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6일 금요일

옥정추향: 玉井秋香

옥정추향 (玉井秋香) : 옥 우물의 가을 향기라는 뜻으로, 좋은 물과 수확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을 이르는 말.



玉井秋香 한자 뜻 풀이

  • 玉(구슬 옥) : 구슬, 남의 것에 대한 미칭(美稱), 아껴 소중히 여기다, 갈다, 훌륭하게 함. 가운데 구멍이 뚫린 넓적한 옥판을 세 개 끈으로 꿰어 논 모양. 후에 王(왕)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부수자로 사용될 때는 본래 모양대로 '王'을 씀
  • 井(우물 정) :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井'자 모양의 '우물' 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의 '마을' 의미도 있음
  • 秋(가을 추) : 가을, 결실(結實), 성숙한 때, 때, 나이. 메뚜기나 귀뚜라미의 모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결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추수의 의미로 보아 '가을'의 의미 생성
  • 香(향기 향) : 향기, 향기롭다, 향, 아름다움, 향내. 기장[黍(서)]이 익으면서 나는 맛있는[口] 냄새에서 '향기'의 의미 생성


[井] 우물 정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 획순 이미지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우물 정) (: 가운데 중) (: 구할 구) (: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배울 학) (: 같을 여) (穿: 뚫을 천) (: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 ]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 [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갈 경) (: 밭 전) (: 뚫을 착) (: 우물 정) ]

[玉] 구슬 옥 (구슬, 남의 것에 대한 미칭(美稱), 아껴 소중히 여기다, 갈다, 훌륭하게 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산지옥 획순 이미지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경지옥엽(瓊枝玉葉)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 옥 경) (: 가지 지) (: 구슬 옥) (: 잎 엽) ]
  • 은린옥척(銀鱗玉尺) : (1)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2)'물고기'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 (: 은 은) (: 비늘 린) (: 구슬 옥) (: 자 척) ]
  • 피갈회옥(被褐懷玉) : 거친 옷을 입었으나 속에는 옥을 지녔다는 뜻으로, 지덕을 갖춘 사람이 세상에 알려지려고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이불 피) (: 털옷 갈) (: 품을 회) (: 구슬 옥) ]
  • 석옥연향(惜玉憐香) :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 아낄 석) (: 구슬 옥) (: 향기 향) ]

[秋] 가을 추 (가을, 결실(結實), 성숙한 때, 때, 나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장추야 획순 이미지 장장추야(長長秋夜) : 기나긴 가을밤. [ (: 길 장) (: 길 장) (: 가을 추) (: 밤 야) ]
  • 명졸지추(命卒之秋) : 거의 죽게 된 때. [ (: 목숨 명) (: 군사 졸) (: 갈 지) (: 가을 추) ]
  • 삼척추수(三尺秋水) : 날이 시퍼렇게 선 긴 칼. [ (: 석 삼) (: 자 척) (: 가을 추) (: 물 수) ]
  • 추풍삭막(秋風索莫) :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가을 추) (: 바람 풍) (: 동아줄 삭) (: 없을 막) ]
  • 춘추정성(春秋鼎盛) : 젊고 혈기가 왕성할 때. [ (: 봄 춘) (: 가을 추) (: 솥 정) (: 담을 성) ]

[香] 향기 향 (향기, 향기롭다, 향, 아름다움, 향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암향부동 획순 이미지 암향부동(暗香浮動) : 그윽한 향기가 은은히 떠돎. [ (: 어두울 암) (: 향기 향) (: 뜰 부) (: 움직일 동) ]
  • 석옥연향(惜玉憐香) :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 아낄 석) (: 구슬 옥) (: 향기 향) ]
  • 향화일로등일잔(香火一爐燈一盞) : 하나의 향롯불과 하나의 등이라는 뜻으로, 중의 주거(住居)를 이르는 말. [ (: 향기 향) (: 불 화) (: 한 일) (: 화로 로) (: 등불 등) (: 한 일) (: 잔 잔) ]
  • 봉접수향(蜂蝶隨香) :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 (: 벌 봉) (: 나비 접) (: 따를 수) (: 향기 향) ]

[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고수청 획순 이미지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측수심매인심(測水深昧人心) :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 잴 측) (: 물 수) (: 깊을 심) (: 어두울 매) (: 사람 인) (: 마음 심) ]
  • 산용수상(山容水相) :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 메 산) (: 얼굴 용) (: 물 수) (: 서로 상)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수용산출(水湧山出)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물 수) (: 샘솟을 용) (: 메 산) (: 날 출) ]

[빚]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위부과 획순 이미지 여위부과(如蝟負瓜) : 고슴도치가 오이를 짊어진 것 같다는 뜻으로, 남에게 진 빚이 많음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고슴도치 위) (: 질 부) (: 오이 과) ]
  • 부채여산(負債如山) : 남에게 진 빚이 산더미처럼 많음. [ (: 질 부) (: 빚 채) (: 같을 여) (: 메 산) ]
  • 옥정추향(玉井秋香) : 옥 우물의 가을 향기라는 뜻으로, 좋은 물과 수확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을 이르는 말. [ (: 구슬 옥) (: 우물 정) (: 가을 추) (: 향기 향) ]

