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1일 일요일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 방 (方) : 한약을 가공하는 방법의 하나. 서각 같은 딱딱한 약재를 줄칼이나 대패 같은 기구로 깎아 쓰는 것을 이른다.
  • 방 (方)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온양(溫陽), 군위(軍威), 남원(南原) 등 20여 본이 현존한다.
  • 각방 (各方) : 여러 방면.
  • 간방 (艮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과 정북(正北)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간방 (間方) : 정동(正東), 정남(正南), 정서(正西), 정북(正北) 네 방위의 각 사이를 가리키는 방위.
  • 감방 (坎方) : 팔방의 하나.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으로 북쪽을 이른다.
  • 갑방 (甲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에서 북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개방 (開方) : 제곱근이나 세제곱근 따위를 계산하여 답을 구함. 또는 그런 일.
  • 건방 (乾方) : 팔방의 하나. 정북(正北)과 정서(正西)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겸방 (兼方) : 서로 다른 작용을 하는 약재를 하나의 처방에 배합ㆍ조성하여 함께 쓰는 일.
  • 경방 (輕方) : 작용이 비교적 약한 약들로 구성된 처방.
  • 경방 (庚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서(正西)에서 남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계방 (季方) : 사내 아우.
  • 계방 (癸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동(東)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고방 (古方) : 예로부터 행하던 방법.
  • 곤방 (坤方) : 팔방의 하나. 정남(正南)과 정서(正西)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45도 안의 방향이다.
  • 공방 (公方) : '공방하다'의 어근. (공방하다: 공평하고 올바르다.)
  • 공방 (孔方) : '엽전'을 달리 이르는 말. 엽전의 가운데 네모난 구멍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른다. (엽전: 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 관방 (官方) : 관리들이 지켜야 할 규율.
  • 귀방 (鬼方) : 남쪽의 둘째 별자리인 귀성(鬼星)이 있다는 방위(方位). 점술가들이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매사에 꺼리는 방위로서, 동북방을 가리킨다.
  • 근방 (近方) : 가까운 곳.
  • 금방 (今方) : 말하고 있는 시점부터 바로 조금 후에.
  • 금방 (禁方) : 남에게 함부로 전하여 주지 않는 약방문.
  • 급방 (急方) : 급하고 위중한 병을 치료하는 처방. 약의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 기방 (奇方) : 기이한 방술(方術)이나 방법.
  • 남방 (南方) : 백제에서, 지방에 두었던 오방(五方) 가운데 '구지하성'을 이르던 말. (구지하성: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인 오방(五方) 가운데 남방에 있던 성. 전라남도 장성 부근으로 추정된다.)
  • 남방 (南方) : 네 방위의 하나. 나침반의 에스(S) 극이 가리키는 방위이다.
  • 내방 (內方) : 안으로 향한 부분이나 안에 있는 부분.
  • 다방 (多方) : 여러 방면. 또는 여러 방향.
  • 단방 (單方) : 한 가지 약재로 약을 조제함. 또는 그 약제(藥劑).
  • 당방 (當方) : 이쪽. 또는 우리 쪽.
  • 대방 (大方) : 작용이 강한 약을 한 번에 많이 써서 중병을 치료하는 약방문.
  • 대방 (貸方) : 복식 부기의 분개법(分介法)에서, 장부상의 계정계좌의 오른쪽 부분. 자산(資産)의 감소(減少), 부채나 자본의 증가, 이익의 발생 따위를 기입한다.
  • 대방 (帶方) :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공손강이 옛 진번 땅에 설치한 군. 고구려 미천왕 14년(313)에 낙랑이 멸망한 뒤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 대방 (大方) : 문장이나 학술이 뛰어난 사람.
  • 동방 (東方) : 동쪽 지방.
  • 동방 (東方)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진주(晉州), 청주(淸州) 등이 현존한다.
  • 등방 (等方) : 기체, 액체, 유리 따위로 된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물체 내의 방향에 따라 다르지 아니하고 같음.
  • 만방 (萬方) : 모든 곳.
  • 모방 (모方) : 한자 부수의 하나. '於', '旁' 따위에 쓰인 '方'을 이른다.
  • 묘방 (妙方) : 효험이 있는 처방이나 약방문.
  • 묘방 (卯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을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미방 (未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남(正南)에서 서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방감 (方酣) : '방감하다'의 어근. (방감하다: 기운이나 흥이 한창 무르익어 있다.)
