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문즉유 (好問則裕) : 묻기를 좋아하면 넉넉해진다는 뜻으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자주 묻는 것을 좋아하면 얻는 것이 많아 결국 학식(學識)이 넉넉해짐을 이르는 말.
好問則裕 한자 뜻 풀이
- 好(좋을 호) :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여자가 아이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남녀가 서로 안고 좋아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함
- 問(물을 문) : 묻다, 사람을 찾다, 죄상(罪狀)을 알아보다, 묻는 일, 보내다.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 생성. '門(문)'은 발음 역할
- 則(곧 즉) : 곧, 법, 본받다, 규칙, 자연의 이법. 본래 화폐[貝]를 나눈다[刀]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칙)]'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즉)]'으로 사용됨
- 裕(넉넉할 유) : 넉넉하다, 풍요롭게 하다, 받아들이다, 열다, 따르다. 옷가지를 넉넉하게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넉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谷은 발음 요소
[則] 곧 즉 (곧, 법, 본받다, 규칙, 자연의 이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수궁즉설(獸窮則齧) : 짐승이 궁지에 몰리면 문다는 뜻으로, 사람도 곤궁하여지면 나쁜 짓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獸: 짐승 수) (窮: 다할 궁) (則: 곧 즉) (齧: 물 설) ]
- 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이르는 말. [ (月: 달 월) (滿: 찰 만) (則: 곧 즉) (虧: 이지러질 휴) ]
- 행즉사의(行則思義) : 행하면 의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일거일동(一擧一動)에 예(禮)를 잃지 않으며, 한 가기 일을 행함에도 의(義)를 생각한다는 의미. [ (行: 갈 행) (則: 곧 즉) (思: 생각할 사) (義: 옳을 의) ]
-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兼: 겸할 겸) (聽: 들을 청) (則: 곧 즉) (明: 밝을 명) ]
- 물장즉노(物壯則老) : 만물이 성하면 쇠한다는 뜻으로, 세상 모든 것은 극성(極盛)에 이르면 쇠로(衰老)해진다는 의미. [ (物: 만물 물) (壯: 씩씩할 장) (則: 곧 즉) ]
[問] 물을 문 (묻다, 사람을 찾다, 죄상(罪狀)을 알아보다, 묻는 일, 보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愚: 어리석을 우) (問: 물을 문) (賢: 어질 현) (答: 대답할 답) ]
- 난의문답(難疑問答) : 어렵고 의심스러운 것을 서로 묻고 대답함. [ (難: 어려울 난) (疑: 의심할 의) (問: 물을 문) (答: 대답할 답) ]
- 필문필답(筆問筆答) : 글로 써서 묻고 대답함. [ (筆: 붓 필) (問: 물을 문) (筆: 붓 필) (答: 대답할 답) ]
- 불치하문(不恥下問)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 (不: 아니 불) (恥: 부끄러워할 치) (下: 아래 하) (問: 물을 문) ]
- 입국문속(入國問俗) : 나라에 들어가면 풍속을 묻는다는 뜻으로, 그 나라에 들어가면 그 나라 풍속을 따라서 좇아야 함을 이르는 말. [ = 入境問俗(입경문속) ]. [ (入: 들 입) (國: 나라 국) (問: 물을 문) (俗: 풍속 속) ]
[好] 좋을 호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好: 좋을 호) (事: 일 사) (不: 아니 불) (出: 날 출) (門: 문 문) (惡: 악할 악) (事: 일 사) (行: 갈 행)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
- 탐화호색(探花好色) :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밝힘. [ (探: 찾을 탐) (花: 꽃 화) (好: 좋을 호) (色: 빛 색) ]
- 호호선생(好好先生)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 (好: 좋을 호) (好: 좋을 호) (先: 먼저 선) (生: 날 생) ]
- 호승지심(好勝之心) : 남과 겨루어 이기기를 좋아하는 마음. [ (好: 좋을 호) (勝: 이길 승) (之: 갈 지) (心: 마음 심) ]
- 반양지호(潘楊之好) : 반(潘)과 양(楊)의 다정(多情)한 사이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으로 인척(姻戚) 관계(關係)까지 겹친 오래된 좋은 사이. [ (潘: 뜨물 반) (楊: 버들 양) (之: 갈 지) (好: 좋을 호) ]
[裕] 넉넉할 유 (넉넉하다, 풍요롭게 하다, 받아들이다, 열다, 따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유만만(餘裕滿滿) : 여유가 가득하다는 뜻으로, 침착하고 느긋함이 가득하고 넉넉하다는 의미. [ (餘: 남을 여) (裕: 넉넉할 유) (滿: 찰 만) (滿: 찰 만) ]
- 호문즉유(好問則裕) : 묻기를 좋아하면 넉넉해진다는 뜻으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자주 묻는 것을 좋아하면 얻는 것이 많아 결국 학식(學識)이 넉넉해짐을 이르는 말. [ (好: 좋을 호) (問: 물을 문) (則: 곧 즉) (裕: 넉넉할 유) ]
- 여유작작(餘裕綽綽) : '여유작작하다'의 어근. [ (餘: 남을 여) (裕: 넉넉할 유) (綽: 너그러울 작) (綽: 너그러울 작) ]
- 작작유여유(綽綽有餘裕) : 어떤 일을 당(當)하여 조금도 흔들림이 없으면 여유(餘裕)가 있고 침착(沈着)함. [ (綽: 너그러울 작) (綽: 너그러울 작) (有: 있을 유) (餘: 남을 여) (裕: 넉넉할 유) ]
[부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 (過: 지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
- 유위부족(猶爲不足) : 오히려 부족함. [ (猶: 오히려 유) (爲: 할 위) (不: 아닌가 부) (足: 발 족) ]
- 야가무식도(冶家無食刀)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冶: 불릴 야) (家: 집 가) (無: 없을 무) (食: 밥 식) (刀: 칼 도) ]
[학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인(丈人)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丈: 어른 장) (人: 사람 인) ]
-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淺: 얕을 천) (學: 배울 학) (菲: 엷을 비) (才: 재주 재) ]
- 박학다식(博學多識) :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 (博: 넓을 박) (學: 배울 학) (多: 많을 다) (識: 알 식) ]
- 도광(韜光) : (1)빛을 감추어 밖에 비치지 않도록 함. (2)재능이나 학식 따위를 숨겨 감춤. [ (韜: 감출 도) (光: 빛 광) ]
[부족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유위부족(猶爲不足) : 오히려 부족함. [ (猶: 오히려 유) (爲: 할 위) (不: 아닌가 부) (足: 발 족) ]
- 호문즉유(好問則裕) : 묻기를 좋아하면 넉넉해진다는 뜻으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자주 묻는 것을 좋아하면 얻는 것이 많아 결국 학식(學識)이 넉넉해짐을 이르는 말. [ (好: 좋을 호) (問: 물을 문) (則: 곧 즉) (裕: 넉넉할 유) ]
- 죄불용주(罪不容誅) : 죄가 너무 커서 목을 베어도 오히려 부족함. [ (罪: 허물 죄) (不: 아니 불) (容: 얼굴 용) (誅: 벨 주) ]
- 충연유득(充然有得) : 마음에 부족함이 없어 흐뭇함. [ (充: 찰 충) (然: 그러할 연) (有: 있을 유) (得: 얻을 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