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16일 일요일

한자 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한자 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 과골 (踝骨) : 발목 부근에 안팎으로 둥글게 나온 뼈.
  • 과궐 (踝厥) : 복사뼈에서 장딴지까지 싸늘하여지면서 쥐가 나는 병.
  • 내과 (內踝) : 발목의 안쪽에 튀어나온 정강뼈의 한 부분.
  • 외과 (外踝) : 발회목 바깥쪽에 뼈가 돌출한 부분. 종아리뼈의 아래쪽 끝부분이다.
  • 외과저 (外踝疽) : 가쪽복사 부위에 생긴 부골저.


https://dict.wordrow.kr에서 踝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問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6개

한자 問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問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6개

  • 문 (問) : 유학 경서의 뜻을 묻고 대답하던 구두시험에서의 물음.
  • 감문 (敢問) : 쉽게 대하기 어려운 상대에게 거북함이나 두려움을 무릅쓰고 물음. 또는 그 물음.
  • 강문 (講問) : 따져서 물음.
  • 갱문 (更問) : 다시 물음.
  • 검문 (檢問) : 검사하기 위하여 따져 물음.
  • 고문 (拷問) : 숨기고 있는 사실을 강제로 알아내기 위하여 육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며 신문함.
  • 고문 (顧問) : 의견을 물음.
  • 관문 (關問) : 관가에서 공문을 띄워 따져 묻던 일.
  • 광문 (廣問) : 널리 여러 사람에게 물음.
  • 구문 (扣問) : 의견을 물음.
  • 구문 (究問) : 충분히 알 때까지 캐어물음.
  • 국문 (鞠問/鞫問) : 국청(鞠廳)에서 형장(刑杖)을 가하여 중죄인(重罪人)을 신문하던 일. 임금의 명령이 필요하였다.
  • 궁문 (窮問) : 엄중히 따져 물음.
  • 규문 (糾問) : 죄를 따져 물음.
  • 극문 (劇問) : 급히 물음.
  • 기문 (記問) : 글을 외어 남의 질문을 기다릴 뿐 그 지식을 조금도 활용하지 아니함.
  • 기문 (奇問) : 기발한 질문.
  • 나문 (拿問) : 죄인을 잡아다가 심문함.
  • 난문 (難問) : 답하기 어려운 질문.
  • 내문 (來問) : 와서 물음.
  • 노문 (勞問) : 신하를 위문함.
  • 녹문 (錄問) : 죄상을 문서에 적으면서 캐물음.
  • 답문 (答問) : 물음에 대답함.
  • 도문 (導問) : 대답을 유도하기 위하여 하는 질문.
  • 만문 (漫問) : 생각나는 대로 아무렇게나 함부로 물음.
  • 면문 (免問) : 처벌이나 문책을 면함.
  • 문계 (問啓) : 죄과로 벼슬에서 쫓겨난 사람을 임금의 명으로 승정원의 승지가 계판(啓板) 앞에 불러 그 까닭을 물어서 아뢰던 일.
  • 문괘 (問卦) : 점괘로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일.
  • 문구 (問求) : 모르는 것을 알려고 물음.
  • 문난 (問難) :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함.
  • 문답 (問答) : 물음과 대답. 또는 서로 묻고 대답함.
  • 문대 (問對) : 구두시험으로 유학 경서의 뜻을 묻던 물음과 그 대답.
  • 문랑 (問郞) : 죄인을 심문할 때에 그 내용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보던 낭관.
  • 문례 (問禮) : 마땅히 지켜야 할 예의와 도리에 대하여 물음.
  • 문명 (問名) : 이름을 물음.
  • 문목 (問目) : 질문의 제목이나 조목.
  • 문문 (問問) : '문문하다'의 어근. (문문하다: 물건을 보내어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하거나 슬픈 일을 위로하다.)
  • 문병 (問病) : 앓는 사람을 찾아가 위로함.
  • 문복 (問卜) : 점쟁이에게 길흉(吉凶)을 물음.
  • 문비 (問備) : 벼슬아치의 죄상을 관원 명부에 적어 두었다가 인사 행정에 반영하기에 앞서 심문하던 일.