  • 방갓 (方갓) : 예전에, 주로 상제가 밖에 나갈 때 쓰던 갓. 가는 대오리를 결어서 큰 삿갓 모양으로 만들되 네 귀를 우묵하게 패고 그 밖은 둥그스름하게 만들었다.
  • 방개 (方蓋) : 아악기인 건고(建鼓)의 북통 위에 세우는, 이 층으로 장식한 네모진 덮개. 아래층이 위층보다 약간 큰데, 각 층마다 네 개의 붉은 기둥을 받치고 붉은색과 초록색의 비단 휘장을 두른다.
  • 방경 (方磬) : → 방향. (방향: 당악기(唐樂器)에 속하는 타악기의 하나. 16개의 철편(鐵片)을 틀의 상단과 하단에 8개씩 매어 놓고 망치 모양의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낸다.)
  • 방경 (方鏡) :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금속으로 만든 거울.
  • 방골 (方骨) : 위턱과 아래턱의 두 끝을 잇는 작은 뼈. 포유류에서는 귓속뼈의 하나인 모루뼈로 변하였다.
  • 방과 (方菓) : 네모지게 만든 과줄.
  • 방극 (方極) : 몹시 바쁜 때.
  • 방금 (方今) : 말하고 있는 시점(時點)보다 바로 조금 전.
  • 방급 (方急) : '방급하다'의 어근. (방급하다: 매우 급하다.)
  • 방농 (方濃) : '방농하다'의 어근. (방농하다: 바야흐로 짙다.)
  • 방단 (方壇) : 네모지게 쌓아 올린 단.
  • 방당 (方塘) : 네모진 연못.
  • 방대 (方臺) : 악기를 받쳐 놓는 여러 가지 모양의 제구(諸具).
  • 방도 (方道/方途) : 어떤 일을 하거나 문제를 풀어 가기 위한 방법과 도리.
  • 방동 (方冬) : 바야흐로 겨울이라는 뜻으로, 음력 10월을 달리 이르는 말.
  • 방두 (方斗) : 곡식 따위를 되는 말의 하나. 네 모가 반듯하다.
  • 방등 (方等) : 부처가 사람들에게 이익을 고루 주는 일. 대승 불교에서는 방정(方正)하고 광대(廣大)하며 평등한 도리를 설법한 것이라고 한다.
  • 방략 (方略) : 일을 꾀하고 해 나가는 방법과 계략.
  • 방렴 (方廉) : '방렴하다'의 어근. (방렴하다: 행동이 바르고 강직하며 청렴하다.)
  • 방령 (方領) : 백제 때에, 지방 행정 조직인 오방(五方)에 각각 속하여 행정을 맡아보던 으뜸 벼슬.
  • 방령 (方領) : 무 품종의 하나.
  • 방령 (方領) : 격에 어울리지 않게 넓적하게 단 옷깃.
  • 방뢰 (方賂) : 그 지방에서 나는 물건.
  • 방리 (方里) : 사방으로 일 리(里)가 되는 넓이.
  • 방립 (方笠) : 예전에, 주로 상제가 밖에 나갈 때 쓰던 갓. 가는 대오리를 결어서 큰 삿갓 모양으로 만들되 네 귀를 우묵하게 패고 그 밖은 둥그스름하게 만들었다.
  • 방멱 (方冪) : 어떤 한 점 P를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 정원(定圓) O와 만나는 점을 A, B라 할 때, 선분 PA와 PB의 곱.
  • 방면 (方面) : 어떤 장소나 지역이 있는 방향. 또는 그 일대.
  • 방면 (方面) : 네모반듯한 얼굴.
  • 방명 (方命) : 명령을 어김.
  • 방명 (方明) : 예전에, 나무로 네모지게 만든 제기(祭器)를 이르던 말.
  • 방문 (方文) : 약을 짓기 위하여 약 이름과 약의 분량을 적은 종이.
  • 방물 (方物) : 관찰사나 수령이 임금에게 바치던 그 고장의 특산물.
  • 방백 (方伯) : '도지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도지사: 한 도(道)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 자치 단체장.)
  • 방법 (方法) : 어떤 일을 해 나가거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이나 방식.
  • 방분 (方墳) : 고분의 한 형태로, 봉토의 평면이 네모꼴로 된 무덤.
  • 방사 (方事) : 변방에서 일어난 사고.
