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5일 금요일

대교약졸: 大巧若拙

대교약졸 (大巧若拙)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大巧若拙 한자 뜻 풀이

  • 大(큰 대) : 크다, 거대함, 많다, 고귀하다, 훌륭하다.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巧(공교할 교) : 공교하다, 예쁘다, 기교, 꾸미다, 아름다움. 장인이 솜씨 있게 꾸민다는 의미에서 '겉만 교묘하게 꾸민다'는 의미로 확대
  • 若(같을 약) : 같다, 건초(乾草), 땅 이름, 마른 풀, 너. 손으로 나물을 따는 것인데, 후에 '너'나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拙(못날 졸) : 못나다, 운이 나쁘다, 쓸모 없다, 자신의 것에 대한 겸칭, 솜씨가 서투르다. 손재주가 뛰어나지 못한 '못나다'는 의미. 出(출)은 발음 요소


[大] 큰 대 (크다, 거대함, 많다, 고귀하다, 훌륭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홍연대소 획순 이미지 홍연대소(哄然大笑) : 크게 껄껄 웃음. [ (: 떠들썩할 홍) (: 그러할 연) (: 큰 대) (: 웃을 소) ]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 큰 대) (: 악할 악) (: 없을 무) (: 길 도)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 망자존대(妄自尊大) : 앞뒤 아무런 생각도 없이 함부로 잘난 체함. [ (: 망령될 망) (: 스스로 자) (: 높을 존) (: 큰 대) ]

[巧] 공교할 교 (공교하다, 예쁘다, 기교, 꾸미다, 아름다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교이체 획순 이미지 동교이체(同巧異體)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공교할 교) (: 다를 이) (: 몸 체) ]
  • 교언영색(巧言令色) :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 (: 공교할 교) (: 말씀 언) (: 빛 색) ]
  • 농교성졸(弄巧成拙)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 (: 공교할 교) (: 이룰 성) (: 못날 졸) ]
  • 욕교반졸(欲巧反拙) :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한 결과를 보게 되었다는 뜻으로, 너무 잘하려 하면 도리어 잘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공교할 교) (: 돌이킬 반) (: 못날 졸) ]
  • 동교이곡(同巧異曲)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공교할 교) (: 다를 이) (: 굽을 곡) ]

[拙] 못날 졸 (못나다, 운이 나쁘다, 쓸모 없다, 자신의 것에 대한 겸칭, 솜씨가 서투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농교성졸 획순 이미지 농교성졸(弄巧成拙)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 (: 공교할 교) (: 이룰 성) (: 못날 졸) ]
  • 욕교반졸(欲巧反拙) :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한 결과를 보게 되었다는 뜻으로, 너무 잘하려 하면 도리어 잘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공교할 교) (: 돌이킬 반) (: 못날 졸) ]
  • 대교약졸(大巧若拙)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 (: 큰 대) (: 공교할 교) (: 같을 약) (: 못날 졸) ]

[若] 같을 약 (같다, 건초(乾草), 땅 이름, 마른 풀, 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약존약망 획순 이미지 약존약망(若存若亡) :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함. [ (: 같을 약) (: 있을 존) (: 같을 약) (: 잃을 망) ]
  • 약시약시(若是若是) : '약시약시하다'의 어근. [ (: 같을 약) (: 옳을 시) (: 같을 약) (: 옳을 시) ]
  • 약팽소선(若烹小鮮) :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 (: 같을 약) (: 삶을 팽) (: 작을 소) (: 고울 선) ]
  • 언소자약(言笑自若)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 (: 말씀 언) (: 웃을 소) (: 스스로 자) (: 같을 약) ]
  • 약발통치(若拔痛齒) : 마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걱정을 끼치던 것이 없어져 아주 시원하다는 의미. [ (: 같을 약) (: 뺄 발) (: 아플 통) (: 이 치)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공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시불행 획순 이미지 봉시불행(逢時不幸) :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 (: 만날 봉) (: 때 시) (: 아니 불) (: 다행할 행) ]
  • 독목교원가조(獨木橋冤家遭) :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 (: 홀로 독) (: 나무 목) (: 다리 교) (: 원통할 원) (: 집 가) (: 만날 조) ]
  • 생정불신(生丁不辰) : 좋지 못한 시대에 태어남. [ (: 날 생) (: 넷째 천간 정) (: 아니 불) (: 별 신) ]
  • 오비이락(烏飛梨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 (: 까마귀 오) (: 날 비) (: 떨어질 락) ]
  • 대교약졸(大巧若拙)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 (: 큰 대) (: 공교할 교) (: 같을 약) (: 못날 졸) ]

