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욕근치 (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殆辱近恥 한자 뜻 풀이
- 殆(위태할 태) : 위태하다, 의심하다, 두려워하다, 지치다, 거의.
- 辱(욕될 욕) : 욕되게 하다, 욕보이다, 욕, 거스르다, 더럽히다. 辰(진)은 '별'이고, 寸(촌)은 '법(法)'의 의미. 별로 때를 알아서 농사짓던 것에서 때를 잃었을 때 '법'으로 '욕보인다'는 의미 생성
- 近(가까울 근) : 가깝다, 가까이하다, 어조사(語助辭), 친하게 지냄, 어세(語勢)를 고름.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恥(부끄러워할 치) : 부끄러워하다, 부끄럼, 욕, 도(道)에 어긋남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남에게 당한 부끄러움. 마음속으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의미. 羞(수)와 의미 통함
[恥] 부끄러워할 치 (부끄러워하다, 부끄럼, 욕, 도(道)에 어긋남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남에게 당한 부끄러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불치하문(不恥下問)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 (不: 아니 불) (恥: 부끄러워할 치) (下: 아래 하) (問: 물을 문) ]
- 불고염치(不顧廉恥) :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 [ (不: 아니 불) (顧: 돌아볼 고) (恥: 부끄러워할 치) ]
- 국치민욕(國恥民辱) :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 (國: 나라 국) (恥: 부끄러워할 치) (民: 백성 민) (辱: 욕될 욕) ]
- 경술국치(庚戌國恥) : '국권 피탈'의 전 용어. [ (庚: 일곱째 천간 경) (戌: 개 술) (國: 나라 국) (恥: 부끄러워할 치) ]
[殆] 위태할 태 (위태하다, 의심하다, 두려워하다, 지치다, 거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辱] 욕될 욕 (욕되게 하다, 욕보이다, 욕, 거스르다, 더럽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자비인욕(慈悲忍辱) :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며 욕됨과 고통을 참는 일. [ (慈: 사랑 자) (悲: 슬플 비) (忍: 참을 인) (辱: 욕될 욕) ]
- 국치민욕(國恥民辱) :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 (國: 나라 국) (恥: 부끄러워할 치) (民: 백성 민) (辱: 욕될 욕) ]
- 수즉다욕(壽則多辱) :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됨이 많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지편(天地篇)>에 나오는 말이다. [ (壽: 목숨 수) (則: 곧 즉) (多: 많을 다) (辱: 욕될 욕) ]
- 상욕상투(相辱相鬪) : 서로 욕을 하며 싸움. [ (相: 서로 상) (辱: 욕될 욕) (相: 서로 상) (鬪: 싸움 투) ]
[近] 가까울 근 (가깝다, 가까이하다, 어조사(語助辭), 친하게 지냄, 어세(語勢)를 고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지근지처(至近之處) : 매우 가까운 곳. [ (至: 이를 지) (近: 가까울 근) (之: 갈 지) (處: 머무를 처) ]
- 어불근리(語不近理) :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 데가 있음. [ (語: 말씀 어) (不: 아니 불) (近: 가까울 근) (理: 다스릴 리) ]
- 강근지족(强近之族)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 (强: 굳셀 강) (近: 가까울 근) (之: 갈 지) (族: 겨레 족) ]
- 지원부지근(知遠不知近) : 먼 것은 알고 가까운 것은 모른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알면서 자기 일은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 [ (知: 알 지) (遠: 멀 원)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近: 가까울 근) ]
[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욕편정(邪慾偏情) :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 (邪: 간사할 사) (慾: 욕심 욕) (偏: 치우칠 편) (情: 뜻 정) ]
- 주낭반대(酒囊飯袋) :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酒: 술 주) (囊: 주머니 낭) (飯: 밥 반) (袋: 자루 대) ]
- 황구유취(黃口乳臭)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黃: 누를 황) (口: 입 구) (乳: 젖 유) (臭: 냄새 취) ]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왕척직심(枉尺直尋) : 한 자를 굽혀서 여덟 자를 편다는 뜻으로, 조그만 양보로 큰 이득을 얻거나 작은 어려움을 참아 큰일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枉: 굽을 왕) (尺: 자 척) (直: 곧을 직) (尋: 찾을 심)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喜: 기쁠 희) (出: 날 출) (望: 바랄 망) (外: 바깥 외) ]
[위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성(傾城)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傾: 기울 경) (城: 성 성) ]
- 안여태산(安如泰山) :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 (安: 편안할 안) (如: 같을 여) (泰: 클 태) (山: 메 산)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頭: 머리 두) (之: 갈 지) (勢: 기세 세) ]
- 루란지세(累卵之勢) :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 (卵: 알 란) (之: 갈 지) (勢: 기세 세) ]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총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총증항극(寵增抗極) : 총애(寵愛)가 더할수록 교만(驕慢)한 태도(態度)를 부리지 말고 더욱 조심하여야 함. [ (寵: 괼 총) (增: 불어날 증) (抗: 막을 항) (極: 다할 극) ]
- 회총시위(懷寵尸位) : 총애를 품고 헛되이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의 사랑을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직위를 도둑질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懷: 품을 회) (寵: 괼 총) (尸: 주검 시) (位: 자리 위) ]
- 천하유삼위(天下有三危) :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有: 있을 유) (三: 석 삼) (危: 위태할 위) ]
- 해의의지(解衣衣之) : 자기 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은혜를 남에게 베풀거나 총애(寵愛)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解: 풀 해) (衣: 옷 의) (衣: 옷 의) (之: 갈 지) ]
[치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함구납오(含垢納汚) : 수치(羞恥)를 참고 더러움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임금이 치욕을 잘 참음을 이르는 말. [ (含: 머금을 함) (垢: 때 구) (納: 들일 납) (汚: 더러울 오) ]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국치민욕(國恥民辱) :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 (國: 나라 국) (恥: 부끄러워할 치) (民: 백성 민) (辱: 욕될 욕) ]
- 사생영욕(死生榮辱) : 죽음과 삶과 영예와 치욕의 뜻으로, 인간 삶의 파란만장(波瀾萬丈) 인생 역정의 의미. [ (死: 죽을 사) (生: 날 생) (榮: 영화 영) (辱: 욕될 욕) ]
- 신원설치(伸寃雪恥) : 원한을 풀고 치욕을 씻는다는 뜻으로, 마음에 맺힌 원한을 풀고, 수치스러운 일을 씻어버린다는 의미. [ (伸: 펼 신) (寃: 원통할 원) (雪: 눈 설) (恥: 부끄러워할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