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근지족 (强近之族)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强近之族 한자 뜻 풀이
- 强(굳셀 강) : 強의 俗字. 본래 벌레의 종류를 의미했는데, 후에 약한 벌레에 역설적으로 '강하다'는 의미를 부여함. 왼쪽의 '弘(홍)'은 발음 변화
- 近(가까울 근) : 가깝다, 가까이하다, 어조사(語助辭), 친하게 지냄, 어세(語勢)를 고름.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族(겨레 족) : 겨레, 음률(音律), 가계(家系), 무리, 극형(極刑). 상징이 되는 깃발아래에 화살을 쌓아 놓은 모양에서 많은 무리가 뭉쳐있다는 개념에서 '겨레', '무리'의 의미 생성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殺: 죽일 살) (活: 살 활) (之: 갈 지) (權: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友: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七: 일곱 칠) (步: 걸을 보) (之: 갈 지) (才: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自: 스스로 자) (身: 몸 신) (之: 갈 지) (策: 꾀 책) ]
[强] 굳셀 강 (強의 俗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强: 굳셀 강) (將: 장수 장) (下: 아래 하) (無: 없을 무) (弱: 약할 약) (兵: 군사 병) ]
- 강장지년(强壯之年) :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 (强: 굳셀 강) (壯: 씩씩할 장) (之: 갈 지) (年: 해 년) ]
- 약이능강(弱而能强) : 약하면서도 강한 것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겉보기는 약한 듯하나 내실은 매우 강함을 이르는 말. [ (弱: 약할 약) (而: 말 이을 이) (能: 능할 능) (强: 굳셀 강) ]
- 박문강식(博聞强識) :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博: 넓을 박) (聞: 들을 문) (强: 굳셀 강) (識: 알 식) ]
- 강고무비(强固無比) :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굳세고 튼튼함. [ (强: 굳셀 강) (固: 굳을 고) (無: 없을 무) (比: 견줄 비) ]
[族] 겨레 족 (겨레, 음률(音律), 가계(家系), 무리, 극형(極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화거족(京華巨族) : 번화한 서울에서 권력 있고 번성한 집안. [ (京: 서울 경) (華: 빛날 화) (巨: 클 거) (族: 겨레 족) ]
- 애국애족(愛國愛族) : 자기(自己)의 나라와 겨레를 사랑함. [ (愛: 사랑 애) (國: 나라 국) (愛: 사랑 애) (族: 겨레 족) ]
- 강근지족(强近之族)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 (强: 굳셀 강) (近: 가까울 근) (之: 갈 지) (族: 겨레 족) ]
- 삼족지죄(三族之罪) : 삼족이 모두 벌을 받을 만한 중죄. [ (三: 석 삼) (族: 겨레 족) (之: 갈 지) (罪: 허물 죄) ]
- 명문거족(名門巨族) : 이름나고 크게 번창한 집안. [ (名: 이름 명) (門: 문 문) (巨: 클 거) (族: 겨레 족) ]
[近] 가까울 근 (가깝다, 가까이하다, 어조사(語助辭), 친하게 지냄, 어세(語勢)를 고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욕근치(殆辱近恥)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 (殆: 위태할 태) (辱: 욕될 욕) (近: 가까울 근) (恥: 부끄러워할 치) ]
- 지근지처(至近之處) : 매우 가까운 곳. [ (至: 이를 지) (近: 가까울 근) (之: 갈 지) (處: 머무를 처) ]
- 어불근리(語不近理) :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 데가 있음. [ (語: 말씀 어) (不: 아니 불) (近: 가까울 근) (理: 다스릴 리) ]
- 강근지족(强近之族)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 (强: 굳셀 강) (近: 가까울 근) (之: 갈 지) (族: 겨레 족) ]
- 지원부지근(知遠不知近) : 먼 것은 알고 가까운 것은 모른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알면서 자기 일은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 [ (知: 알 지) (遠: 멀 원)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近: 가까울 근) ]
[도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三: 석 삼) (益: 더할 익) (友: 벗 우) ]
- 동악상조(同惡相助)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同: 한가지 동) (惡: 악할 악) (相: 서로 상) (助: 도울 조) ]
- 애막조지(愛莫助之) : 사랑하나 도와줄 수가 없음. [ (愛: 사랑 애) (莫: 없을 막) (助: 도울 조) (之: 갈 지) ]
-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소아(小雅)>에 나오는 말이다. [ (他: 다를 타) (山: 메 산) (之: 갈 지) (石: 돌 석) ]
- 풍운월로(風雲月露) :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 (風: 바람 풍) (雲: 구름 운) (月: 달 월) (露: 이슬 로) ]
[친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堂: 집 당) (內: 안 내) (至: 이를 지) (親: 친할 친) ]
- 유복지친(有服之親) :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 (有: 있을 유) (服: 옷 복) (之: 갈 지) (親: 친할 친) ]
- 사고무친(四顧無親) :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 [ (四: 넉 사) (顧: 돌아볼 고) (無: 없을 무) (親: 친할 친) ]
- 단독일신(單獨一身) : 가족이나 친척이 없는 홀몸. [ (單: 홑 단) (獨: 홀로 독) (一: 한 일) (身: 몸 신) ]
- 사돈팔촌(査頓八寸) :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査: 조사할 사) (頓: 조아릴 돈) (八: 여덟 팔) (寸: 마디 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