[과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도할계 획순 이미지 우도할계(牛刀割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 우) (: 칼 도) (: 나눌 할) (: 닭 계) ]
  • 와부뇌명(瓦釜雷鳴) : 기왓가마가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내면서 끓는다는 뜻으로, 별로 아는 것도 없는 사람이 과장해서 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기와 와) (: 가마 부) (: 울 명) ]
  • 풍우장중(風雨場中) : (1)몹시 바쁜 판. (2)비바람 속에서 치르는 과장(科場)의 안. [ (: 바람 풍) (: 비 우) (: 마당 장) (: 가운데 중) ]
  • 침소봉대(針小棒大) : 작은 일을 크게 불리어 떠벌림. [ (: 바늘 침) (: 작을 소) (: 몽둥이 봉) (: 큰 대) ]
  • 언과기실(言過其實) :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 (: 말씀 언) (: 지날 과) (: 그 기) (: 열매 실) ]

[교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누월재운 획순 이미지 누월재운(鏤月裁雲) :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달 월) (: 마를 재) (: 구름 운) ]
  • 낙지운연(落紙雲煙) : 종이에 떨어뜨리면 구름이나 연기 같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는 데 초서(草書)의 필세(筆勢)가 아름답고 교묘하며 웅혼(雄渾)한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 종이 지) (: 구름 운) (: 연기 연) ]
  • 연막작전(煙幕作戰) :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연기 연) (: 막 막) (: 지을 작) (: 싸움 전) ]
  • 교언영색(巧言令色) :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 (: 공교할 교) (: 말씀 언) (: 빛 색) ]
  • 운근성풍(運斤成風) :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 [ (: 돌 운) (: 도끼 근) (: 이룰 성) (: 바람 풍) ]

[기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농교성졸 획순 이미지 농교성졸(弄巧成拙)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 (: 공교할 교) (: 이룰 성) (: 못날 졸) ]
  • 욕교반졸(欲巧反拙) :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한 결과를 보게 되었다는 뜻으로, 너무 잘하려 하면 도리어 잘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공교할 교) (: 돌이킬 반) (: 못날 졸) ]
  • 온유돈후(溫柔敦厚) : (1)성격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움. (2)한시에서 풍기는 독실한 정취. 기교를 부리거나 노골적인 표현이 없는 것을 이르는 말로, 중국에서는 이를 시의 본분으로 여겼다. [ (: 따뜻할 온) (: 부드러울 유) (: 도타울 돈) (: 두터울 후) ]
  • 대교약졸(大巧若拙)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 (: 큰 대) (: 공교할 교) (: 같을 약) (: 못날 졸) ]
  • 천의무봉(天衣無縫) :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옷 의) (: 없을 무) (: 꿰맬 봉)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솜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문능필 획순 이미지 능문능필(能文能筆) : 글 짓는 솜씨와 글씨가 모두 능함. 또는 그런 사람. [ (: 능할 능) (: 글월 문) (: 능할 능) (: 붓 필) ]
  • 화호불성(畵虎不成)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 (: 그림 화) (: 범 호) (: 아니 불) (: 이룰 성) ]
  • 화공지적(化工之跡) : 한울의 조화(造化)의 솜씨가 나타난 자취. [ (: 화할 화) (: 장인 공) (: 갈 지) (: 자취 적) ]
  • 동교이체(同巧異體)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공교할 교) (: 다를 이) (: 몸 체) ]
  • 동공이체(同工異體)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장인 공) (: 다를 이) (: 몸 체)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자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극벌원욕 획순 이미지 극벌원욕(克伐怨慾) :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이길 극) (: 칠 벌) (: 원망할 원) (: 욕심 욕) ]
  • 득의양양(得意揚揚) :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냄. [ (: 얻을 득) (: 뜻 의) (: 오를 양) (: 오를 양) ]
  • 불벌기장(不伐己長) :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자세의 의미. [ (: 아니 불) (: 칠 벌) (: 몸 기) (: 길 장) ]
  • 화광동진(和光同塵) : (1)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뛰어난 지덕(智德)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말이다. (2)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 [ (: 고를 화) (: 빛 광) (: 한가지 동) (: 티끌 진) ]
  • 자칭군자(自稱君子) : 자기를 스스로 군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 스스로 자) (: 일컬을 칭) (: 임금 군) (: 아들 자) ]