  • 방사 (方士) : 신선의 술법을 닦는 사람.
  • 방산 (方繖) : 우산과 비슷하게 생긴 의장(儀仗). 자방산, 청방산, 청화 방산, 홍방산, 적방산 따위가 있다.
  • 방산 (方山) : 탕건에서, 턱이 져서 올라간 뒷부분.
  • 방상 (方相) : 불도 수행을 할 때 여러 가지 장애를 막기 위하여 사방에 돌을 세우거나 나무를 심어 경계로 삼는 일.
  • 방상 (方上) : 양쪽의 콧방울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방상 (方箱) : 네모난 상자.
  • 방상 (方相) : 방상시가 쓰는 탈.
  • 방색 (方色) : 동, 서, 남, 북, 중(中)의 다섯 방위에 따른 파랑, 하양, 빨강, 검정, 노랑의 다섯 가지 색깔.
  • 방서 (方書) : 신선의 술법인 방술(方術)을 적은 글이나 책.
  • 방석 (方石) : 사각의 돌.
  • 방석 (方席) : 앉을 때 밑에 까는 작은 깔개. 네모지거나 둥글며, 주로 밑이 배기거나 바닥이 찰 때 쓴다.
  • 방성 (方城) : 백제 때에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인 방(方)에 있던 성. 중앙은 고사성, 동방은 득안성, 남방은 구지하성, 서방은 도선성 혹은 역광성, 북방은 웅진성이라고 하였다.
  • 방성 (方盛) : 바야흐로 기세가 한창 일어남.
  • 방소 (方所) :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 방속 (方俗) : 지방의 풍속.
  • 방수 (方數) : '제곱수'의 전 용어. (제곱수: 어떤 수를 제곱하여 얻은 수. 1, 4, 9, 16, 25 따위가 있다.)
  • 방수 (方수) : → 방위. (방위: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음양(陰陽), 오행(五行), 간지(干支), 팔괘(八卦) 따위를 배치하여 사람의 길흉화복과 결부시킨 방향.)
  • 방수 (方手) : 방법과 수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방술 (方術) : 방법과 기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方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 부 (父) : 문어체에서, '아버지'를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가부 (家父) :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가부 (假父) :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계부 (繼父) :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계부 (季父) : 아버지의 막내아우.
  • 공보 (孔父) : '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공부 (孔父) : '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교부 (敎父) : 고위 성직자를 이르는 말.
  • 구부 (舅父) :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는 말.
  • 국부 (國父) : 나라를 세우는 데 공로가 많아 국민에게 존경받는 위대한 지도자를 이르는 말.
  • 군부 (君父) : 임금과 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내부 (乃父) : '네 아비', '이 아비'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글에서, 아버지가 자녀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노부 (老父) : 윗사람에게 자기의 늙은 아버지를 낮추어 이르는 말.
  • 농부 (農父) : 농사일로 늙은 사람.
  • 대부 (代父) : 어떤 분야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남자 지도자.
  • 대부 (大父) :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인 유복친 외의 남자 친척.
  • 동부 (同父) : 아버지는 같고 어머니가 다름.
  • 동부 (東父) :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남자 신선의 우두머리. 여자 신선은 서왕모가 거느린다고 한다.
  • 망부 (亡父) : 죽은 아버지.
  • 배부 (背父) : 아버지를 배반함.
  • 백부 (伯父) :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는 말.
  • 병부 (病父) : 병든 아버지.
  • 부계 (父系) : 아버지 쪽의 혈연 계통.
  • 부공 (父公) :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부교 (父敎) : 아버지의 가르침.
  • 부교 (父交) : 아버지의 친구로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군 (父君) :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부권 (父權) : 아버지가 가지는 친권(親權).
  • 부기 (父忌) : 아버지의 죽음.
  • 부녀 (父女) : 아버지와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도 (父道) : 아버지로서 지켜야 할 도리.
  • 부로 (父老) : 한 동네에서 나이가 많은 남자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명 (父命) : 아버지의 명령.
  • 부명 (父名) : 아버지의 이름.
  • 부모 (父母) :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사 (父師) : 아버지와 스승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사 (父事) : 아버지를 섬기는 예(禮)로써 나이 많은 어른을 섬김.
  • 부상 (父喪) : 아버지의 상사(喪事).
  • 부서 (父書) : 편지글에서, 아버지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의 맨 끝에 쓰는 말.
