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6일 화요일

호염: 胡髥

호염 (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胡髥 한자 뜻 풀이

  • 胡(오랑캐 호) : 오랑캐 이름, 목, 진(秦) 이전은 흉노(匈奴)만을 일컬었으나 뒤에는 새외(塞外) 민족의 총칭(總稱)이 되었음, 멀다, 장수하다. 소의 턱밑에 늘어진 살을 의미하거나, 달[月]을 지나간 시간이나 비문명으로 보아 '오랑캐'로 사용함. 자형 구분시 '肉'부수에 포함됨. 후에 가차되어 '어찌'의 의미도 파생
  • 髥(구레나룻 염) : 구레나룻 염.


[胡] 오랑캐 호 (오랑캐 이름, 목, 진(秦) 이전은 흉노(匈奴)만을 일컬었으나 뒤에는 새외(塞外) 민족의 총칭(總稱)이 되었음, 멀다, 장수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마의북풍 획순 이미지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말 마) (: 의지할 의) (: 북녘 북) (: 바람 풍) ]
  • 호불귀(胡不歸) :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라는 뜻으로, 돌아가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하는 말. [ (: 오랑캐 호) (: 아니 불) (: 돌아갈 귀) ]
  • 호사난량(胡思亂量) :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 (: 오랑캐 호) (: 생각할 사) (: 헤아릴 량) ]
  •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호귀별성(胡鬼別星) :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 (: 오랑캐 호) (: 귀신 귀) (: 나눌 별) (: 별 성) ]

[髥] 구레나룻 염 (구레나룻 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염 획순 이미지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벽안자염(碧眼紫髥) :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 (: 푸를 벽) (: 눈 안) (: 자주빛 자) (: 구레나룻 염) ]

[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역린 획순 이미지 역린(逆鱗)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 (: 거스를 역) (: 비늘 린) ]
  •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태수위탈함이(太守爲脫頷頤)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 클 태) (: 지킬 수) (: 할 위) (: 벗을 탈) (: 턱 함) (: 턱 이) ]
  • 연함호두(燕頷虎頭) : 제비 비슷한 턱과 범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 (: 제비 연) (: 턱 함) (: 범 호) (: 머리 두) ]

[비롯]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시 획순 이미지 칠보시(七步詩) :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시 시) ]
  • 검수(黔首) :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 (: 검을 검) (: 머리 수) ]
  •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학원어사(學原於思) :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 (: 배울 학) (: 언덕 원) (: 어조사 어) (: 생각할 사) ]
  • 대동소이(大同小異) :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 (: 큰 대) (: 한가지 동) (: 작을 소) (: 다를 이) ]

[비슷]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로동혈 획순 이미지 해로동혈(偕老同穴) : (1)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하자는 부부의 굳은 맹세를 이르는 말. ≪시경≫에 나오는 말이다. (2)육방해면의 해면동물. 몸의 길이는 11~36cm, 폭은 2~6cm이고 수세미와 비슷한 둥근 통 모양이다. 대한 해협, 일본 근해의 깊은 바다에 산다. [ (: 함께 해) (: 늙을 로) (: 한가지 동) (: 구멍 혈) ]
  • 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 (: 어려울 난) (: 할 위) (: 맏 형) (: 어려울 난) (: 할 위) (: 아우 제) ]
  • 일맥상통(一脈相通) : 사고방식, 상태, 성질 따위가 서로 통하거나 비슷해짐. [ (: 한 일) (: 맥 맥) (: 서로 상) (: 통할 통) ]
  • 인자요산(仁者樂山) :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 (: 어질 인) (: 놈 자) (: 좋아할 요) (: 메 산) ]
  • 각곡유목(刻鵠類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 새길 각) (: 고니 곡) (: 집오리 목) ]

[수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염 획순 이미지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 벽안자염(碧眼紫髥) :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 (: 푸를 벽) (: 눈 안) (: 자주빛 자) (: 구레나룻 염) ]

[풍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호혼식 획순 이미지 산호혼식(珊瑚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 산호 산) (: 산호 호) (: 혼인할 혼) (: 법 식) ]
  • 순풍미속(淳風美俗) : 인정이 두텁고 아름다운 풍속이나 습관. [ (: 순박할 순) (: 바람 풍) (: 아름다울 미) (: 풍속 속) ]
  • 상풍패속(傷風敗俗) :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 [ (: 다칠 상) (: 바람 풍) (: 패할 패) (: 풍속 속) ]

[오랑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만북적 획순 이미지 남만북적(南蠻北狄) :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 (: 남녘 남) (: 오랑캐 만) (: 북녘 북) (: 오랑캐 적) ]
  •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말 마) (: 의지할 의) (: 북녘 북) (: 바람 풍) ]
  • 야랑자대(夜郞自大) :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강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한다. [ (: 밤 야) (: 사내 랑) (: 스스로 자) (: 큰 대) ]
  • 새옹마(塞翁馬)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 변방 새) (: 늙은이 옹) (: 말 마) ]
  • 호염(胡髥)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 오랑캐 호) (: 구레나룻 염)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