 뒤에 누우치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뉘우쳐도 이미 소용이 없는 것을 뉘우친다는 의미. [ (悔: 뉘우칠 회) (毒: 독 독)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
- 회개지심(悔改之心) :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 [ (悔: 뉘우칠 회) (改: 고칠 개) (之: 갈 지) (心: 마음 심) ]
- 회과자책(悔過自責) :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꾸짖음. [ (悔: 뉘우칠 회) (過: 지날 과) (自: 스스로 자) (責: 꾸짖을 책) ]
- 참회멸죄(懺悔滅罪) : 참회의 공덕으로 전생에 지은 죄를 없앰. [ (懺: 뉘우칠 참) (悔: 뉘우칠 회) (滅: 멸망할 멸) (罪: 허물 죄) ]
[過] 지날 과 (지나다, 허물, 기름통, 수레바퀴의 굴대에 치는 기름을 담는 통, 들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語: 말씀 어) (言: 말씀 언) (薄: 엷을 박) (過: 지날 과)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개과자신(改過自新)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自: 스스로 자) (新: 새 신) ]
- 과맥전대취(過麥田大醉)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過: 지날 과) (麥: 보리 맥) (田: 밭 전) (大: 큰 대) (醉: 취할 취) ]
-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弟: 아우 제) (雖: 비록 수) (有: 있을 유) (過: 지날 과) (須: 모름지기 수) (勿: 말 물) (聲: 소리 성) (責: 꾸짖을 책) ]
[遷] 옮길 천 (옮기다, 천도, 비방(誹謗)하다, 옮음, 서울을 옮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무상천류(無常遷流) :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천함. [ (無: 없을 무) (常: 항상 상) (遷: 옮길 천) (流: 흐를 류) ]
- 회과천선(悔過遷善) : 잘못을 뉘우치고 착한 일을 하게 됨. [ (悔: 뉘우칠 회)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안토중천(安土重遷) : 고향에서 떠나기를 좋아하지 아니함. [ (安: 편안할 안) (土: 흙 토) (重: 무거울 중) (遷: 옮길 천) ]
- 좌지불천(坐之不遷) : 어떤 자리에 눌러앉아 다른 데로 옮기지 아니함. [ (坐: 앉을 좌) (之: 갈 지) (不: 아니 불) (遷: 옮길 천)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喜: 기쁠 희) (出: 날 출) (望: 바랄 망) (外: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感: 느낄 감) (懷: 품을 회) ]
[잘못]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화호불성(畵虎不成)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 (畵: 그림 화) (虎: 범 호) (不: 아니 불) (成: 이룰 성) ]
- 개과자신(改過自新)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自: 스스로 자) (新: 새 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