[재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수용산출(水湧山出)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물 수) (: 샘솟을 용) (: 메 산) (: 날 출) ]
  • 영설지재(詠雪之才)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 읊을 영) (: 눈 설) (: 갈 지) (: 재주 재) ]
  •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얕을 천) (: 배울 학) (: 엷을 비) (: 재주 재) ]
  • 경국지재(經國之才) :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 (: 지날 경) (: 나라 국) (: 갈 지) (: 재주 재) ]

[졸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농교성졸 획순 이미지 농교성졸(弄巧成拙)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 (: 공교할 교) (: 이룰 성) (: 못날 졸) ]
  • 욕교반졸(欲巧反拙) : 잘 만들려고 너무 기교를 다하다가 도리어 졸렬한 결과를 보게 되었다는 뜻으로, 너무 잘하려 하면 도리어 잘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공교할 교) (: 돌이킬 반) (: 못날 졸) ]
  • 불두착분(佛頭著糞) : 부처의 머리에 똥을 묻힌다는 뜻으로, 훌륭한 저서(著書)에 졸렬(拙劣)한 서문(序文)이라는 의미나, 썩 깨끗한 것을 더럽힌다는 의미로 사용됨. [ (: 부처 불) (: 머리 두) (: 붙일 착) (: 똥 분) ]

[진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일편단심 획순 이미지 일편단심(一片丹心)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 (: 한 일) (: 조각 편) (: 붉을 단) (: 마음 심) ]
  • 롱가성진(弄假成眞)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 (: 거짓 가) (: 이룰 성) (: 참 진) ]
  • 사해파정(四海波靜) : 천하(天下)의 풍파(風波)가 진정(鎭靜)되어 태평(太平)함을 이르는 말. [ (: 넉 사) (: 바다 해) (: 물결 파) (: 고요할 정) ]
  • 동이불화(同而不和) : 서로 편당(偏黨)을 할뿐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附和雷同(부화뇌동)만하고 진정으로 화합(和合)하지 못하는 소인(小人)의 사귐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말 이을 이) (: 아니 불) (: 고를 화) ]

[총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총명자오 획순 이미지 총명자오(聰明自誤) : 총명(聰明)하기 때문에 스스로 일생(一生)을 그르침. [ (: 귀밝을 총) (: 밝을 명) (: 스스로 자) (: 그릇할 오) ]
  • 총명불여둔필(聰明不如鈍筆) :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말. [ (: 귀밝을 총) (: 밝을 명) (: 아니 불) (: 같을 여) (: 무딜 둔) (: 붓 필) ]
  • 총명예지(聰明叡智) :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나다는 뜻으로, 주로 임금이 슬기로움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 (: 귀밝을 총) (: 밝을 명) (: 밝을 예) (: 슬기 지) ]
  • 명견만리(明見萬里) : 만 리 앞을 내다본다는 뜻으로, 관찰력이나 판단력이 매우 정확하고 뛰어남을 이르는 말. [ (: 밝을 명) (: 볼 견) (: 일만 만) (: 마을 리) ]
  • 명천지하(明天之下) : 밝은 하늘 아래라는 뜻으로, 총명한 임금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밝을 명) (: 하늘 천) (: 갈 지) (: 아래 하) ]