  • 문상 (問喪) :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함. 또는 그 위문.
  • 문선 (問禪) : 선사(禪師)에게 나아가 선도를 배워 닦거나, 스스로 선법을 닦아 구함.
  • 문수 (問數) : 점쟁이에게 길흉(吉凶)을 물음.
  • 문신 (問訊) : 선종에서, 합장하면서 안부를 묻는 경례법(敬禮法).
  • 문안 (問安) : 웃어른께 안부를 여쭘. 또는 그런 인사.
  • 문어 (問語) : 암구호(暗口號) 따위에서, 상대편이 적인지 아군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묻는 약정된 말.
  • 문유 (問遺) : 안부를 묻고 물건을 선사함.
  • 문의 (問議) : 물어서 의논함.
  • 문자 (問字) : 남한테 글자를 배움.
  • 문정 (問情) : 사정을 물음.
  • 문제 (問題) : 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 문조 (問弔) :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함. 또는 그 위문.
  • 문죄 (問罪) : 죄를 캐내어 물음.
  • 문진 (問診) : 의사가 환자에게 환자 자신과 가족의 병력 및 발병 시기, 경과 따위를 묻는 일.
  • 문책 (問責) : 잘못을 캐묻고 꾸짖음.
  • 문초 (問招) : 죄나 잘못을 따져 묻거나 심문함.
  • 문표 (問標) :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쓰거나,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을 표시할 때,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에 쓴다.
  • 문항 (問項) : 문제의 항목.
  • 문후 (問候) : 웃어른의 안부를 물음.
  • 물문 (勿問) : 내버려 두고 다시 묻지 아니함.
  • 박문 (迫問) : 다그쳐 물음.
  • 반문 (反問) : 물음에 대답하지 아니하고 되받아 물음. 또는 그 물음.
  • 반문 (盤問) : 자세히 캐어물음.
  • 방문 (訪問) : 어떤 사람이나 장소를 찾아가서 만나거나 봄.
  • 법문 (法問) : 불법에 대하여 묻고 대답하는 일.
  • 병문 (倂問) : 여러 연루자를 한꺼번에 심문함.
  • 불문 (不問) : 묻지 아니함.
  • 빙문 (聘問) : 예를 갖추어 방문함.
  • 사문 (査問) : 조사하여 캐물음.
  • 상문 (詳問) : 자세하게 물음. 또는 그런 질문.
  • 설문 (設問) : 조사를 하거나 통계 자료 따위를 얻기 위하여 어떤 주제에 대하여 문제를 내어 물음. 또는 그 문제.
  • 성문 (省問) : 부모의 안부를 물음.
  • 성문 (聲問) :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 세문 (歲問) : 새해에 윗사람에게 안부 인사를 여쭙는 일. 또는 그 안부 인사.
  • 소문 (素問) : 중국 당나라 때 왕빙(王氷)이 쓴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의서(醫書). 황제(黃帝)와 명의(名醫) 기백(岐伯)의 문답 형식으로 음양오행, 침구(鍼灸), 맥(脈) 따위에 관하여 쓴 책이다. 24권.
  • 숙문 (宿問) :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는 의문이나 문제.
  • 순문 (詢問) : 임금이 신하나 백성에게 물음.
  • 시문 (試問) : 시험하여 물음.
  • 신문 (訊問) : 알고 있는 사실을 캐어물음.
  • 심문 (尋問) : 방문하여 찾아봄.
  • 심문 (審問) : 법원이 당사자나 그 밖에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에게 서면이나 구두로 개별적으로 진술할 기회를 주는 일.
  • 안문 (案問) : 잘 생각하여 물음.
  • 안문 (按問) : 법에 따라 조사하여 신문함.
  • 엄문 (嚴問) : 엄하게 심문함.
  • 역문 (歷問) : 여러 곳을 차례로 방문함.
  • 염문 (廉問) :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몰래 물어봄.
  • 영문 (榮問) : 새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찾아보고 축하하던 일.
  • 예문 (例問) : 각 지방의 방백들이 그 지방의 특산물을 정례적으로 중앙의 고관에게 선사하던 일.
