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18일 금요일

한자 徧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한자 徧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徧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개

  • 균편 (均徧) : 골고루 두루 미침.
  • 변수 (徧搜) : 두루 찾아다니며 구함.
  • 주편 (周徧) : 모든 면에 두루 걸침. 또는 그렇게 아주 넓은 범위.
  • 편계 (遍界/徧界) : 온 세계.
  • 편관 (遍觀/徧觀) :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두루 봄.
  • 편독 (徧讀) : 치우치지 아니하고 두루 책을 읽음.
  • 균편하다 (均徧하다) : 골고루 두루 미치다.
  • 변수하다 (徧搜하다) : 두루 찾아다니며 구하다.
  • 주편하다 (周徧하다) : 모든 면에 두루 걸치다.
  • 편관하다 (遍觀하다/徧觀하다) :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두루 보다.
  • 편독하다 (徧讀하다) : 치우치지 아니하고 두루 책을 읽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徧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棺에 관한 단어는 모두 76개

한자 棺에 관한 단어는 모두 7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棺에 관한 단어는 모두 76개

  • 관 (棺) : 시체를 담는 궤.
  • 개관 (蓋棺)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음.
  • 개관 (改棺) : 무덤을 옮길 때 관을 새로 마련함.
  • 개관 (開棺) : 시체가 들어 있는 관의 뚜껑을 엶.
  • 거관 (擧棺) : 출관하거나 하관할 때에, 관을 들어서 움직임.
  • 결관 (結棺) : 줄기직 따위로 관을 싼 위에 숙마줄로 밤얽이를 쳐서 동임.
  • 관곽 (棺槨) : 시체를 넣는 속 널과 겉 널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관구 (棺柩) : 시체를 담는 궤.
  • 관대 (棺臺) : 예전에, 무덤 안에 관을 얹어 놓던 평상이나 낮은 대. 횡혈식 석실 따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관렴 (棺殮) : 시신을 관 속에 넣음.
  • 관멤 (棺멤) : 시체를 관에 넣은 뒤에 관 속의 빈 곳을 다른 물건으로 메워서 채움.
  • 관문 (棺文) : 불가(佛家)에서 장례 때 관(棺)에 적는 글귀. '생사를 떠나 열반에 들며, 고요하고 두려움이 없으며 내내 안락하소서.'라는 뜻의 말을 쓴다.
  • 관상 (棺上) : 관 뚜껑의 겉면. 또는 관 위.
  • 관의 (棺衣) : 시체를 넣은 관을 싸는 천.
  • 관재 (棺材) : 널을 만들 재료.
  • 관정 (棺釘) : 널을 짜는 데에 쓰는 못.
  • 관판 (棺板) : 관(棺)을 만드는 데 쓰는 넓고 긴 널빤지.
  • 금관 (金棺) : 금으로 장식한 관.
  • 납관 (納棺) : 시체를 관에 넣음.
  • 내관 (內棺) : 곽(槨) 속에 넣는 관(棺). 곽을 외관(外棺)이라 하는 것에 상대하여 관(棺)을 이를 때 쓰는 말이다.
  • 노관 (露棺) : 무덤 밖으로 관이 드러남.
  • 도관 (陶棺) : 고대에 점토를 구워서 만든 관(棺).
  • 목관 (木棺) : 나무로 짠 관.
  • 부관 (副棺) : 으뜸 덧널에 딸려 있어 대개 껴묻을 거리를 넣어 두는 곳.
  • 석관 (石棺) : 돌로 만든 관.
  • 옹관 (甕棺) : 고대에 점토를 구워서 만든 관(棺).
  • 와관 (瓦棺) : 고대에 점토를 구워서 만든 관(棺).
  • 외관 (外棺) : 관(棺)을 담는 곽.
  • 입관 (入棺) : 시신을 관 속에 넣음.
  • 철관 (鐵棺) : 쇠로 만든 관(棺).
  • 출관 (出棺) : 출상(出喪)하기 위하여 관(棺)을 집 밖으로 내어 모심.
  • 치관 (治棺) : 관을 짬.
  • 탈관 (脫棺) : 시신을 옮기기 위하여 관(棺)을 벗김.
  • 퇴관 (退棺) : 장례에서, 나장(裸葬)을 하려고 하관할 때에 시신을 꺼내고 관을 벗겨 치움. 또는 그런 절차.