[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박광 획순 이미지 호박광(琥珀光) : 맑고 아름다운 술의 누런빛을 이르는 말. [ (: 호박 호) (: 호박 박) (: 빛 광) ]
  • 일반지덕(一飯之德) :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밥 반) (: 갈 지) (: 덕 덕) ]
  • 경선처단(徑先處斷)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 (: 지름길 경) (: 먼저 선) (: 머무를 처) (: 끊을 단) ]

[가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장추야 획순 이미지 장장추야(長長秋夜) : 기나긴 가을밤. [ (: 길 장) (: 길 장) (: 가을 추) (: 밤 야) ]
  • 추풍삭막(秋風索莫) :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가을 추) (: 바람 풍) (: 동아줄 삭) (: 없을 막) ]
  • 원형이정(元亨利貞)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 (: 으뜸 원) (: 형통할 형) (: 곧을 정) ]
  • 각로청수(刻露淸秀) :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새길 각) (: 이슬 로) (: 맑을 청) (: 빼어날 수) ]
  • 춘하추동(春夏秋冬) :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 (: 봄 춘) (: 여름 하) (: 가을 추) (: 겨울 동) ]

[수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일수백확 획순 이미지 일수백확(一樹百穫) :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나무 수) (: 일백 백) (: 거둘 확) ]
  • 옥정추향(玉井秋香) : 옥 우물의 가을 향기라는 뜻으로, 좋은 물과 수확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을 이르는 말. [ (: 구슬 옥) (: 우물 정) (: 가을 추) (: 향기 향) ]
  • 호혈호자(虎穴虎子) :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큰 위험(危險)을 각오(覺悟)하지 않으면 큰 수확(收穫)을 얻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범 호) (: 구멍 혈) (: 범 호) (: 아들 자) ]
  • 추무담석(秋無擔石) : 중국의 주나라에서 담(擔)은 2석(石), 석(石)은 1석으로 아주 적은 분량을 이르던 데서, 집이 가난해서 가을에도 아무 수확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가을 추) (: 없을 무) (: 멜 담) (: 돌 석) ]

[우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 획순 이미지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우물 정) (: 가운데 중) (: 구할 구) (: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배울 학) (: 같을 여) (穿: 뚫을 천) (: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 ]
  • 감중지와(埳中之蛙) :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 (: 구덩이 감) (: 가운데 중) (: 갈 지) (: 개구리 와) ]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 [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겸지우겸: 兼之又兼

겸지우겸 (兼之又兼) : 여러 가지를 겸한 위에 다른 것을 또 겸함.



兼之又兼 한자 뜻 풀이

  • 兼(겸할 겸) : 겸하다, 다하다, 쌓다, 아울러, 포갬. '禾+禾+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두 포기의 벼를 쥐고 있는 모양에서 '아우르다', '겸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又(또 우) : 또, 또 하다, 조자(助字), 돕다, 오른쪽. 오른손에 손가락까지 간략화해서 본뜬 글자로 손과 관련해서 일어나는 행위나 상대의 표현에 사용됨
  • 兼(겸할 겸) : 겸하다, 다하다, 쌓다, 아울러, 포갬. '禾+禾+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두 포기의 벼를 쥐고 있는 모양에서 '아우르다', '겸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兼] 겸할 겸 (겸하다, 다하다, 쌓다, 아울러, 포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겸청즉명 획순 이미지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 겸할 겸) (: 들을 청) (: 곧 즉) (: 밝을 명) ]
  • 겸사겸사(兼事兼事)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려고,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할 겸 해서. [ (: 겸할 겸) (: 일 사) (: 겸할 겸) (: 일 사) ]
  • 범애겸리(氾愛兼利)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 (: 넘칠 범) (: 사랑 애) (: 겸할 겸) (: 날카로울 리) ]
  • 정례겸도(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 (: 뜻 정) (: 예도 례) (: 겸할 겸) (: 이를 도) ]

[又] 또 우 (또, 또 하다, 조자(助字), 돕다, 오른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지우현 획순 이미지 현지우현(玄之又玄) : 오묘(奧妙)하고 또 오묘(奧妙)하다는 뜻으로, 도(道)의 광대(廣大) 무변함을 찬탄(讚歎)한 말. [ (: 검을 현) (: 갈 지) (: 또 우) (: 검을 현) ]
  • 박지우박(薄之又薄) : 더할 나위 없이 박함. [ (: 엷을 박) (: 갈 지) (: 또 우) (: 엷을 박) ]
  • 삼년불비우불명(三年不飛又不鳴) :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날을 기다려 삼 년 동안이나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의 <골계열전(滑稽列傳)>과 ≪여씨춘추≫의 <심응람(審應覽)>에 나오는 말이다. [ (: 석 삼) (: 해 년) (: 아니 불) (: 날 비) (: 또 우) (: 아니 불) (: 울 명) ]
  • 겸지우겸(兼之又兼) : 여러 가지를 겸한 위에 다른 것을 또 겸함. [ (: 겸할 겸) (: 갈 지) (: 또 우) (: 겸할 겸) ]
  • 감지우감(減之又減) : 덜어 낸 데에서 또 덞. [ (: 덜 감) (: 갈 지) (: 또 우) (: 덜 감)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