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불조도 (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恨不早圖 한자 뜻 풀이
- 恨(한할 한) : 한하다, 뉘우치다, 한, 애석하게 여겨 뉘우침, 원한을 품다. 원통하다, 한 등의 의미. '艮(간)'은 발음 요소. '限(한)'은 '한계, 제한'의 의미
- 不(아니 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早(일찍 조) : 일찍, 이르다, 새벽, 아침, 때가 오기 전에. 해가 위에 올라왔다는 의미에서 '새벽', '아침', '이르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圖(그림 도) : 그림, 꾀하다, 하도(河圖)의 약칭, 법, 그리다. 일정한 구역 안에 영역을 구분해 나누어 놓은 모양에서 '도모하다'는 의미와 후에 전체를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그림'의 의미를 생성함
[不] 아니 불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百: 일백 백) (不: 아니 불) (一: 한 일) (失: 잃을 실) ]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回: 돌 회) (避: 피할 피) (不: 아닌가 부) (得: 얻을 득) ]
-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不: 아닌가 부) (踏: 밟을 답) (覆: 뒤집힐 복) (轍: 바퀴 자국 철) ]
- 종불출급(終不出給) : 빚돈을 갚지 않음. [ (終: 끝날 종) (不: 아니 불) (出: 날 출) (給: 넉넉할 급) ]
[圖] 그림 도 (그림, 꾀하다, 하도(河圖)의 약칭, 법, 그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남(圖南) : 대붕이 날개를 펴고 남명(南冥)으로 날아가려고 한다는 뜻으로, 웅대한 일을 계획하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의 <소요유편(逍遙遊篇)>에 나오는 말이다. [ (圖: 그림 도) (南: 남녘 남) ]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圖: 그림 도) ]
- 망명도생(亡命圖生) : 망명하여 삶을 꾀함. [ (亡: 잃을 망) (命: 목숨 명) (圖: 그림 도) (生: 날 생) ]
- 도사금수(圖寫禽獸) :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화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 (圖: 그림 도) (寫: 베낄 사) (禽: 날짐승 금) (獸: 짐승 수) ]
[恨] 한할 한 (한하다, 뉘우치다, 한, 애석하게 여겨 뉘우침, 원한을 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각골분한(刻骨憤恨) :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 (刻: 새길 각) (骨: 뼈 골) (憤: 결낼 분) (恨: 한할 한) ]
- 망국지한(亡國之恨)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亡: 잃을 망) (國: 나라 국) (之: 갈 지) (恨: 한할 한) ]
- 천추지한(千秋之恨) : 천 년의 원한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두고 쌓인 원한(怨恨)의 의미. [ (千: 일천 천) (秋: 가을 추) (之: 갈 지) (恨: 한할 한) ]
- 한자수홍(恨紫愁紅) : 꽃이 울긋불긋하여 여러 느낌ㆍ감정ㆍ생각 따위를 불러일으키는 모양. [ (恨: 한할 한) (紫: 자주빛 자) (愁: 시름 수) (紅: 붉을 홍) ]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圖: 그림 도) ]
[早] 일찍 조 (일찍, 이르다, 새벽, 아침, 때가 오기 전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上: 위 상) (早: 일찍 조) (莢: 열매 협) (樹: 나무 수) ]
- 시기상조(時機尙早) : 어떤 일을 하기에 아직 때가 이름. [ (時: 때 시) (機: 베틀 기) (尙: 오히려 상) (早: 일찍 조) ]
- 조상부모(早喪父母) : 어려서 부모를 여읨. [ (早: 일찍 조) (喪: 복입을 상)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圖: 그림 도) ]
- 수학무조(修學務早) :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 (修: 닦을 수) (學: 배울 학) (務: 힘쓸 무) (早: 일찍 조) ]
[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斯: 이 사) (在: 있을 재) (下: 아래 하)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感: 느낄 감) (懷: 품을 회) ]
[도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구지계(長久之計) :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 (長: 길 장) (久: 오랠 구) (之: 갈 지) (計: 셀 계) ]
- 도모시용(道謀是用)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道: 길 도) (謀: 꾀할 모) (是: 옳을 시) (用: 쓸 용) ]
- 죄의유경(罪疑惟輕) : 죄가 의심스러우면 가벼움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죄상이 확실하지 못하여 벌의 경중을 판단하기 얼울 때는 가벼운 쪽을 따른다는 의미. [ (罪: 허물 죄) (疑: 의심할 의) (惟: 생각할 유) (輕: 가벼울 경) ]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圖: 그림 도) ]
- 도남의재북(圖南意在北) : 남쪽을 도모(圖謀)하는 데 뜻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바 목적(目的)으로 나가는 일. [ (圖: 그림 도) (南: 남녘 남) (意: 뜻 의) (在: 있을 재) (北: 북녘 북)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束: 묶을 속) (手: 손 수)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空: 빌 공) (前: 앞 전) (絶: 끊을 절) (後: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牛: 소 우) (耳: 귀 이) (讀: 읽을 독) (經: 지날 경) ]
[한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환고일세(環顧一世) : 온 세상을 빙 둘러본다는 뜻으로, 세상에 쓸 만한 사람이 없어 찾아 헤맴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 (環: 고리 환) (顧: 돌아볼 고) (一: 한 일) (世: 인간 세) ]
- 봉조부지(鳳鳥不至) :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 (鳳: 봉새 봉) (鳥: 새 조) (不: 아닌가 부) (至: 이를 지) ]
- 상재지탄(傷哉之歎) : 살림이 군색(窘塞)하고 가난함에 대(對)한 한탄(恨歎). [ (傷: 다칠 상) (哉: 어조사 재)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
[뉘우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한불조도(恨不早圖) : 시기를 놓쳐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圖: 그림 도) ]
- 한불조지(恨不早知) : 일의 기틀을 미리 알지 못한 것을 뉘우침. [ (恨: 한할 한) (不: 아니 불) (早: 일찍 조) (知: 알 지) ]
- 하등통회(下等痛悔) :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 (下: 아래 하) (等: 등급 등) (痛: 아플 통) (悔: 뉘우칠 회) ]
- 문과식비(文過飾非) :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는 뜻으로, 잘못이 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뉘우침도 없이 숨길 뿐 아니라 도리어 외면하고 도리어 잘난 체함. [ (文: 글월 문) (過: 지날 과) (飾: 꾸밀 식) (非: 아닐 비) ]
- 항룡유회(亢龍有悔) : 솟아오른 용도 후회할 때가 있다는 뜻으로, 하늘 끝까지 올라가 내려올 줄 모르는 용도 후회하듯이, 극히 존귀한 지위에 올라간 자가 겸손히 은퇴할 줄 모르면 반드시 패가망신(敗家亡身)하게 됨을 이르는 말. [ (亢: 목 항) (龍: 용 룡) (有: 있을 유) (悔: 뉘우칠 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