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5일 토요일

욕곡봉타: 欲哭逢打

욕곡봉타 (欲哭逢打)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欲哭逢打 한자 뜻 풀이

  • 欲(하고자 할 욕) : 하고자 하다, …할 것 같다, 바라다, 탐내다, 좋아하다. '欠(흠)'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谷(곡)'은 발음 역할
  • 哭(울 곡) : 울다, 곡, 상사(喪事)나 제사 때 일정한 소리를 내어 우는 울음, 슬퍼 큰 소리를 내어 울다, 곡하다. 개가 '소리지르며 외친다[口口(훤)]'는 의미에서 '울다'는 의미 생성
  • 逢(만날 봉) : 만나다, 성(盛)하다, 상봉함, 맞다, 점치다. 마주치거나 만난다는 의미
  • 打(칠 타) : 치다, 공격하다, 공을 차다, …부터, 접두어. 손으로 치는 동작을 표현함. '丁(정)'이 발음 요소로 전이됨


[哭] 울 곡 (울다, 곡, 상사(喪事)나 제사 때 일정한 소리를 내어 우는 울음, 슬퍼 큰 소리를 내어 울다, 곡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앙천통곡 획순 이미지 앙천통곡(仰天痛哭) : 하늘을 쳐다보며 몹시 욺. [ (: 우러를 앙) (: 하늘 천) (: 아플 통) (: 울 곡) ]
  • 욕곡봉타(欲哭逢打)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울 곡) (: 만날 봉) (: 칠 타) ]
  • 진정지곡(秦庭之哭) :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나라 이름 진) (: 뜰 정) (: 갈 지) (: 울 곡) ]
  • 호천통곡(呼天痛哭) : 하늘을 우러러 부르짖으며 목 놓아 욺. [ (: 부를 호) (: 하늘 천) (: 아플 통) (: 울 곡) ]
  • 대성통곡(大聲痛哭) : 큰 소리를 내며 매우 슬프게 욺. [ (: 큰 대) (: 소리 성) (: 아플 통) (: 울 곡) ]

[打] 칠 타 (치다, 공격하다, 공을 차다, …부터, 접두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욕곡봉타 획순 이미지 욕곡봉타(欲哭逢打)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울 곡) (: 만날 봉) (: 칠 타) ]
  • 만경타령(萬頃打令) : 요긴(要緊)한 일을 등한히 함을 이르는 말. [ (: 일만 만) (: 밭넓이 경) (: 칠 타) (: 하여금 령) ]
  • 타초경사(打草驚蛇) :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칠 타) (: 풀 초) (: 놀랄 경) (: 뱀 사) ]
  • 아타아형유타부모(我打我兄猶打父母) : 내가 나의 형을 때리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때리는 것과 같음. [ (: 나 아) (: 칠 타) (: 나 아) (: 맏 형) (: 오히려 유) (: 칠 타) (: 아비 부) (: 어미 모) ]
  • 이해타산(利害打算) : 이해관계를 이모저모 모두 따져 봄. 또는 그런 일. [ (: 해칠 해) (: 칠 타) (: 셈할 산) ]

[欲] 하고자 할 욕 (하고자 하다, …할 것 같다, 바라다, 탐내다, 좋아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욕토미토 획순 이미지 욕토미토(欲吐未吐) : 말을 금방 할 듯 할 듯 하면서 아직 아니 함. [ (: 하고자 할 욕) (: 토할 토) (: 아닐 미) (: 토할 토) ]
  •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 (: 아들 자) (: 하고자 할 욕) (: 기를 양) (: 말 이을 이) (: 친할 친) (: 아닌가 부) (: 기다릴 대) ]
  • 욕곡봉타(欲哭逢打)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울 곡) (: 만날 봉) (: 칠 타) ]
  • 하산욕우(夏山欲友) : 여름날 산에 비구름이 모임을 이르는 말. [ (: 여름 하) (: 메 산) (: 하고자 할 욕) (: 벗 우) ]
  • 욕파불능(欲罷不能) : 파하고자 하여도 파할 수가 없음. [ (: 하고자 할 욕) (: 그만둘 파) (: 아니 불) (: 능할 능) ]

[逢] 만날 봉 (만나다, 성(盛)하다, 상봉함, 맞다, 점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장작희 획순 이미지 봉장작희(逢場作戱) : 공터를 만나자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아무데서나 유희(遊戱)를 행하듯이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조치를 취하거나 미봉책(彌縫策)을 쓴다는 의미. [ (: 만날 봉) (: 마당 장) (: 지을 작) (: 놀 희) ]
  • 촉처봉패(觸處逢敗) : 가서 닥치는 곳마다 낭패를 당함. [ (: 닿을 촉) (: 머무를 처) (: 만날 봉) (: 패할 패) ]
  • 봉시불행(逢時不幸) :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 (: 만날 봉) (: 때 시) (: 아니 불) (: 다행할 행) ]

[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사재하 획순 이미지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결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마불사 획순 이미지 대마불사(大馬不死) : 바둑에서,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일. [ (: 큰 대) (: 말 마) (: 아니 불) (: 죽을 사) ]
  • 할고충복(割股充腹) : 빈속을 채우려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먹는다는 뜻으로, 한때만 모면하려는 어리석은 잔꾀를 이르는 말. [ (: 나눌 할) (: 넓적다리 고) (: 찰 충) (: 배 복) ]
  • 방휼지세(蚌鷸之勢) :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방합 방) (: 도요새 휼) (: 갈 지) (: 기세 세) ]
  •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 (: 열 십) (: 칠 벌) (: 갈 지) (: 나무 목) ]
  • 락엽귀근(落葉歸根) : (1)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자기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 (2)'낙엽귀근'의 북한어. [ (: 잎 엽) (: 돌아갈 귀) (: 뿌리 근) ]

[불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욕곡봉타 획순 이미지 욕곡봉타(欲哭逢打)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 (: 하고자 할 욕) (: 울 곡) (: 만날 봉) (: 칠 타) ]
  • 교하질쉬(橋下叱倅) : 다리 밑에서 원을 꾸짖는다는 뜻으로, 직접 말을 못 하고 안 들리는 곳에서 불평하거나 욕함을 이르는 말. [ (: 다리 교) (: 아래 하) (: 꾸짖을 질) (: 버금 쉬)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아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추조거습 획순 이미지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 옮을 추) (: 마를 조) (: 있을 거) (: 축축할 습) ]
  • 파옹구아(破甕救兒)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 깨뜨릴 파) (: 독 옹) (: 건질 구) (: 아이 아) ]
  • 황구유취(黃口乳臭)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 누를 황) (: 입 구) (: 젖 유) (: 냄새 취) ]
  • 해제지동(孩提之童) : 나이가 적은 아이. [ (: 어린아이 해) (: 끌 제) (: 갈 지) (: 아이 동) ]
  • 양소무시(兩小無猜) : 두 아이가 시기(猜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이들의 천진한 모습을 이르는 말. [ (: 작을 소) (: 없을 무) (: 시기할 시)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