  • 포관 (布棺) : 베를 여러 겹 포개어 붙여 만든 관.
  • 하관 (下棺) : 시체를 묻을 때에 관을 광중(壙中)에 내림.
  • 거관포 (擧棺布) : 관을 들어서 움직일 때에 관을 걸어서 드는 베.
  • 결관바 (結棺바) : 관을 동일 때 쓰는, 숙마로 꼰 굵은 바.
  • 결관삭 (結棺索) : 관을 동일 때 쓰는, 숙마로 꼰 굵은 바.
  • 결관포 (結棺布) : 결관바가 없을 때 대신 쓰는 외올베.
  • 관곽빗 (棺槨빗) : 조선 시대에, 관곽(棺槨)을 제조하는 일과 장례(葬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6년(1406)에 설치하여 태종14년(1414)에 시혜소로 이름을 고쳤다.
  • 관곽색 (棺槨色) : 조선 시대에, 관곽(棺槨)을 제조하는 일과 장례(葬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6년(1406)에 설치하여 태종14년(1414)에 시혜소로 이름을 고쳤다.
  • 관금구 (棺金具) : 널의 겉 부분에 붙이거나 하는 쇠붙이 장식.
  • 관머리 (棺머리) : 시체의 머리가 놓이는, 관(棺)의 위쪽.
  • 석관묘 (石棺墓) :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주로 청동기 시대에 썼다.
  • 석관장 (石棺葬) : 청동기 시대에, 고대인들이 시체를 석관에 넣어 장사 지내던 일.
  • 옹관묘 (甕棺墓) :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 옹관장 (甕棺葬) : 시체를 커다란 독이나 항아리에 넣어 장사 지내는 장례법.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하였다.
  • 점토관 (粘土棺) : 목관(木棺)을 쓰지 아니하고 유해를 직접 점토로 싼 매장 방식.
  • 파관탕 (破棺湯) : 똥을 말리어 태워서 물에 오랫동안 담갔다가 그 웃물을 뜬 것. 인사불성 및 정신 이상 증상에 쓴다.
  • 하관시 (下棺時) : 시체를 묻을 때 관을 광중(壙中)에 내리는 시각.
  • 하관포 (下棺布) : 관의 네 귀에 걸어 관을 광중(壙中)에 내리는 데에 쓰는 베.
  • 개관사정 (蓋棺事定)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 개관하다 (改棺하다) : 무덤을 옮길 때 관을 새로 마련하다.
  • 개관하다 (開棺하다) : 시체가 들어 있는 관의 뚜껑을 열다.
  • 개관하다 (蓋棺하다)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다.
  • 거관하다 (擧棺하다) : 출관하거나 하관할 때에, 관을 들어서 움직이다.
  • 결관하다 (結棺하다) : 줄기직 따위로 관을 싼 위에 숙마줄로 밤얽이를 쳐서 동이다.
  • 관곽장이 (棺槨장이) : 관곽을 만들거나 파는 사람.
  • 관렴하다 (棺殮하다) : 시신을 관 속에 넣다.
  • 관멤하다 (棺멤하다) : 시체를 관에 넣은 뒤에 관 속의 빈 곳을 다른 물건으로 메워서 채우다.
  • 관상명정 (棺上銘旌) : 관(棺) 위에 씌우는 명정(銘旌).
  • 관식금구 (棺飾金具) : 널의 겉 부분에 붙이거나 하는 쇠붙이 장식.
  • 금관출현 (金棺出現) :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뒤, 가섭이 뒤늦게 이르러 관 앞에서 목 놓아 울자, 관이 열리면서 석가모니가 금빛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했다는 전설. 불화(佛畫)의 제재이다.
  • 납관하다 (納棺하다) : 시체를 관에 넣다.
  • 노관하다 (露棺하다) : 무덤 밖으로 관이 드러나다.
  • 번관복시 (飜棺覆屍) : 풍수지리에서, 묻었던 시체의 관이 뒤집혀서 시체가 엎어지는 일.
  • 부관참시 (剖棺斬屍) :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을 극형에 처하던 일.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
  • 입관되다 (入棺되다) : 시신이 관 속에 넣어지다.
  • 입관하다 (入棺하다) : 시신을 관 속에 넣다.
  • 출관하다 (出棺하다) : 출상(出喪)하기 위하여 관(棺)을 집 밖으로 내어 모시다.
