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7일 월요일

요미걸련: 搖尾乞憐

요미걸련 (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搖尾乞憐 한자 뜻 풀이

  • 搖(흔들릴 요) : 흔들리다, 흔들다, 오르다, 부인의 머리에 꽂는 비녀, 움직임. 손으로 흔들다는 의미에서 '흔들이다'는 의미를 생성함
  • 尾(꼬리 미) : 꼬리, 교미(交尾)하다, 별 이름, 마리, 아름답다. 사람이 사냥을 할 때 짐승처럼 분장을 하고 있는 모양으로, '사람[尸]'이 꼬리털을 붙이고 있는 모양임
  • 乞(빌 걸) : 빌다, 주다, 구걸함, 구하다, 청함. 본래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가차의 개념으로 '빌다'는 의미 생성
  • 憐(불쌍히여길 련) : 불쌍히 여기다, 어여삐 여기다, 가엾게 생각함, 사랑함. 마음으로 불쌍하고 가엽게 여긴다는 의미에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한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은 발은 작용


[乞] 빌 걸 (빌다, 주다, 구걸함, 구하다, 청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미걸련 획순 이미지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혼야애걸(昏夜哀乞) : 한밤중에 권세 있는 사람에게 몰래 하소연하며 빎. [ (: 어두울 혼) (: 밤 야) (: 슬플 애) (: 빌 걸) ]
  • 호전걸육(虎前乞肉) :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 범 호) (: 앞 전) (: 빌 걸) (: 고기 육) ]
  • 걸화불약취수(乞火不若取燧) : 남의 불을 꾸기보다는 제 부시로 불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구걸(求乞)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努力)하는 것이 낫다는 말. [ (: 빌 걸) (: 불 화) (: 아니 불) (: 같을 약) (: 취할 취) (: 부싯돌 수) ]
  • 류리걸식(流離乞食) : (1)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빌어먹음. (2)'유리걸식'의 북한어. [ (: 떠날 리) (: 빌 걸) (: 밥 식) ]

[尾] 꼬리 미 (꼬리, 교미(交尾)하다, 별 이름, 마리, 아름답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철두철미(徹頭徹尾) :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 (: 통할 철) (: 머리 두) (: 통할 철) (: 꼬리 미) ]
  • 장두은미(藏頭隱尾) :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감출 장) (: 머리 두) (: 숨을 은) (: 꼬리 미) ]
  • 호유미(狐濡尾) :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 (: 여우 호) (: 젖을 유) (: 꼬리 미) ]
  • 몰두몰미(沒頭沒尾) :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 (: 빠질 몰) (: 머리 두) (: 빠질 몰) (: 꼬리 미) ]

[憐] 불쌍히여길 련 (불쌍히 여기다, 어여삐 여기다, 가엾게 생각함, 사랑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석옥연향 획순 이미지 석옥연향(惜玉憐香) : 옥을 소중히 아끼고 향기를 어여삐 여긴다는 뜻으로, 옥과 향을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옥과 향이 여자를 비유함으로 여색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 아낄 석) (: 구슬 옥) (: 향기 향) ]
  •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 :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룸. [ (: 꽃 화) (: 떨어질 락) (: 아니 불) (: 쓸 소) (: 달 월) (: 밝을 명) (: 사랑 애) (: 없을 무) (: 잘 면) ]

[搖] 흔들릴 요 (흔들리다, 흔들다, 오르다, 부인의 머리에 꽂는 비녀, 움직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순고설 획순 이미지 요순고설(搖脣鼓舌) : 입술을 움직이고 혀를 찬다는 뜻으로, 함부로 남을 비평한다는 의미로 활용됨. [ (: 흔들릴 요) (: 입술 순) (: 북 고) (: 혀 설) ]
  • 요수촉금(搖手觸禁) : 손을 움직이면 금령(禁令)에 저촉된다는 뜻으로, 작은 행동도 법령을 어기게 되는 것처럼 법령이 혹독하고 가혹함을 비유하는 말. [ (: 흔들릴 요) (: 손 수) (: 닿을 촉) (: 금할 금) ]
  •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풍거운요(風擧雲搖) : 바람이 움직이고 구름이 흔들린다는 뜻으로, 바람이나 구름이 흔들려 움직이듯이 여기저기로 이동함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들 거) (: 구름 운) (: 흔들릴 요) ]

[간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서 획순 이미지 사서(社鼠)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토지신 사) (: 쥐 서) ]
  • 자객간인(刺客奸人)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찌를 자) (: 손 객) (: 범할 간) (: 사람 인) ]
  • 간신적자(奸臣賊子) :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 (: 범할 간) (: 신하 신) (: 도둑 적) (: 아들 자) ]
  • 병불염사(兵不厭詐) : 군사(軍事)에서는 적을 속이는 간사한 꾀도 꺼리지 아니함. [ (: 군사 병) (: 아니 불) (: 싫어할 염) (: 속일 사) ]
  • 조등(刁蹬) : 간사한 꾀를 써서 물건의 시세를 오르게 함을 이르는 말. 독수리가 토끼를 쫓아서 그의 힘이 지치기를 기다려 잡는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 (: 바라 조) (: 비틀거릴 등) ]

