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욕염담 (無慾恬淡) : 욕심(慾心)이 없이 마음이 깨끗하고 담담(淡淡)함.
無慾恬淡 한자 뜻 풀이
- 無(없을 무)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效(효) 채찍질하여 배우고 '본받게하다'는 의미 생성
- 慾(욕심 욕) : 욕심, 욕정(欲情). 欲에 心을 더해 감정의 의미가 더해져 '욕심' 등의 의미를 파생함. 欲이 발음으로도 사용됨
- 恬(편안할 념) : 편안하다, 조용하다. 마음의 평정을 얻어 '편안하다'는 의미
- 淡(묽을 담) : 묽다, 질펀히 흐르다, 어렴풋하다, 연하다, 물이 질펀하게 흐르는 모양. 물이 맑고 깨끗해 '맑다'는 의미를 생성함. 炎(염)은 발음 요소
[恬] 편안할 념 (편안하다, 조용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염이부지괴(恬而不知怪) :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 [ (而: 말 이을 이)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怪: 기이할 괴) ]
- 무욕염담(無慾恬淡) : 욕심(慾心)이 없이 마음이 깨끗하고 담담(淡淡)함. [ (無: 없을 무) (慾: 욕심 욕) (淡: 묽을 담) ]
- 염필륜지(恬筆倫紙) : 진국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채륜(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음. [ (筆: 붓 필) (倫: 인륜 륜) (紙: 종이 지) ]
- 염불위괴(恬不爲愧) : (1)'염불위괴'의 북한어. (2)옳지 아니한 일을 하고도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조금도 없음. [ (不: 아니 불) (爲: 할 위) (愧: 부끄러워할 괴) ]
[慾] 욕심 욕 (욕심, 욕정(欲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욕편정(邪慾偏情) :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 (邪: 간사할 사) (慾: 욕심 욕) (偏: 치우칠 편) (情: 뜻 정) ]
- 극벌원욕(克伐怨慾) :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克: 이길 극) (伐: 칠 벌) (怨: 원망할 원) (慾: 욕심 욕) ]
- 대욕비도(大慾非道) : 욕심(慾心)이 많고 무자비(無慈悲)함. [ (大: 큰 대) (慾: 욕심 욕) (非: 아닐 비) (道: 길 도) ]
- 비기지욕(肥己之慾) :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 (肥: 살찔 비) (己: 몸 기) (之: 갈 지) (慾: 욕심 욕) ]
[淡] 묽을 담 (묽다, 질펀히 흐르다, 어렴풋하다, 연하다, 물이 질펀하게 흐르는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수지교(淡水之交) : 물과 같은 담박한 사귐이라는 뜻으로,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 (淡: 묽을 담) (水: 물 수) (之: 갈 지) (交: 사귈 교) ]
- 담교(淡交) :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 (淡: 묽을 담) (交: 사귈 교) ]
- 청담허무(淸淡虛無) : 맑고 담박한 무의 상태라는 뜻으로, 조촐하여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담박하다는 의미. [ (淸: 맑을 청) (淡: 묽을 담) (虛: 빌 허) (無: 없을 무) ]
- 평이담백(平易淡白) : 깨끗하며 욕심(慾心)이 없는 마음. [ (平: 평평할 평) (易: 쉬울 이) (淡: 묽을 담) (白: 흰 백) ]
- 무욕염담(無慾恬淡) : 욕심(慾心)이 없이 마음이 깨끗하고 담담(淡淡)함. [ (無: 없을 무) (慾: 욕심 욕) (淡: 묽을 담) ]
[無] 없을 무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束: 묶을 속) (手: 손 수)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無: 없을 무) (何: 어찌 하) (之: 갈 지) (症: 증세 증) ]
- 무위무사(無爲無事)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 (無: 없을 무) (爲: 할 위) (無: 없을 무) (事: 일 사) ]
- 노이무공(勞而無功)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 (而: 말 이을 이) (無: 없을 무) (功: 공 공) ]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大: 큰 대) (惡: 악할 악) (無: 없을 무) (道: 길 도) ]
[깨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명수청(山明水淸) : 산수가 맑고 깨끗함. [ (山: 메 산) (明: 밝을 명) (水: 물 수) (淸: 맑을 청) ]
- 형단표정(形端表正) :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 (形: 형상 형) (端: 바를 단) (表: 겉 표) (正: 바를 정) ]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一: 한 일) (塵: 티끌 진) (不: 아니 불) (染: 물들일 염) ]
- 양수청풍(兩袖淸風) : 두 소매에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양 손 모두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는 관리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 (袖: 소매 수) (淸: 맑을 청) (風: 바람 풍) ]
- 정금양옥(精金良玉)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精: 정미할 정) (金: 쇠 금) (玉: 구슬 옥) ]
[마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感: 느낄 감) (懷: 품을 회) ]
-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奢: 사치할 사) (者: 놈 자) (心: 마음 심) (常: 항상 상) (貧: 가난할 빈) ]
- 상사일념(相思一念) :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 (相: 서로 상) (思: 생각할 사) (一: 한 일) (念: 생각 념) ]
- 홀홀불락(忽忽不樂) :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 (忽: 문득 홀) (忽: 문득 홀) (不: 아니 불) (樂: 즐거울 락) ]
- 도외치지(度外置之) : 마음에 두지 아니함. [ (度: 법도 도) (外: 바깥 외) (置: 둘 치) (之: 갈 지) ]
[욕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리사복(私利私腹)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 (私: 사사 사) (利: 날카로울 리) (私: 사사 사) (腹: 배 복)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見: 볼 견) (物: 만물 물) (生: 날 생) (心: 마음 심) ]
- 강산풍월주인(江山風月主人) :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江: 강 강) (山: 메 산) (風: 바람 풍) (月: 달 월) (主: 주인 주) (人: 사람 인) ]
- 삼마태수(三馬太守) : 세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守令)이라는 뜻으로, 재물(財物)에 욕심이 없는 깨끗한 관리, 청백리(淸白吏)를 이르는 말. [ (三: 석 삼) (馬: 말 마) (太: 클 태) (守: 지킬 수) ]
- 청백리(淸白吏) :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 (淸: 맑을 청) (白: 흰 백) (吏: 벼슬아치 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