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6일 토요일

의려지정: 倚閭之情

의려지정 (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倚閭之情 한자 뜻 풀이

  • 倚(의지할 의) : 의지하다, 기이하다, 기댐, 이상야릇함, 치우치다. 사람이 '기대다'는 뜻에서 '의지하다'는 의미 생성
  • 閭(이문 려) : 이문(里門), 길에 세운 문, 문, 마을, 거리. 주(周)대의 25가구 마을의 '문'의 의미에서 '마을' 자체의 뜻으로 확대됨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情(뜻 정) : 뜻, 욕심, 바람, 심기(心氣), 본성(本性). 감정과 정서의 의미. '靑(청)'은 변화된 발음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倚] 의지할 의 (의지하다, 기이하다, 기댐, 이상야릇함, 치우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혜복지소의 획순 이미지 화혜복지소의(禍兮福之所倚) : 화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 (: 재난 화) (: 어조사 혜) (: 복 복) (: 갈 지) (: 바 소) (: 의지할 의) ]
  • 의문이망(倚門而望)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 (: 의지할 의) (: 문 문) (: 말 이을 이) (: 바랄 망) ]
  • 발지의천(拔地倚天) : 땅에서 빼어나 하늘에 닿았다는 뜻으로, 시문(詩文) 등이 뛰어나고 웅대함을 비유하는 말. [ (: 뺄 발) (: 땅 지) (: 의지할 의) (: 하늘 천)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화복의복(禍福倚伏) : 화나 복이 서로 인연했다 엎드린다는 뜻으로, 화 가운데 복이 있고 복 가운데 화가 있어 화와 복은 항상 돌고 도는 것이라는 의미. [ (: 재난 화) (: 복 복) (: 의지할 의) (: 엎드릴 복) ]

[情] 뜻 정 (뜻, 욕심, 바람, 심기(心氣), 본성(本性))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욕편정 획순 이미지 사욕편정(邪慾偏情) :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 (: 간사할 사) (: 욕심 욕) (: 치우칠 편) (: 뜻 정)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 지름길 경) (: 뜻 정) (: 곧을 직) (: 갈 행) ]
  • 무정세월(無情歲月)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 (: 없을 무) (: 뜻 정) (: 해 세) (: 달 월) ]

[閭] 이문 려 (이문(里門), 길에 세운 문, 문, 마을, 거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표문려 획순 이미지 정표문려(旌表門閭) : 정문(旌門)을 세워 효자(孝子)와 열녀(烈女)를 표창(表彰)하고 알림. [ (: 기 정) (: 겉 표) (: 문 문) (: 이문 려)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아신만래의려후지(我身晩來椅閭侯之) : 내 몸이 늦게 올 때면 이문에 기대어 기다리심. [ (: 나 아) (: 몸 신) (: 늦을 만) (: 올 래) (: 걸상 의) (: 이문 려) (: 제후 후) (: 갈 지) ]
  • 치서괴리려(治鼠壞里閭) : 쥐를 잡기 위하여 마을을 부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기 위하여 큰일을 그르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다스릴 치) (: 쥐 서) (: 무너질 괴) (: 마을 리) (: 이문 려) ]
  • 충려지경(充閭之慶) :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 [ (: 찰 충) (: 이문 려) (: 갈 지) (: 경사 경) ]

[마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 획순 이미지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 사치할 사) (: 놈 자) (: 마음 심) (: 항상 상) (: 가난할 빈) ]
  • 상사일념(相思一念) :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 (: 서로 상) (: 생각할 사) (: 한 일) (: 생각 념) ]

[외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외지맹 획순 이미지 화외지맹(化外之氓) :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 (: 화할 화) (: 바깥 외) (: 갈 지) (: 백성 맹) ]
  • 의문이망(倚門而望)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 (: 의지할 의) (: 문 문) (: 말 이을 이) (: 바랄 망)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풍즐우목(風櫛雨沐) :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목욕(沐浴)한다는 뜻으로, 외지에서 겪는 고생(苦生)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빗 즐) (: 비 우) (: 머리감을 목) ]

[이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박리다매 획순 이미지 박리다매(薄利多賣)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 (: 엷을 박) (: 날카로울 리) (: 많을 다) (: 팔 매)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아신만래의려후지(我身晩來椅閭侯之) : 내 몸이 늦게 올 때면 이문에 기대어 기다리심. [ (: 나 아) (: 몸 신) (: 늦을 만) (: 올 래) (: 걸상 의) (: 이문 려) (: 제후 후) (: 갈 지) ]

[자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화자제 획순 이미지 경화자제(京華子弟)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 (: 서울 경) (: 빛날 화) (: 아들 자) (: 아우 제) ]
  • 부자자효(父慈子孝) :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 아비 부) (: 사랑 자) (: 아들 자) (: 효도 효) ]
  • 의문이망(倚門而望)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 (: 의지할 의) (: 문 문) (: 말 이을 이) (: 바랄 망) ]
  • 양처현모(良妻賢母) : 착한 아내이면서 어진 어머니. [ (: 아내 처) (: 어질 현) (: 어미 모)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초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한망운예 획순 이미지 대한망운예(大旱望雲霓) :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 (: 큰 대) (: 가물 한) (: 바랄 망) (: 구름 운) (: 무지개 예) ]
  • 여좌침석(如坐針席) :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 몹시 거북하고 불안함을 이르는 말. [ (: 같을 여) (: 앉을 좌) (: 바늘 침) (: 자리 석)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배우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귀처영 획순 이미지 부귀처영(夫貴妻榮) :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 (: 지아비 부) (: 귀할 귀) (: 아내 처) (: 영화 영) ]
  • 의려지정(倚閭之情) :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 의지할 의) (: 이문 려) (: 갈 지) (: 뜻 정) ]
  • 망문과부(望門寡婦) : 정혼한 남자가 죽어서 시집도 가 보지 못하고 과부가 되었거나, 혼례는 하였으나 첫날밤을 치르지 못하여 처녀로 있는 여자. [ (: 바랄 망) (: 문 문) (: 적을 과) (: 며느리 부) ]
  • 삼촌(三寸) : (1)아버지의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특히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른다. (2)방계로는 부모와 같은 항렬의 백부모․숙부모 또는 형제의 자녀와의 촌수. [ (: 석 삼) (: 마디 촌) ]

[어머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부인 획순 이미지 모부인(母夫人) :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 어미 모) (: 지아비 부) (: 사람 인) ]
  • 현모(賢母) : 어진 어머니. [ (: 어질 현) (: 어미 모) ]
  • 영모(令母) :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 어미 모)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지녀막여모(知女莫如母) :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같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어머니라야 딸의 마음을 가장 잘 안다는 의미. [ (: 알 지) (: 여자 녀) (: 없을 막) (: 같을 여) (: 어미 모)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