[훌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 획순 이미지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 던질 투) (: 오이 과) (: 얻을 득) (: 옥 경) ]
  • 출언유장(出言有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날 출) (: 말씀 언) (: 있을 유) (: 문채 장) ]
  • 시부시자(是父是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아비 부) (: 옳을 시) (: 아들 자) ]
  • 수용산출(水湧山出)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물 수) (: 샘솟을 용) (: 메 산) (: 날 출) ]
  •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머리감을 목) (: 원숭이 후) (: 말 이을 이) (: 갓 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창수: 唱隨

창수 (唱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唱隨 한자 뜻 풀이

  • 唱(부를 창) : 부르다, 노래, 노래를 부르다, 먼저 부르다, 이름을 부르다. 소리 내어 노래부르다는 의미. '昌(창)'은 발음 역할
  • 隨(따를 수) : 따르다, 거느리다, 몸에 지니다, 따라서, 하급 관리. 따라간다는 의미에서 '수행하다'는 의미 파생. '隋(수)'는 발음 역할


[唱] 부를 창 (부르다, 노래, 노래를 부르다, 먼저 부르다, 이름을 부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복명복창 획순 이미지 복명복창(復命復唱) :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 (: 회복할 복) (: 목숨 명) (: 회복할 복) (: 부를 창) ]
  • 산가야창(山歌野唱) : 시골에서 부르는 순박한 노래. [ (: 메 산) (: 노래 가) (: 들 야) (: 부를 창) ]
  • 여창남수(女唱男隨) : 여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남자는 뒤에서 따라만 함. [ (: 너 여) (: 부를 창) (: 사내 남) (: 따를 수) ]
  • 천작저창(淺酌低唱) : 알맞게 술을 마시고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스스로 만족하여 흥겹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이른다. [ (: 얕을 천) (: 따를 작) (: 낮을 저) (: 부를 창) ]
  • 창수(唱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 (: 부를 창) (: 따를 수) ]

[隨] 따를 수 (따르다, 거느리다, 몸에 지니다, 따라서, 하급 관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창수 획순 이미지 창수(倡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 (: 광대 창) (: 따를 수) ]
  • 반신불수(半身不隨) : 병이나 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 (: 반 반) (: 몸 신) (: 아니 불) (: 따를 수) ]
  • 여창남수(女唱男隨) : 여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남자는 뒤에서 따라만 함. [ (: 너 여) (: 부를 창) (: 사내 남) (: 따를 수) ]

[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경 획순 이미지 가경(佳境) :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 (: 아름다울 가) (: 지경 경) ]
  • 장야지음(長夜之飮) :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그 술. [ (: 길 장) (: 밤 야) (: 갈 지) (: 마실 음) ]
  • 북창삼우(北窓三友)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북녘 북) (: 창 창) (: 석 삼) (: 벗 우) ]
  • 단병접전(短兵接戰) : 칼이나 창 따위의 단병으로 적과 직접 맞부딪쳐 싸움. 또는 그런 전투. [ (: 짧을 단) (: 군사 병) (: 사귈 접) (: 싸움 전) ]
  • 창수(倡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 (: 광대 창) (: 따를 수) ]

[부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화처순 획순 이미지 부화처순(夫和妻順) : 부부 사이가 화목함. [ (: 지아비 부) (: 고를 화) (: 아내 처) (: 순할 순) ]
  • 창수(倡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 (: 광대 창) (: 따를 수) ]
  • 파가현령(破家縣令) :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 (: 깨뜨릴 파) (: 집 가) (: 고을 현) (: 하여금 령) ]
  • 창수(唱隨) :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 (: 부를 창) (: 따를 수) ]

[준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 획순 이미지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 맛볼 상) (: 쓸개 담) ]
  • 경성(傾城)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 기울 경) (: 성 성)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