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9일 목요일

야기요단: 惹起鬧端

야기요단 (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惹起鬧端 한자 뜻 풀이

  • 惹(이끌 야) : 이끌다, 끌리다, 끌어당김, 엉기다, 어지럽다. 마음이 흐트러져 이끌리다는 의미. '若'은 발음요소
  • 起(일어날 기) : 일다, 일으키다, 값이 오르다, 더욱, 한층 더. 몸을 일으켜 걷는 모양에서 '일어나다'는 의미 생성
  • 鬧(시끄러울 뇨) : 시끄럽다, 흐트러지다, 무르익다, 잦다, 다투다. 많은 사람들이 모야 다투고 싸우다는 의미에서 '시끄럽다' 생성
  • 端(바를 단) : 바르다, 바르게 하다, 끝, 실마리, 처음. 비뚤어지지 않고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실마리', '끝' 등의 뜻을 파생함


[惹] 이끌 야 (이끌다, 끌리다, 끌어당김, 엉기다, 어지럽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기요단 획순 이미지 야기요단(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 (: 이끌 야) (: 일어날 기) (: 바를 단) ]

[端] 바를 단 (바르다, 바르게 하다, 끝, 실마리, 처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사다단 획순 이미지 다사다단(多事多端) :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 (: 많을 다) (: 일 사) (: 많을 다) (: 바를 단) ]
  • 자구지단(藉口之端) : 핑계로 내세울 만한 거리. [ (: 깔개 자) (: 입 구) (: 갈 지) (: 바를 단) ]
  • 형단표정(形端表正) :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 (: 형상 형) (: 바를 단) (: 겉 표) (: 바를 정) ]
  • 만단개유(萬端改諭) : 여러 가지로 타이름. [ (: 일만 만) (: 바를 단) (: 고칠 개) (: 깨우칠 유) ]
  • 목용필단구용필지(目容必端口容必止) :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端正)하게 하고 입의 모습은 반드시 다물고 있는 듯이 함. [ (: 눈 목) (: 얼굴 용) (: 반드시 필) (: 바를 단) (: 입 구) (: 얼굴 용) (: 반드시 필) (: 그칠 지) ]

[起] 일어날 기 (일다, 일으키다, 값이 오르다, 더욱, 한층 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기사회생 획순 이미지 기사회생(起死回生) :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 (: 일어날 기) (: 죽을 사) (: 돌 회) (: 날 생) ]
  • 재기불능(再起不能) : 다시 일어설 능력(能力)이 없음. [ (: 두 재) (: 일어날 기) (: 아니 불) (: 능할 능) ]
  • 좌와기거(坐臥起居) : (1)'일상생활'을 달리 이르는 말. (2)좌와와 기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앉을 좌) (: 누울 와) (: 일어날 기) (: 있을 거) ]
  • 부모출입매필기립(父母出入每必起立) :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 (: 아비 부) (: 어미 모) (: 날 출) (: 들 입) (: 매양 매) (: 반드시 필) (: 일어날 기) (: 설 립) ]
  • 무장봉기(武裝蜂起) : 지배자의 무력에 대항하여 피지배자가 무장을 하고 떼 지어 세차게 일어나는 일. [ (: 호반 무) (: 꾸밀 장) (: 벌 봉) (: 일어날 기) ]

[鬧] 시끄러울 뇨 (시끄럽다, 흐트러지다, 무르익다, 잦다, 다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기요단 획순 이미지 야기요단(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 (: 이끌 야) (: 일어날 기) (: 바를 단) ]
  • 화홍황봉료초록백마시(花紅黃蜂鬧草綠白馬嘶) : 꽃이 붉으니 누런 벌이 시끄럽고, 풀이 푸르니 흰 말이 움. [ (: 꽃 화) (: 붉을 홍) (: 누를 황) (: 벌 봉) (: 시끄러울 료) (: 풀 초) (: 초록빛 록) (: 흰 백) (: 말 마) (: 울 시)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是非]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겸청즉명 획순 이미지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 겸할 겸) (: 들을 청) (: 곧 즉) (: 밝을 명) ]
  • 양시쌍비(兩是雙非) :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 (: 옳을 시) (: 쌍 쌍) (: 아닐 비) ]
  • 량편공사(兩便公事) : (1)서로 상대가 되는 두 쪽의 이야기를 듣고 공평하게 시비를 판단하는 일. (2)'양편공사'의 북한어. [ (便: 편할 편) (: 공변될 공) (: 일 사) ]
  • 오지자웅(烏之雌雄) :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까마귀 오) (: 갈 지) (: 암컷 자) (: 수컷 웅) ]
  • 야기요단(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 (: 이끌 야) (: 일어날 기) (: 바를 단) ]

[소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석전경우 획순 이미지 석전경우(石田耕牛) :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말. [ (: 돌 석) (: 밭 전) (: 갈 경) (: 소 우) ]
  • 야기요단(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 (: 이끌 야) (: 일어날 기) (: 바를 단) ]
  • 벽창우(碧昌牛) : (1)평안북도의 벽동(碧潼)ㆍ창성 지방에서 나는 크고 억센 소. (2)'벽창호'의 원말. [ (: 푸를 벽) (: 창성 창) (: 소 우) ]
  • 무병신음(無病呻吟) : 병도 아닌 데 괴로워 앓는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곧 별것도 아닌 데 떠벌려 소란(騷亂)을 떨거나 엄살을 피움을 이르는 말. [ (: 없을 무) (: 병 병) (: 끙끙거릴 신) (: 읊을 음) ]

[시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겸청즉명 획순 이미지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 겸할 겸) (: 들을 청) (: 곧 즉) (: 밝을 명) ]
  •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 (: 도둑 적) (: 돌이킬 반) (: 멜 하) (: 지팡이 장) ]
  • 양시쌍비(兩是雙非) :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 (: 옳을 시) (: 쌍 쌍) (: 아닐 비) ]
  • 량편공사(兩便公事) : (1)서로 상대가 되는 두 쪽의 이야기를 듣고 공평하게 시비를 판단하는 일. (2)'양편공사'의 북한어. [ (便: 편할 편) (: 공변될 공) (: 일 사) ]
  • 오지자웅(烏之雌雄) :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까마귀 오) (: 갈 지) (: 암컷 자) (: 수컷 웅) ]

[시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생민지시만복지원 획순 이미지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 원형이정(元亨利貞)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 (: 으뜸 원) (: 형통할 형) (: 곧을 정) ]
  • 남상(濫觴) : (1)'남상'의 북한어. (2)양쯔강(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 (: 잔 상) ]
  • 야기요단(惹起鬧端)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 (: 이끌 야) (: 일어날 기) (: 바를 단)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