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착정 (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耕田鑿井 한자 뜻 풀이
- 耕(갈 경) : 갈다, 농사에 힘쓰다, 농사 짓다, 부지런히 힘쓰다, 농사 이외 일로 생계를 꾸리다. 밭을 가는 '쟁기'와 농업 용수의 상징인 '우물'을 합해 '농사짓는다'는 의미 생성
- 田(밭 전) : 밭, 밭 갈다, 곡식을 심는 경지, 경작지(耕作地)를 다스림, 경지 구획의 이름. 정지작업을 해 놓은 밭고랑으로 이어진 밭의 모양. 농업이나 토지의 의미로 활용됨
- 鑿(뚫을 착) : 뚫다, 쌀을 쓿다, 새기다, 구멍, 팜. 나무를 깎아 구멍을 뚫는 도구인 '끌'의 의미. (조)발음은 '구멍'의 의미
- 井(우물 정) :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井'자 모양의 '우물' 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의 '마을' 의미도 있음
[井] 우물 정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井: 우물 정) (中: 가운데 중) (求: 구할 구) (火: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學: 배울 학) (如: 같을 여) (穿: 뚫을 천) (井: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取: 취할 취) (轄: 비녀장 할) (投: 던질 투) (井: 우물 정) ]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 [ (渴: 목마를 갈) (掘: 팔 굴) (井: 우물 정)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耕: 갈 경) (田: 밭 전) (鑿: 뚫을 착) (井: 우물 정) ]
[田] 밭 전 (밭, 밭 갈다, 곡식을 심는 경지, 경작지(耕作地)를 다스림, 경지 구획의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과맥전대취(過麥田大醉)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過: 지날 과) (麥: 보리 맥) (田: 밭 전) (大: 큰 대) (醉: 취할 취) ]
- 석전경우(石田耕牛) :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말. [ (石: 돌 석) (田: 밭 전) (耕: 갈 경) (牛: 소 우) ]
-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耕: 갈 경) (田: 밭 전) (埋: 묻을 매) (春: 봄 춘) (色: 빛 색) (汲: 길을 급) (水: 물 수) (斗: 말 두) (月: 달 월) (光: 빛 광) ]
- 구전문사(求田問舍) :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求: 구할 구) (田: 밭 전) (問: 물을 문) (舍: 둘 사) ]
- 마행천리로우경백무전(馬行千里路牛耕百畝田) : 말은 천리의 길을 가고, 소는 백이랑의 밭을 갊. [ (馬: 말 마) (行: 갈 행)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路: 길 로) (牛: 소 우) (耕: 갈 경) (百: 일백 백) (畝: 이랑 무) (田: 밭 전) ]
[耕] 갈 경 (갈다, 농사에 힘쓰다, 농사 짓다, 부지런히 힘쓰다, 농사 이외 일로 생계를 꾸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청경우독(晴耕雨讀)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 (晴: 갤 청) (耕: 갈 경) (雨: 비 우) (讀: 읽을 독) ]
- 석전경우(石田耕牛) :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말. [ (石: 돌 석) (田: 밭 전) (耕: 갈 경) (牛: 소 우) ]
-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耕: 갈 경) (田: 밭 전) (埋: 묻을 매) (春: 봄 춘) (色: 빛 색) (汲: 길을 급) (水: 물 수) (斗: 말 두) (月: 달 월) (光: 빛 광) ]
- 마행천리로우경백무전(馬行千里路牛耕百畝田) : 말은 천리의 길을 가고, 소는 백이랑의 밭을 갊. [ (馬: 말 마) (行: 갈 행)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路: 길 로) (牛: 소 우) (耕: 갈 경) (百: 일백 백) (畝: 이랑 무) (田: 밭 전) ]
- 경독(耕讀) : (1)농사짓기와 글 읽기. (2)농사를 지으며 글을 읽음. [ (耕: 갈 경) (讀: 읽을 독) ]
[鑿] 뚫을 착 (뚫다, 쌀을 쓿다, 새기다, 구멍, 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조예(鑿枘) :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鑿: 구멍 조) (枘: 장부 예) ]
- 방예원조(方枘圓鑿) : 모난 자루와 둥근 구멍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方: 모 방) (枘: 장부 예) (圓: 둥글 원) (鑿: 구멍 조)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耕: 갈 경) (田: 밭 전) (鑿: 뚫을 착) (井: 우물 정) ]
- 환조방예(圜鑿方枘) :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넣는다는 뜻으로, 사물이 제격에 맞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圜: 두를 환) (鑿: 구멍 조) (方: 모 방) (枘: 장부 예) ]
[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복지음(桑濮之音)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桑: 뽕나무 상) (濮: 강 이름 복) (之: 갈 지) (音: 소리 음) ]
- 청경우독(晴耕雨讀)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 (晴: 갤 청) (耕: 갈 경) (雨: 비 우) (讀: 읽을 독) ]
- 상간복상(桑間濮上)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桑: 뽕나무 상) (間: 틈 간) (濮: 강 이름 복) (上: 위 상) ]
- 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 (耕: 갈 경) (田: 밭 전) (埋: 묻을 매) (春: 봄 춘) (色: 빛 색) (汲: 길을 급) (水: 물 수) (斗: 말 두) (月: 달 월) (光: 빛 광) ]