  • 예문 (叡問) : 임금이 물음.
  • 예문 (例問) : 예로서 드는 문제.
  • 외문 (外問) : 초상집에 가서 안에 들어가지 않고 문밖에서 조문함. 또는 그런 일.
  • 우문 (愚問) : 어리석은 질문.
  • 위문 (慰問) : 위로하기 위하여 문안하거나 방문함.
  • 은문 (恩問) : 남을 높여 그의 방문(訪問)을 이르는 말.
  • 음문 (音問) : 전화나 편지 따위로 안부를 물음.
  • 의문 (疑問) : 의심스럽게 생각함. 또는 그런 문제나 사실.
  • 일문 (日問) : 날마다 물음.
  • 자문 (自問) : 자신에게 스스로 물음.
  • 자문 (諮問) : 어떤 일을 좀 더 효율적이고 바르게 처리하려고 그 방면의 전문가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


https://dict.wordrow.kr에서 問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陪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한자 陪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陪에 관한 단어는 모두 95개

  • 배객 (陪客)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함께 오거나 참여한 손님.
  • 배경 (陪耕) : 임금을 모시고 함께 논밭을 갈고 심음.
  • 배경 (陪京) : 중국에서, 행정 조직상 수도(首都)에 준하는 취급을 받던 도시. 명나라 때의 금릉(金陵), 청나라 때의 심양(瀋陽),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의 중경(重慶) 따위가 있다.
  • 배관 (陪觀) : 어른을 모시고 같이 구경함.
  • 배도 (陪都) : 중국에서, 행정 조직상 수도(首都)에 준하는 취급을 받던 도시. 명나라 때의 금릉(金陵), 청나라 때의 심양(瀋陽),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의 중경(重慶) 따위가 있다.
  • 배례 (陪隷) : 높은 사람의 시중을 드는 종.
  • 배료 (陪僚) : 높은 사람의 시중을 드는 종.
  • 배리 (陪吏) :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에 속하여 세자(世子)를 모시던 나이 어린 아전(衙前).
  • 배립 (陪立) : 윗사람을 모시고 섬.
  • 배방 (陪房) : 하인들이 거처하는 방.
  • 배복 (陪僕) : 남의 집에 매여 일을 하는 사람.
  • 배빈 (陪賓) : 주빈(主賓)이 아닌 손님.
  • 배석 (陪席) : 웃어른 혹은 상급자를 따라 어떤 자리에 함께 참석함.
  • 배성 (陪星) : 행성의 인력에 의하여 그 둘레를 도는 천체.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 있으며 태양계에는 160개가 넘는 위성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지구에는 달이 있다.
  • 배송 (陪送) : 웃어른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따라가서 전송함.
  • 배수 (陪隨)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다님.
  • 배승 (陪乘) : 높은 사람을 모시고 탐.
  • 배시 (陪侍) : 어른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곁에서 모심.
  • 배식 (陪食)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한자리에서 같이 식사를 함.
  • 배신 (陪臣) : 제후의 신하가 천자를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 배심 (陪審) : 재판의 심리(審理)에 배석함.
  • 배위 (陪衛) : 귀인을 따르며 호위함.
  • 배유 (陪遊)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노닒.
  • 배종 (陪從) :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는 일.
  • 배준 (陪罇) : 제사 따위의 의식을 치를 때, 큰 술 그릇의 좌우에 벌여 놓는 작은 술잔.
  • 배지 (陪持) : 지방 관아에서 장계를 가지고 서울에 가던 사람.
  • 배참 (陪參) : 예전에,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함께 참석하던 일.
  • 배총 (陪冢) : 한 무덤의 옆에 딸린 조그마한 무덤. 주로 섬기던 주인이나 상급자의 무덤 곁에 만들었다.
  • 배행 (陪行) : 떠나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따라감.
  • 배호 (陪扈) :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는 일.
  • 별배 (別陪) : 예전에, 관서의 특정 관원에게 배속되어 관원의 집에서 부리던 사령. 관원의 사노비처럼 취급되기도 하였다.