  • 치관하다 (治棺하다) : 관을 짜다.
  • 탈관하다 (脫棺하다) : 시신을 옮기기 위하여 관(棺)을 벗기다.
  • 퇴관하다 (退棺하다) : 장례에서, 나장(裸葬)을 하려고 하관할 때에 시신을 꺼내고 관을 벗겨 치우다.
  • 하관하다 (下棺하다) : 시체를 묻을 때에 관을 광중(壙中)에 내리다.
  • 단옹식 옹관 (單甕式甕棺) : 한 개의 독만으로 이루어진 무덤.


https://dict.wordrow.kr에서 棺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粗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한자 粗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粗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7개

  • 조 (粗) : 과거를 볼 때나 서당에서 글을 욀 때, 성적을 매기던 다섯 등급 가운데 넷째 등급.
  • 간조 (簡粗) : '간조하다'의 어근. (간조하다: 간단하고 조잡하다.)
  • 식조 (息粗) : 호흡이 촉박하거나 숨결이 거친 증상.
  • 정조 (精粗) : 정밀한 것과 거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조강 (粗鋼) : 제강로(製鋼爐)에서 제조된 그대로의 가공되지 않은 강철.
  • 조곡 (粗곡) : → 조국. (조국: 막걸리나 소주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쓰는 낮은 품질의 누룩. 밀을 갈거나 찧어서 크고 둥글넓적하게 만든다.)
  • 조광 (粗鑛) : 아직 제련하지 아니한, 파낸 그대로의 광석.
  • 조국 (粗麴/粗麯) : 막걸리나 소주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쓰는 낮은 품질의 누룩. 밀을 갈거나 찧어서 크고 둥글넓적하게 만든다.
  • 조금 (粗金) : 순도가 낮은 금. 일반적으로 은의 함량이 적고 금의 함량이 80% 정도 되는 금과 은의 합금을 이른다.
  • 조녕 (粗寧) : 별다른 큰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함. 흔히 윗사람에게 자기의 안부를 전하는 편지에 쓴다.
  • 조당 (粗糖) : 정제하지 않은 설탕. 탈색되지 않은 황갈색의 설탕으로 정제당의 원료가 된다.
  • 조대 (粗大) : '조대하다'의 어근. (조대하다: 거칠고 크다.)
  • 조동 (粗銅) : 구리의 원광(原鑛)을 녹여서 반사로(反射爐)나 전로에 옮겨 산화ㆍ정련한 것.
  • 조략 (粗略) : '조략하다'의 어근. (조략하다: 아주 간략하여 보잘것없다.)
  • 조려 (粗糲) : 거칠고 궂은 현미라는 뜻으로,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루 (粗漏) : '조루하다'의 어근. (조루하다: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꼼꼼하지 않고 거칠다.)
  • 조면 (粗面) : 물건의 거친 면.
  • 조모 (粗毛) : 동물의 몸을 덮은 털 가운데 거칠고 좋지 못한 털. 주로 얼굴, 귀, 다리 부분에 많이 나 있는데 털로서의 가치가 낮다.
  • 조묘 (粗描) : 줄거리만 대충 묘사함.
  • 조미 (粗米) : 거친 쌀.
  • 조박 (粗薄) : '조박하다'의 어근. (조박하다: 거칠고 메마르다.)
  • 조방 (粗放) : '조방하다'의 어근. (조방하다: 거칠고 방종하다.)
  • 조방 (粗紡) : 방적 공정의 하나로 먼저 조사(粗絲)로 잣는 일. 소면(梳綿)의 섬유를 조방기로 다시 가늘게 늘여서 꼬는 일이다.
  • 조복 (粗服) : 거칠고 값싼 의복.
  • 조빙 (粗氷) : 무빙(霧氷)의 하나. 과냉각한 미세한 물방울이 나무나 그 밖의 돌출한 지상 물체에 붙어서 얼음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반투명하거나 젖빛을 띤다.
  • 조사 (粗絲) : 방적사를 생산 과정에서 조방기로 늘이면서 꼬임을 주어 직경이 1~3mm가 되도록 하여 만든 제품.
  • 조사 (粗沙/粗砂) : 토양 입자 가운데 지름이 0.5~1mm인 것을 이르는 말.
