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조상문 (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崇祖尙門 한자 뜻 풀이
- 崇(높을 숭) : 높다, 높이다, 존중하다, 모으다, 차다. 높은 산의 의미에서 '높이 받들다'는 '숭상하다'는 의미 생성
- 祖(할아비 조) :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인간이 정성을 보이는 영적인 존재의 상징으로 '조상'의 의미 생성
- 尙(오히려 상) : 오히려, 더하다, 숭상하다, 높이다, 좋아하다. '높다'는 의미에서 '숭상(崇尙)하다'는 뜻과 함께 서술어 앞에서 부사의 의미로 '오히려', '아직도'의 뜻으로 쓰임
- 門(문 문) : 문, 문간, 집안, 가문, 일가.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 '문' 의미를 지님.
[尙] 오히려 상 (오히려, 더하다, 숭상하다, 높이다, 좋아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시기상조(時機尙早) : 어떤 일을 하기에 아직 때가 이름. [ (時: 때 시) (機: 베틀 기) (尙: 오히려 상) (早: 일찍 조) ]
- 현상백(玄尙白) : 검지만 아직도 희다는 뜻으로, 아직 다 검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도(道)가 미숙(未熟)함을 비웃어 일컫는 말. [ (玄: 검을 현) (尙: 오히려 상) (白: 흰 백) ]
- 예상왕래(禮尙往來) : 예절은 서로 왕래하여 사귐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 [ (尙: 오히려 상) (往: 갈 왕) (來: 올 래) ]
- 의금상경(衣錦尙絅) :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 (衣: 옷 의) (錦: 비단 금) (尙: 오히려 상) (絅: 끌어죌 경) ]
[崇] 높을 숭 (높다, 높이다, 존중하다, 모으다, 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경신숭조(敬神崇祖) : 신(神)을 공경하고 조상을 숭배함. [ (敬: 공경 경) (神: 신 신)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
- 배불숭유(排佛崇儒) :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 (排: 밀칠 배) (佛: 부처 불) (崇: 높을 숭) (儒: 선비 유) ]
[祖] 할아비 조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懸: 매달 현) (祖: 할아비 조) (考: 상고할 고)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祖: 할아비 조) (行: 줄 항)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鼻: 코 비) (祖: 할아비 조) ]
-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玄: 검을 현) (祖: 할아비 조) ]
[門] 문 문 (문, 문간, 집안, 가문, 일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好: 좋을 호) (事: 일 사) (不: 아니 불) (出: 날 출) (門: 문 문) (惡: 악할 악) (事: 일 사) (行: 갈 행)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
- 문외한(門外漢)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 (門: 문 문) (外: 바깥 외) (漢: 한수 한) ]
-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開: 열 개) (門: 문 문) (納: 들일 납) (賊: 도둑 적) ]
-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禍: 재난 화) (福: 복 복) (無: 없을 무) (門: 문 문) (惟: 생각할 유) (人: 사람 인) (自: 스스로 자) (招: 부를 초) ]
- 도문대작(屠門大嚼)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 (屠: 잡을 도) (門: 문 문) (大: 큰 대) (嚼: 씹을 작) ]
[가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토우목마(土牛木馬)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土: 흙 토) (牛: 소 우) (木: 나무 목) (馬: 말 마) ]
- 고량(膏粱) :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 (膏: 기름 고) (粱: 기장 량) ]
[가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溫: 따뜻할 온) (故: 예 고) (知: 알 지) (新: 새 신) ]
- 가문설화(可聞說話)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可: 옳을 가) (聞: 들을 문) (說: 말씀 설) (話: 말할 화) ]
- 신언지서(信言之瑞) : 信은 말의 부절(符節)이라는 뜻으로, 전일(前日)에 한 말이 후일(後日)의 일과 일치함을 이르는 신의(信義)의 소중한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 [瑞는 符(부)의 의미]. [ (信: 믿을 신) (言: 말씀 언) (之: 갈 지) (瑞: 상서 서) ]
- 비례물동(非禮勿動) :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 (非: 아닐 비) (禮: 예도 례) (勿: 말 물) (動: 움직일 동) ]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공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화하목(上和下睦) :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 (上: 위 상) (和: 고를 화) (下: 아래 하) (睦: 화목할 목) ]
- 書차이소자경수서(嗟爾小子敬受此) :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 ]
- 경외지심(敬畏之心) : 공경하면서 두려워하는 마음. [ (敬: 공경 경) (畏: 두려워할 외) (之: 갈 지) (心: 마음 심) ]
- 동동촉촉(洞洞屬屬) : 공경하고 삼가며 매우 조심스러움. [ (洞: 골 동) (洞: 골 동) (屬: 붙을 촉) (屬: 붙을 촉) ]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본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문질빈빈(文質彬彬) :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옹야(雍也)>에 나온다. [ (文: 글월 문) (質: 바탕 질) (彬: 빛날 빈) (彬: 빛날 빈) ]
- 수기치인(修己治人) :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 (修: 닦을 수) (己: 몸 기) (治: 다스릴 치) (人: 사람 인) ]