  • 수배 (隨陪) : 수령이 행차할 때나 전근할 때에 따라다니며 시중을 들던 구실아치.
  • 수배 (首陪) : 지방 관청의 우두머리.
  • 시배 (侍陪) : 따라다니며 시중을 드는 일. 또는 그 하인.
  • 인배 (引陪) : 정삼품 이상의 벼슬아치 앞에서 길을 인도하던 관노.
  • 전배 (前陪) :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나 상관을 배견할 때에 앞을 인도하던 관리나 하인.
  • 청배 (請陪) : 무당굿에서, 신령이나 굿하는 집안의 조상의 혼령을 불러 모시는 일.
  • 추배 (追陪) : 함께 감. 또는 모시고 걸음.
  • 향배 (香陪) : 제향 때에, 헌관(獻官)이 향과 축문을 가지고 나갈 때 향궤를 받들고 앞서서 가는 사람.
  • 후배 (後陪) : 혼인 때에 가족 중에서 신랑이나 신부를 데리고 가는 사람.
  • 견마배 (牽馬陪) : 조선 시대에, 사복시에 속하여 임금, 세자, 군이 탄 말을 끌던 종칠품 잡직.
  • 겹전배 (겹前陪) : 겹으로 세우던 전배.
  • 교자배 (轎子陪) : 높은 벼슬아치가 탄 가마를 따라다니던 하인.
  • 대배심 (大陪審) : 배심 제도에서, 정식 기소(起訴)를 위하여 하는 배심. 코먼 로(common law)에서는 12인 이상 23인 이하의 배심원으로 구성되며, 12인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기소가 결정된다.
  • 배기수 (陪旗手) : 조선 시대에, 각 군영의 제조(提調), 대장(大將), 사(使) 들을 따라다니며 의식이 있을 때 대장의 좌우에 기를 들고 서던 군사.
  • 배녹사 (陪錄事) : 조선 시대에, 대신에게 전속(專屬)되어 명령과 공문의 전달 따위를 맡아보던 구실아치.
  • 배법선 (陪法線) : 공간에서 곡선의 한 점을 지나고 이 점에서의 곡선에 대한 접평면과 법평면에 동시에 수직인 직선.
  • 배사령 (陪使令) : 벼슬아치를 따라다니던 사령.
  • 배서리 (陪書吏) : 조선 시대에, 대신(大臣)의 명령을 받들어 수행하던 구실아치.
  • 배심관 (陪審官) :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 가운데 선출되어 심리(審理)나 재판에 참여하고 사실 인정에 대하여 판단을 내리는 사람.
  • 배심원 (陪審員) :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 가운데 선출되어 심리(審理)나 재판에 참여하고 사실 인정에 대하여 판단을 내리는 사람.
  • 배심제 (陪審制) : 재판 제도의 하나.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 가운데서 선출된 배심원으로 구성된 배심에서 기소나 심판을 하는 제도. 기소를 행하는 것을 대배심, 재판을 행하는 것을 소배심이라고 한다.
  • 배용산 (陪用散) : 아주 적은 양을 쓰거나 성질이 눅진눅진한 약재를 약저울에 다루기 쉽게 하려고 섞는 가루약.
  • 배장품 (陪葬品) :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배제관 (陪祭官) : 나라의 제사에서, 집사관 이외의 일반 제관.
  • 배종인 (陪從人) :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는 사람.
  • 배하인 (陪下人) : 벼슬아치를 따라다니던 사령.
  • 별배종 (別陪從) : 한직에 있는 문관으로서, 임금이 나들이할 때 임금의 행차를 받들던 사람. 또는 그 벼슬.
  • 부련배 (副輦陪) : 임금이 거둥할 때 부련을 메는 사람.
  • 삭마배 (索馬陪) : 경마를 잡는 사람.
  • 소배심 (小陪審) : 형사 소송에서, 민간에서 선출한 배심원이 재판의 기소나 심리에 참여하는 일.
  • 옥교배 (玉轎陪) : 호련대에 속하여 옥교를 메는 사람.
  • 정련배 (正輦陪) : 임금이 탄 연을 메던 사람.