  • 조석 (粗石) : 바위를 부수어 생긴, 불규칙한 모양의 돌덩이. 돌담이나 호안(護岸) 공사의 기초 공사에 쓴다.
  • 조섬 (粗纖) : 아마의 섬유를 뽑는 공정에서 생긴 찌꺼기 섬유.
  • 조세 (粗細) : 거친 것과 고운 것. 또는 조잡한 것과 세밀한 것.
  • 조속 (粗俗) : 천박하고 상스러운 풍속.
  • 조솔 (粗率) : '조솔하다'의 어근. (조솔하다: 거칠고 경솔하다.)
  • 조쇄 (粗碎) : 캐낸 광석을 선별하기 위하여 초벌로 굵직굵직하게 깨는 일.
  • 조식 (粗食) : 검소한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
  • 조악 (粗惡) : '조악하다'의 어근. (조악하다: 거칠고 나쁘다.)
  • 조안 (粗安) : 별다른 큰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함. 흔히 윗사람에게 자기의 안부를 전하는 편지에 쓴다.
  • 조야 (粗野) : '조야하다'의 어근. (조야하다: 천하고 상스럽다., 물건 따위가 거칠고 막되다.)
  • 조언 (粗言) : 거친 말.
  • 조연 (粗鉛) : 선광(選鑛)하지 않은 상태의 납 광석.
  • 조은 (粗銀) : 여러 가지 혼합물이 들어 있는 순도가 낮은 은. 은의 생산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간 산물로서, 은의 함량은 78~99%이다.
  • 조의 (粗衣) : 너절한 옷.
  • 조잡 (粗雜) : '조잡하다'의 어근. (조잡하다: 말이나 행동, 솜씨 따위가 거칠고 잡스러워 품위가 없다.)
  • 조제 (粗製) : 물건 따위를 정성을 들이지 않고 거칠게 만듦.
  • 조조 (粗造) : 물건 따위를 정성을 들이지 않고 거칠게 만듦.
  • 조주 (粗酒) : 맛이 좋지 못한 술.
  • 조차 (粗차) : 변변하지 않은 차.
  • 조찬 (粗饌) : 변변하지 않은 반찬.
  • 조찬 (粗餐) : 검소하게 차린 식사.
  • 조탄 (粗炭) : 아주 질이 나쁘고 거친 석탄. 흙이 많이 섞이고 충분히 탄화되지 않아 광택이 없다.
  • 조토 (粗土) : 메마른 땅.
  • 조포 (粗布) : 거칠고 성기게 짠 베.
  • 조포 (粗暴) : '조포하다'의 어근. (조포하다: 행동이나 성격이 매우 거칠고 사납다.)
  • 조품 (粗品) : 매우 간략하게 만들어 거칠고 변변하지 못한 물건.
  • 조피 (粗皮) : 식물의 줄기나 뿌리 따위의 거칠거칠한 껍질.
  • 조필 (粗筆) : 거친 붓.
  • 조홀 (粗忽) : '조홀하다'의 어근. (조홀하다: 간략하고 경홀하다.)
  • 조효 (粗肴) : 변변하지 아니한 안주.
  • 조골재 (粗骨材) : 콘크리트 따위의 재료로 쓰는 작은 모래나 자갈. 보통 5mm 체에 걸리는 크기를 이른다.
  • 조광사 (粗鑛舍) : 파낸 상태 그대로의 광석을 저장하는 집.
  • 조금속 (粗金屬) : 불순물이 약간 섞인, 순도 98~99%의 금속.
  • 조립률 (粗粒率) : 미세한 응집체나 모래, 페인트와 같은 고운 물질의 미세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 조면암 (粗面巖) : 주로 알칼리 장석(長石)으로 이루어진 화산암. 흰색ㆍ검은색ㆍ회색을 띠며, 감촉이 까칠까칠하고 얼룩무늬가 있다. 화학 성분은 화강암과 비슷하나, 조직이 전혀 다르다. 한국의 울릉도나 일본에서 난다.
  • 조모종 (粗毛種) : 털이 거칠고 좋지 못한 품종.
  • 조문경 (粗紋鏡) : 뒷면이 굵은 선의 톱니무늬 따위로 장식된 거울. 잔무늬 거울보다 조금 먼저 나타난 듯하다.
  • 조방공 (粗紡工) : 실고치에서 실을 뽑는 노동자.