- 상벽(桑碧) :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 뽕나무 상) (碧: 푸를 벽) ]
[삶]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약팽소선(若烹小鮮) :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 (若: 같을 약) (烹: 삶을 팽) (小: 작을 소) (鮮: 고울 선) ]
- 생기사귀(生寄死歸) :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 (生: 날 생) (寄: 부칠 기) (死: 죽을 사) (歸: 돌아갈 귀) ]
- 인생무상(人生無常) : 인생이 덧없음. [ (人: 사람 인) (生: 날 생) (無: 없을 무) (常: 항상 상) ]
- 계서봉황식(鷄棲鳳凰食) :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鷄: 닭 계) (棲: 살 서) (鳳: 봉새 봉) (凰: 봉황새 황) (食: 밥 식) ]
- 조반석죽(朝飯夕粥) : 아침에는 밥을 먹고, 저녁에는 죽을 먹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 (朝: 아침 조) (飯: 밥 반) (夕: 저녁 석) (粥: 죽 죽) ]
[백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고지민(太古之民) : 아득한 옛적의 순박한 백성. [ (太: 클 태) (古: 예 고) (之: 갈 지) (民: 백성 민) ]
-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行: 갈 행) (草: 풀 초) (偃: 누울 언)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億: 억 억) (萬: 일만 만) (蒼: 푸를 창) (生: 날 생) ]
- 부국안민(富國安民) :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 (富: 가멸 부) (國: 나라 국) (安: 편안할 안) (民: 백성 민) ]
- 억만지심(億萬之心) : 백성마다 제각각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하나로 모아 나라를 위하여 이바지하려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億: 억 억) (萬: 일만 만) (之: 갈 지) (心: 마음 심) ]
[생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거낙업(安居樂業) : 편안하게 살면서 즐거이 일함. [ (安: 편안할 안) (居: 있을 거) (業: 업 업)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耕: 갈 경) (田: 밭 전) (鑿: 뚫을 착) (井: 우물 정) ]
- 안가낙업(安家樂業) : 편안하게 살면서 즐거이 일함. [ (安: 편안할 안) (家: 집 가) (業: 업 업) ]
-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 : 항산이 없으면 항심도 없다는 뜻으로, 일정한 직업이 없는 사람은 안정된 일정한 도덕심도 없다는 의미 . [ (無: 없을 무) (恒: 항상 항) (産: 낳을 산) (無: 없을 무) (恒: 항상 항) (心: 마음 심) ]
[우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井: 우물 정) (中: 가운데 중) (求: 구할 구) (火: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學: 배울 학) (如: 같을 여) (穿: 뚫을 천) (井: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取: 취할 취) (轄: 비녀장 할) (投: 던질 투) (井: 우물 정) ]
- 감중지와(埳中之蛙) :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 (埳: 구덩이 감)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蛙: 개구리 와) ]
[종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로소득(不勞所得) :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不: 아니 불) (勞: 일할 로) (所: 바 소) (得: 얻을 득)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耕: 갈 경) (田: 밭 전) (鑿: 뚫을 착) (井: 우물 정) ]
- 내외형제(內外兄弟) : 내종사촌과 외종사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內: 안 내) (外: 바깥 외) (兄: 맏 형) (弟: 아우 제) ]
[평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평연월(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 (太: 클 태) (平: 평평할 평) (烟: 연기 연) (月: 달 월) ]
- 태평천국(太平天國) :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 (太: 클 태) (平: 평평할 평) (天: 하늘 천) (國: 나라 국)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安: 편안할 안) (閑: 한가할 한) (自: 스스로 자) (適: 갈 적) ]
- 무혈혁명(無血革命) : 피를 흘리지 아니하고 평화적 수단으로 이루는 혁명. [ (無: 없을 무) (血: 피 혈) (革: 가죽 혁) (命: 목숨 명) ]
- 강구연월(康衢煙月)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康: 편안할 강) (衢: 네거리 구) (煙: 연기 연) (月: 달 월) ]
[백성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국안민(富國安民) :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 (富: 가멸 부) (國: 나라 국) (安: 편안할 안) (民: 백성 민) ]
- 암요인심(暗邀人心) : 몰래 사람들의 마음을 맞춘다는 뜻으로, 백성들의 뜻에 영합(迎合)하여 민심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임을 이르는 말. [ (暗: 어두울 암) (邀: 맞을 요) (人: 사람 인) (心: 마음 심) ]
- 천문만호(千門萬戶) : (1)수많은 백성들의 집. (2)대궐의 많은 문호를 이르는 말. [ (千: 일천 천) (門: 문 문) (萬: 일만 만) (戶: 지게 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