  • 부성 (父性) : 남성이 아버지로서 가지는 정신적ㆍ육체적 성질. 또는 그런 본능.
  • 부업 (父業) : 아버지의 직업.
  • 부왕 (父王) : 왕자나 공주가 자기의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또는 다른 사람이 왕자나 공주의 처지에서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 부음 (父音) :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해 구강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따위의 장애를 받으며 나는 소리.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는데, 국어의 경우에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부류는 양순음(ㅂ, ㅃ, ㅍ, ㅁ), 치조음(ㄷ, ㄸ, ㅌ, ㅅ, ㅆ, ㄴ, ㄹ), 경구개음(ㅈ, ㅉ, ㅊ), 연구개음(ㄱ, ㄲ, ㅋ, ㅇ), 성문음(ㅎ)이 있으며, 조음 방법에 따른 부류는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파찰음(ㅈ, ㅉ, ㅊ), 마찰음(ㅅ, ㅆ, ㅎ), 유음(ㄹ), 비음(ㄴ, ㅁ, ㅇ)이 있다.
  • 부자 (父子) : 아버지와 아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정 (父情) :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정.
  • 부제 (父帝) : 아버지인 제왕.
  • 부조 (父祖) :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주 (父祖) : 태어날 때부터 자손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소질이나 성질.
  • 부주 (父主) : 한문 투의 편지에서, '아버님'의 뜻으로 쓰는 말. (아버님: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주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이르거나 편지글 따위에서 쓴다.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인'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인: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늙은이를 이르는 말., 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부집 (父執) : 아버지의 친구로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측 (父側) : 아버지의 곁. 또는 아버지의 슬하.
  • 부친 (父親) : '아버지'를 정중히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부칭 (父稱) : 아버지의 이름에 연유하여 짓는 이름. 고대 그리스에서는 별명처럼 쓰이다가 성으로 굳어졌고, 러시아의 경우 자식의 이름과 성 사이에 붙인다.
  • 부형 (父型) : 활자의 모형(母型)을 만드는 데 쓰는 구멍 뚫는 기계. 문자 및 선의 대소, 방향 따위를 활자와 동일하게 부형 조각기로 연강(軟鋼)에 조각하여 담금질로 경화(硬化)한 다음에 모형재(母型材)를 박아서 모형을 만든다.
  • 부형 (父兄) : 아버지와 형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분부 (粉父) : 부마(駙馬)의 아버지.
  • 빙부 (聘父) : 다른 사람의 장인(丈人)을 이르는 말.
  • 사부 (師父) : '스승'을 높여 이르는 말. (스승: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
  • 삼부 (三父) : 복제(服制)에서, 최복(衰服)을 입는 아버지와 구별되던 세 계부(繼父). 함께 사는 계부, 함께 살지 않는 계부, 친모가 후살이 간 데 따라가서 섬기는 계부를 이른다.
  • 상보 (尙父/尙甫) : 아버지와 같이 존경하여 받들어 모시거나 그런 높임을 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특별한 대우로 신하에게 내리던 존칭의 하나. 중국에서 주나라 무왕이 처음 태공망에게 주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경종이 경순왕에게 주었다.
  • 생부 (生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선보 (宣父) : '공자'의 높임말.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선부 (先父) :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성부 (聖父) : 기독교인이 성삼위 중의 하나인 하나님을 이르는 말.
  • 세부 (世父) : 집안의 대를 잇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큰아버지'를 달리 이르는 말. (큰아버지: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형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여럿이 있을 때에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등과 같이 이르거나 부른다.)
  • 숙부 (叔父) :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 주로 기혼자를 가리킨다. 여럿이 있을 때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 시부 (媤父) : 남편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신부 (神父) : 주교 다음가는 성직자. 성사를 집행하고 미사를 드리며 강론을 한다.
  • 실부 (實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아부 (亞父) : '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계부: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아부 (阿父)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악부 (惡父) : 못된 아버지.
  • 악부 (岳父/嶽父) : 편지 따위에서, '장인'을 이르는 말. (장인: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늙은이를 이르는 말., 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양부 (養父) : 양자가 됨으로써 생긴 아버지.
  • 어보 (漁父) : '어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어부: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어부 (漁夫/漁父) :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엄부 (嚴父) : 엄격한 아버지.