[개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미걸련 획순 이미지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폐일지괴(吠日之怪) : 해를 보고 짖는 괴이함이라는 뜻으로, 비 오는 날이 많은 蜀(촉) 땅의 개가 해가 뜨면 괴이하게 여겨 짖는 것에서 신기한 것을 보고 놀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짖을 폐) (: 날 일) (: 갈 지) (: 기이할 괴) ]
  • 계명구폐(鷄鳴狗吠) :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닭 계) (: 울 명) (: 개 구) (: 짖을 폐) ]
  • 구반상실(狗飯橡實) : 개밥에 도토리 열매라는 뜻으로, 개가 도토리를 먹지 않아 개 밥그릇에 도토리만 남게 되는 것처럼, 외톨이 신세가 될 때 쓰이는 말. [ (: 개 구) (: 밥 반) (: 상수리나무 상) (: 열매 실) ]
  • 걸견폐요(桀犬吠堯) :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 (: 횃대 걸) (: 개 견) (: 짖을 폐) (: 요임금 요) ]

[구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미걸련 획순 이미지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혼야애걸(昏夜哀乞) : 한밤중에 권세 있는 사람에게 몰래 하소연하며 빎. [ (: 어두울 혼) (: 밤 야) (: 슬플 애) (: 빌 걸) ]
  • 호전걸육(虎前乞肉) :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 범 호) (: 앞 전) (: 빌 걸) (: 고기 육) ]
  • 걸화불약취수(乞火不若取燧) : 남의 불을 꾸기보다는 제 부시로 불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구걸(求乞)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努力)하는 것이 낫다는 말. [ (: 빌 걸) (: 불 화) (: 아니 불) (: 같을 약) (: 취할 취) (: 부싯돌 수) ]
  • 애걸복걸(哀乞伏乞) : 소원 따위를 들어 달라고 애처롭게 사정하며 간절히 빎. [ (: 슬플 애) (: 빌 걸) (: 엎드릴 복) (: 빌 걸) ]

[꼬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두동미서 획순 이미지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철두철미(徹頭徹尾) :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 (: 통할 철) (: 머리 두) (: 통할 철) (: 꼬리 미) ]
  • 장두은미(藏頭隱尾) :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감출 장) (: 머리 두) (: 숨을 은) (: 꼬리 미) ]
  • 호유미(狐濡尾) :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 (: 여우 호) (: 젖을 유) (: 꼬리 미) ]
  • 몰두몰미(沒頭沒尾) : 머리도 꼬리도 없다는 뜻으로, 밑도 끝도 없음을 이르는 말. [ (: 빠질 몰) (: 머리 두) (: 빠질 몰) (: 꼬리 미) ]

[비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요미걸련 획순 이미지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 노안비슬(奴顔婢膝) : 남자 종의 아첨하는 얼굴과 여자 종의 무릎걸음이라는 뜻으로, 하인처럼 굽실거리는 얼굴로 비굴하게 알랑대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종 노) (: 얼굴 안) (: 여종 비) (: 무릎 슬) ]
  • 계명구도(鷄鳴狗盜)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닭 계) (: 울 명) (: 개 구) (: 도둑 도)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아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저척이 획순 이미지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 갑자기 거) (: 대자리 저) (: 겨레 척) (: 옮을 이) ]
  • 면찬아선첨유지인(面讚我善諂諛之人)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 낯 면) (: 기릴 찬) (: 나 아) (: 착할 선) (: 아첨할 첨) (: 알랑거릴 유) (: 갈 지) (: 사람 인) ]
  • 아편(阿偏) : 아첨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 (: 언덕 아) (: 치우칠 편) ]
  • 염량세태(炎凉世態) :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 (: 불꽃 염) (: 서늘할 량) (: 인간 세) (: 모양 태) ]
  • 요미걸련(搖尾乞憐)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 (: 흔들릴 요) (: 꼬리 미) (: 빌 걸) (: 불쌍히여길 련) ]

[태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실사구시 획순 이미지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 열매 실) (: 일 사) (: 구할 구) (: 옳을 시)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 언소자약(言笑自若)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 (: 말씀 언) (: 웃을 소) (: 스스로 자) (: 같을 약) ]
  • 능운지지(凌雲之志)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 (: 구름 운) (: 갈 지) (: 뜻 지) ]
  • 앙망종신(仰望終身) : 일생을 존경하고 사모하여 내 몸을 의탁함. 예전에, 아내가 남편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로써 이르던 말이다. [ (: 우러를 앙) (: 바랄 망) (: 끝날 종) (: 몸 신)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