- 지엽말단(枝葉末端) : 가지와 잎의 맨 끝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인 부분이라는 의미. [ (枝: 가지 지) (葉: 잎 엽) (末: 끝 말) (端: 바를 단) ]
[사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일수백확(一樹百穫) :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 (一: 한 일) (樹: 나무 수) (百: 일백 백) (穫: 거둘 확) ]
- 다사지추(多事之秋) : 일이 많이 벌어진 때. 주로 국가적ㆍ사회적 일이 벌어진 때를 이른다. [ (多: 많을 다) (事: 일 사) (之: 갈 지) (秋: 가을 추) ]
- 영고성쇠(榮枯盛衰) : 인생이나 사물의 번성함과 쇠락함이 서로 바뀜. [ (榮: 영화 영) (枯: 마를 고) (盛: 담을 성) (衰: 쇠할 쇠) ]
[숭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경신숭조(敬神崇祖) : 신(神)을 공경하고 조상을 숭배함. [ (敬: 공경 경) (神: 신 신)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
- 자천배타(自賤拜他) : 자기 것은 천하게 여기고 남의 것만 받듦. [ (自: 스스로 자) (賤: 천할 천) (拜: 절 배) (他: 다를 타) ]
- 대각세존(大覺世尊) : 도를 크게 깨달아 세상에서 높이 숭배를 받는 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 (大: 큰 대) (覺: 깨달을 각) (世: 인간 세) (尊: 높을 존) ]
[숭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백악지장(百樂之丈) :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 (百: 일백 백) (樂: 풍류 악) (之: 갈 지) (丈: 어른 장) ]
- 배불숭유(排佛崇儒) :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 (排: 밀칠 배) (佛: 부처 불) (崇: 높을 숭) (儒: 선비 유) ]
- 백의민족(白衣民族) : 흰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유래한다. [ (白: 흰 백) (衣: 옷 의) (民: 백성 민) (族: 겨레 족) ]
[양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책상양반(冊床兩班) :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 (冊: 책 책) (床: 상 상) (班: 나눌 반) ]
- 잠영(簪纓) : (1)관원이 쓰던 비녀와 갓끈. (2)양반이나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 또는 그 지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높은 벼슬아치들이 잠영을 쓴 데에서 유래하였다. [ (簪: 비녀 잠) (纓: 갓끈 영) ]
- 파천황(破天荒) :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 (破: 깨뜨릴 파) (天: 하늘 천) (荒: 거칠 황) ]
- 양반답교(兩班踏橋) : 예전에, 양반들이 서민과 뒤섞이기를 꺼리어 음력 정월 14일에 다리밟기를 하던 일. [ (班: 나눌 반) (踏: 밟을 답) (橋: 다리 교)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束: 묶을 속) (手: 손 수)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空: 빌 공) (前: 앞 전) (絶: 끊을 절) (後: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牛: 소 우) (耳: 귀 이) (讀: 읽을 독) (經: 지날 경) ]
[조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鼻: 코 비) (祖: 할아비 조) ]
- 계체지군(繼體之君)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繼: 이을 계) (體: 몸 체) (之: 갈 지) (君: 임금 군) ]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보본추원(報本追遠) :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그 음덕을 추모함. [ (報: 갚을 보) (本: 밑 본) (追: 쫓을 추) (遠: 멀 원) ]
- 연익지모(燕翼之謀) : 조상이 자손을 돕기 위한 좋은 계교. [ (燕: 제비 연) (翼: 날개 익) (之: 갈 지) (謀: 꾀할 모) ]
[본질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수기치인(修己治人) :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 (修: 닦을 수) (己: 몸 기) (治: 다스릴 치) (人: 사람 인) ]
- 지엽말단(枝葉末端) : 가지와 잎의 맨 끝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인 부분이라는 의미. [ (枝: 가지 지) (葉: 잎 엽) (末: 끝 말) (端: 바를 단)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 혜왕(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을 때,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도망했다면, 백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오십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다. [ (五: 다섯 오) (十: 열 십) (步: 걸을 보) (百: 일백 백) (步: 걸을 보) ]
- 예조불상용(枘鑿不相容) : 네모난 장부(자루)와 둥근 구멍은 서로 용납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네모난 장부를 둥근 구멍에 끼우면 맞지 않는 것처럼,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사람의 의견은 화합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方枘圓鑿 (방예원조)]. [ (枘: 장부 예) (鑿: 구멍 조) (不: 아니 불) (相: 서로 상) (容: 얼굴 용) ]
[우러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숭조상문(崇祖尙門)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 (崇: 높을 숭) (祖: 할아비 조) (尙: 오히려 상) (門: 문 문) ]
- 앙망불급(仰望不及) : 우러러 바라보아도 미치지 못함. [ (仰: 우러를 앙) (望: 바랄 망)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
- 앙사부모(仰事父母) : 어버이를 우러러 섬김. [ (仰: 우러를 앙) (事: 일 사)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
- 만부지망(萬夫之望) : 천하의 많은 사람이 우러러 사모함. 또는 그런 사람. [ (萬: 일만 만) (夫: 지아비 부) (之: 갈 지) (望: 바랄 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