  • 오부 (五父) : 아버지로 섬겨야 할 다섯 사람. 곧 친아버지인 실부(實父), 양아버지인 양부(養父), 의붓아버지인 계부(繼父), 의리로 맺은 아버지인 의부(義父), 아버지처럼 모시는 스승인 사부(師父)를 이른다.
  • 왕부 (王父) : 편지 따위의 글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유부 (乳父) : 유모의 남편.
  • 유부 (猶父) : 아버지와 같다는 뜻으로, 아버지의 형제인 삼촌을 달리 이르는 말.
  • 의부 (義父) : 의로 맺은 아버지.
  • 이보 (尼父) : '공자'를 높여 이르는 말.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이부 (異父) :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름.
  • 자부 (慈父) : 자애로운 아버지.
  • 적부 (嫡父) : 친아버지를 달리 이르는 말.
  • 전부 (田父) : 개구리의 하나. 몸이 크며 뱀 따위를 잡아먹는다고 한다.
  • 제부 (諸父)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당내친.
  • 조부 (祖父) : 부모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조부 (釣父) : 낚시질하는 노인.
  • 족부 (族父) : 씨족, 부족 따위의 우두머리.
  • 주부 (主父) : 한집안의 어른.
  • 중부 (仲父) : 결혼을 한, 아버지의 형제 가운데 둘째 되는 이. 아버지의 형제가 여럿인 경우에 아버지가 셋째나 그 아래이면 둘째 큰아버지를, 아버지가 맏이거나 둘째이면 첫째 작은아버지를 이른다.
  • 처부 (妻父) : 아내의 아버지.
  • 천부 (天父) : 성삼위(聖三位) 중의 제1격인 하나님 아버지.
  • 친부 (親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편부 (偏父) : 어머니가 죽거나 이혼하여 홀로 있는 아버지.
  • 현부 (賢父) : 현명한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호부 (呼父) : 아버지라고 부름. 곧 아버지로 모심을 이르는 말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怡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 김이 (金怡) : 고려 말기의 문신(1265~1327). 자는 열심(悅心)ㆍ은지(隱之). 춘양 김씨의 시조로, 충선왕 때에 왕의 부자 사이를 이간하려는 간신배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남이 (南怡) : 조선 시대의 무신(1441~1468). 1467년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여 이름을 떨치고 28세에 병조 판서가 되었으나, 유자광의 무고로 죽었다.
  • 이목 (怡穆) : '이목하다'의 어근. (이목하다: 기쁘고 화목하다.)
  • 이성 (怡聲) : 기쁜 목소리.
  • 이안 (怡顔) : 안색을 부드럽게 함.
  • 이연 (怡然) : '이연하다'의 어근. (이연하다: 기쁘고 좋다.)
  • 이열 (怡悅) : 즐겁고 기쁨.
  • 이유 (怡愉) : 즐겁고 기쁨.
  • 이이 (怡怡) : '이이하다'의 어근. (이이하다: 기쁘고 좋다.)
  • 이탕 (怡蕩) : 즐겨서 제멋대로 함.
  • 이화 (怡和) :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일.
  • 최이 (崔怡) : '최우'의 다른 이름. (최우: 고려 시대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1249). 시호는 광렬(匡烈). 최충헌의 아들로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는 한편,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로 천도(遷都)하고 대장경판(大藏經板) 재조(再雕)를 완성하였다.)
  • 남이섬 (南怡섬)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에 속하는 섬. 북한강에 있는 섬으로 남이 장군의 묘가 있다. 넓은 잔디밭과 잘 정비된 오락 시설이 있어서 관광지로 유명하다.
  • 이연히 (怡然히) : 기쁘고 좋게.
  • 앙념불이 (怏念不怡) : 원망스러워 즐겁지 아니함.
  • 이목하다 (怡穆하다) : 기쁘고 화목하다.
  • 이안하다 (怡顔하다) : 안색을 부드럽게 하다.
  • 이연이순 (怡然理順) : 기쁜 마음으로 도리에 순종함.
  • 이연하다 (怡然하다) : 기쁘고 좋다.
  • 이열하다 (怡悅하다) : 즐겁고 기쁘다.
  • 이유하다 (怡愉하다) : 즐겁고 기쁘다.
  • 이이하다 (怡怡하다) : 기쁘고 좋다.
  • 이탕하다 (怡蕩하다) : 즐겨서 제멋대로 하다.
  • 앙념불이하다 (怏念不怡하다) : 원망스러워 즐겁지 아니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怡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