  • 조방기 (粗紡機) : 면사 방적에 쓰는 기계의 하나. 여러 가지 기계로 충분히 불순물을 제거하고, 평행 상태로 늘여 놓은 면섬유의 올을 다시 길게 늘여 이것에 적당한 꼬임을 가한다.
  • 조방적 (粗放的) : 거칠고 방종한.
  • 조분쇄 (粗粉碎) : 광물이나 덩이 따위를 거칠게 부수는 일.
  • 조사료 (粗飼料) : 건초나 짚처럼 지방, 단백질, 전분 따위의 함유량이 적고 섬유질이 많은 사료.
  • 조석기 (粗石器) : 점토, 혈암(頁巖) 따위를 정제하지 아니하고 천연 그대로 써서 구운 석기. 면이 거칠고 구운 상태가 나쁘다.
  • 조섬유 (粗纖維) : 식료품 분석에서 산과 알칼리로 일정하게 처리하고 남은 물질. 영양가가 적고 소화 기관을 자극하며 변을 굳게 한다.
  • 조솔히 (粗率히) : 거칠고 경솔하게.
  • 조쇄기 (粗碎機) : 광석 따위를 초벌로 굵직굵직하게 깨는 기계.
  • 조쇄장 (粗碎場) : 광산에서, 광석을 굵직굵직하게 깨는 곳.
  • 조수입 (粗收入) : 필요한 경비를 빼지 않은 수입. 이것에서 경비를 뺀 것이 소득이다.
  • 조악품 (粗惡品) : 질이 거칠고 나쁜 물품.
  • 조용품 (粗用品) : 아무렇게나 마구 쓰는 물건.
  • 조잡성 (粗雜性) : 거칠고 잡스러운 성질.
  • 조잡화 (粗雜化) : 거칠고 잡스럽게 됨. 또는 그렇게 함.
  • 조제품 (粗製品) : 되는대로 마구 만들어 질이 낮은 물건.
  • 조지방 (粗脂肪) : 순수하지 못한 지방질.
  • 조포히 (粗暴히) : 매우 거칠고 사나운 행동이나 성격으로.
  • 조홀히 (粗忽히) : 간략하고 경홀하게.
  • 간조하다 (簡粗하다) : 간단하고 조잡하다.
  • 심방조동 (心房粗動) : '심방된떨림'의 전 용어. (심방 된떨림: 심방 근육이 규칙적으로 수축하지만, 너무 잦은 수축 운동을 하는 병적인 상태. 심방 잔떨림으로 옮겨 가는 경우가 많다.)
  • 조녕하다 (粗寧하다) : 별다른 큰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하다. 흔히 윗사람에게 자기의 안부를 전하는 편지에 쓴다.
  • 조단백질 (粗蛋白質) : 순 단백질과 아마이드가 들어 있는 물질.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따위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 조대하다 (粗大하다) : 거칠고 크다.
  • 조략하다 (粗略하다) : 아주 간략하여 보잘것없다.
  • 조루하다 (粗漏하다) :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꼼꼼하지 않고 거칠다.
  • 조묘하다 (粗描하다) : 줄거리만 대충 묘사하다.
  • 조박하다 (粗薄하다) : 거칠고 메마르다.
  • 조방경영 (粗放經營) : 자본과 노동을 적게 들여서 큰 규모의 농업을 경영하는 일. 특히 자본을 적게 들여서 하는 것을 자본 조방적이라 하며, 노동을 적게 들여서 하는 것을 노동 조방적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농업은 자본 조방적, 노동 집약적 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 조방경작 (粗放耕作) : 자본과 노동력을 적게 들이고 주로 자연력에 의존하여 경작하는 방법.
  • 조방농업 (粗放農業) : 자본과 노동력을 적게 들이고 주로 자연력에 의존하여 짓는 농업.
  • 조방하다 (粗放하다) : 거칠고 방종하다.
  • 조방하다 (粗紡하다) : 방적 공정의 하나로 먼저 조사(粗絲)로 잣다. 소면(梳綿)의 섬유를 조방기로 다시 가늘게 늘여서 꼬는 일이다.
  • 조분쇄기 (粗粉碎機) : 광물이나 덩이 따위를 거친 알갱이가 되도록 부수는 기계.
  • 조솔하다 (粗率하다) : 거칠고 경솔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粗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