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蛙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蛙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개
- 금와 (金蛙/金蝸) : 동부여의 왕. 고대 난생 설화상의 인물로, 부여 왕 해부루에게 발견되어 그의 태자가 되었으며, 유화를 아내로 맞아 고구려의 시조 주몽을 낳게 하였다.
- 반와 (泮蛙) : 성균관 개구리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책만 읽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와명 (蛙鳴) : 개구리가 우는 것처럼 시끄럽기만 하고 쓸모없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와성 (蛙聲) : 개구리가 우는 소리.
- 와영 (蛙泳) : 개구리처럼 물과 수평을 이루며, 두 발과 양팔을 오므렸다가 펴는 수영법.
- 와초 (蛙炒) : 청개구리를 진한 소금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물기를 없앤 다음 기름에 바짝 볶고 바로 진간장에 넣어 두었다가 먹는 음식.
- 와폐 (蛙吠) : 개구리가 우는 소리.
- 와해 (蛙醢) : 개구리의 다리에 붙은 살로 담근 젓.
- 우와 (雨蛙) : 청개구릿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2.5~4cm로 작으며, 등은 회색 또는 녹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흩어져 있고 배는 흰색 또는 연한 황색인데 주위 환경에 따라 몸의 색깔이 변한다. 발가락 끝에 빨판이 있고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있으며 산란기나 습도가 높은 날이면 운다. 한국, 일본, 아시아 중부,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정와 (井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청와 (靑蛙) : 청개구릿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2.5~4cm로 작으며, 등은 회색 또는 녹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흩어져 있고 배는 흰색 또는 연한 황색인데 주위 환경에 따라 몸의 색깔이 변한다. 발가락 끝에 빨판이 있고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있으며 산란기나 습도가 높은 날이면 운다. 한국, 일본, 아시아 중부, 유럽, 북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금선와 (金線蛙) : 개구릿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6cm이며, 등은 녹색, 배는 누런 적색이다. 눈가에 금빛 줄이 있고 울음주머니는 없으며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 석차와 (石次蛙) : 가잿과의 하나. 게와 새우의 중간 모양인데 앞의 큰 발에 집게발톱이 있다. 뒷걸음질을 잘하며 폐디스토마를 옮긴다. 개울 상류의 돌 밑에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정저와 (井底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정정와 (井庭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정중와 (井中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포와어 (布蛙語) : '하와이어'의 음역어. (하와이어: 말레이ㆍ폴리네시아 어족의 폴리네시아 어파에 속한 언어. 음절이 모두 모음으로 끝나는 개음절이며, 자음의 연속이 없는 폴리네시아어의 특징을 나타낸다.)
- 감정지와 (坎井之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중지와 (坎中之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선조와명 (蟬噪蛙鳴) : 매미와 개구리가 시끄럽게 운다는 뜻으로, 여럿이 모여 시끄럽게 떠듦을 이르는 말.
- 와명선조 (蛙鳴蟬噪) : 글이나 논설 따위가 졸렬하고 보잘것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와목점토 (蛙目粘土) : 화강암질의 암석이 풍화ㆍ분해하여 된 진흙. 도기(陶器)의 주요한 원료가 된다.
- 와음지성 (蛙淫之聲) : 음란한 노래라는 뜻으로, 조선 전기에 유학자들이 고려 말의 음악을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 춘와추선 (春蛙秋蟬) : 봄의 개구리와 가을의 매미라는 뜻으로, 쓸모없는 언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금와왕 설화 (金蛙王說話) : 동부여 왕인 금와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 부여 왕 해부루가 늦도록 자식이 없어 산천에 기도를 드리던 중, 곤연(鯤淵)에 이르러 큰 돌 밑에서 온몸이 금빛으로 빛나는 개구리 모양의 아이를 발견하고는 '금와'라고 이름 짓고 태자로 삼았는데, 그 아이가 자란 후에 동부여의 왕이 된다는 내용이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과 ≪삼국유사≫의 <동부여>에 실려 있다.
- 금와 신화 (金蛙神話) : 동부여 왕인 금와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 부여 왕 해부루가 늦도록 자식이 없어 산천에 기도를 드리던 중, 곤연(鯤淵)에 이르러 큰 돌 밑에서 온몸이 금빛으로 빛나는 개구리 모양의 아이를 발견하고는 '금와'라고 이름 짓고 태자로 삼았는데, 그 아이가 자란 후에 동부여의 왕이 된다는 내용이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과 ≪삼국유사≫의 <동부여>에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