  • 검임배심 (檢妊陪審) : 영미법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여자가 임신을 이유로 형의 집행 정지를 신청한 경우, 그 임신 여부를 심사하는 배심. 배심원은 12명의 기혼 여자로 구성된다.
  • 배경하다 (陪耕하다) : 임금을 모시고 함께 논밭을 갈고 심다.
  • 배관하다 (陪觀하다) : 어른을 모시고 같이 구경하다.
  • 배립하다 (陪立하다) : 윗사람을 모시고 서다.
  • 배석하다 (陪席하다) : 웃어른 혹은 상급자를 따라 어떤 자리에 함께 참석하다.
  • 배송하다 (陪送하다) : 웃어른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따라가서 전송하다.
  • 배수하다 (陪隨하다)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다니다.
  • 배승하다 (陪乘하다) : 높은 사람을 모시고 타다.
  • 배시하다 (陪侍하다) : 어른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곁에서 모시다.
  • 배식하다 (陪食하다)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한자리에서 같이 식사를 하다.
  • 배심하다 (陪審하다) : 재판의 심리(審理)에 배석하다.
  • 배위하다 (陪衛하다) : 귀인을 따르며 호위하다.
  • 배유하다 (陪遊하다)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시고 노닐다.
  • 배융교위 (陪戎校尉) : 고려 시대에 둔 종구품 상(上) 무관의 품계. 성종 14년(995)에 정하였다.
  • 배융부위 (陪戎副尉) : 고려 시대에 둔 종구품 하(下) 무관의 품계. 성종 14년(995)에 정하였다.
  • 배종무관 (陪從武官) : 대한 제국 때에, 황태자 배종무관부 또는 동궁 배종무관부에 속하여 왕세자나 황태자를 경호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 배종하다 (陪從하다) :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다.
  • 배행하다 (陪行하다) : 떠나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따라가다.
  • 배호하다 (陪扈하다) : 임금이나 높은 사람을 모시고 따라가다.
  • 시배하다 (侍陪하다) : 따라다니며 시중을 들다.
  • 진상배거 (進上陪去) : 임금에게 진상하는 지방 토산물을 호송하여 서울까지 함께 따라가던 일.
  • 청배하다 (請陪하다) : 무당굿에서, 신령이나 굿하는 집안의 조상의 혼령을 불러 모시다.
  • 추배하다 (追陪하다) : 함께 가다. 또는 모시고 걷다.
  • 후배사령 (後陪使令) : 벼슬아치가 다닐 때에 따라다니던 사령.
  • 가망 청배 (가망請陪) : 무당이 굿을 할 때, 가망거리에서 가망신을 청해 오는 일.
  • 기소 배심 (起訴陪審) : 배심 제도에서, 정식 기소(起訴)를 위하여 하는 배심. 코먼 로(common law)에서는 12인 이상 23인 이하의 배심원으로 구성되며, 12인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기소가 결정된다.
  • 배석 판사 (陪席判事) : 재판에서 합의부 구성원 가운데 재판장 이외의 판사. 소송 지휘권은 없으나 재판장에게 알리고 당사자, 증인, 감정인들을 심문(審問)할 수 있다.
  • 배심 재판 (陪審裁判) : 일반 국민 가운데서 선출된 배심원(陪審員)으로 구성된 배심에서 행하는 재판.
  • 배심 제도 (陪審制度) : 재판 제도의 하나.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 가운데서 선출된 배심원으로 구성된 배심에서 기소나 심판을 하는 제도. 기소를 행하는 것을 대배심, 재판을 행하는 것을 소배심이라고 한다.
  • 전배 기수 (前陪旗手) : 벼슬아치의 행차 때에 앞에서 기를 들고 나가던 군사.
  • 조상 청배 (祖上請陪) : 무당이 굿을 할 때, 굿하는 집의 조상이나 죽은 친척의 혼령을 청하여 오는 일. 그 혼령이 시키는 말을 무당이 받아 옮긴다.
  • 향배 서리 (香陪書吏) : 향배 노릇을 하던 서리.


https://dict.wordrow.kr에서 陪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