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례겸도 (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情禮兼到 한자 뜻 풀이
- 情(뜻 정) : 뜻, 욕심, 바람, 심기(心氣), 본성(本性). 감정과 정서의 의미. '靑(청)'은 변화된 발음
- 禮(예도 례) : 예도, 예법, 예식, 예물, 음식 대접.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 兼(겸할 겸) : 겸하다, 다하다, 쌓다, 아울러, 포갬. '禾+禾+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두 포기의 벼를 쥐고 있는 모양에서 '아우르다', '겸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到(이를 도) : 이르다, 빈틈없이 찬찬하다, 속이다, 거꾸로, 닿음.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 '刀(도)'는 발음역할로 쓰임
[兼] 겸할 겸 (겸하다, 다하다, 쌓다, 아울러, 포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겸청즉명(兼聽則明) :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 (兼: 겸할 겸) (聽: 들을 청) (則: 곧 즉) (明: 밝을 명) ]
- 겸사겸사(兼事兼事)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려고, 이 일도 하고 저 일도 할 겸 해서. [ (兼: 겸할 겸) (事: 일 사) (兼: 겸할 겸) (事: 일 사) ]
- 범애겸리(氾愛兼利)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 (氾: 넘칠 범) (愛: 사랑 애) (兼: 겸할 겸) (利: 날카로울 리) ]
- 정례겸도(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 (情: 뜻 정) (禮: 예도 례) (兼: 겸할 겸) (到: 이를 도) ]
- 겸지우겸(兼之又兼) : 여러 가지를 겸한 위에 다른 것을 또 겸함. [ (兼: 겸할 겸) (之: 갈 지) (又: 또 우) (兼: 겸할 겸) ]
[到] 이를 도 (이르다, 빈틈없이 찬찬하다, 속이다, 거꾸로, 닿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精: 정미할 정) (神: 신 신) (一: 한 일) (到: 이를 도) (何: 어찌 하) (事: 일 사) (不: 아니 불) (成: 이룰 성) ]
- 도처낭패(到處狼狽) : (1)하는 일마다 실패함. (2)가는 곳마다 변(變)을 만남. [ (到: 이를 도) (處: 머무를 처) (狽: 짐승 이름 패) ]
- 도처춘풍(到處春風)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到: 이를 도) (處: 머무를 처) (春: 봄 춘) (風: 바람 풍) ]
- 여무소부도(慮無所不到) : 생각이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생각이 미치지 않는 데가 없이 아주 세밀하게 함을 이르는 말. [ (無: 없을 무) (所: 바 소) (不: 아닌가 부) (到: 이를 도) ]
- 정례겸도(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 (情: 뜻 정) (禮: 예도 례) (兼: 겸할 겸) (到: 이를 도) ]
[情] 뜻 정 (뜻, 욕심, 바람, 심기(心氣), 본성(本性))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욕편정(邪慾偏情) :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 (邪: 간사할 사) (慾: 욕심 욕) (偏: 치우칠 편) (情: 뜻 정)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徑: 지름길 경) (情: 뜻 정) (直: 곧을 직) (行: 갈 행) ]
- 무정세월(無情歲月)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 (無: 없을 무) (情: 뜻 정) (歲: 해 세) (月: 달 월) ]
- 정제(情弟) :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情: 뜻 정) (弟: 아우 제) ]
- 취정회신(聚情會神) : 정신(精神)을 가다듬어 한군데에 모음. [ (聚: 모일 취) (情: 뜻 정) (會: 모일 회) (神: 신 신) ]
[禮] 예도 례 (예도, 예법, 예식, 예물, 음식 대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수사례(無數謝禮) : 고맙다는 인사를 수없이 되풀이함. [ (無: 없을 무) (數: 셀 수) (謝: 사례할 사) (禮: 예도 례) ]
- 흠신답례(欠身答禮) : 몸을 굽혀서 답례함. 또는 그런 답례. [ (欠: 하품 흠) (身: 몸 신) (答: 대답할 답) (禮: 예도 례) ]
- 비례물동(非禮勿動) :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 (非: 아닐 비) (禮: 예도 례) (勿: 말 물) (動: 움직일 동) ]
- 예괴악붕(禮壞樂崩) : 예의(禮儀)와 음악(音樂)이 깨지고 무너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 (壞: 무너질 괴) (樂: 풍류 악) (崩: 무너질 붕) ]
- 삼지지례(三枝之禮) :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三: 석 삼) (枝: 가지 지) (之: 갈 지) (禮: 예도 례) ]
[예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만북적(南蠻北狄) :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말이다. [ (南: 남녘 남) (蠻: 오랑캐 만) (北: 북녘 북) (狄: 오랑캐 적) ]
- 예괴악붕(禮壞樂崩) : 예의(禮儀)와 음악(音樂)이 깨지고 무너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 (壞: 무너질 괴) (樂: 풍류 악) (崩: 무너질 붕) ]
- 삼지지례(三枝之禮) :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三: 석 삼) (枝: 가지 지) (之: 갈 지) (禮: 예도 례) ]
- 경이무례(輕而無禮) : 경망(輕妄)하여 예의(禮儀)가 없음. [ (輕: 가벼울 경) (而: 말 이을 이) (無: 없을 무) (禮: 예도 례) ]
- 예상왕래(禮尙往來) : 예절은 서로 왕래하여 사귐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 [ (尙: 오히려 상) (往: 갈 왕) (來: 올 래) ]
[정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상전변(無常轉變) : 회자정리(會者定離). [ (無: 없을 무) (常: 항상 상) (轉: 구를 전) (變: 변할 변) ]
- 정례겸도(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 (情: 뜻 정) (禮: 예도 례) (兼: 겸할 겸) (到: 이를 도) ]
- 산상수훈(山上垂訓)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 (山: 메 산) (上: 위 상) (垂: 드리울 수) (訓: 가르칠 훈) ]
- 거자필반(去者必反) : 가버린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불교의 윤회 사상에 의거해 '會者定離(회자정리)와 함께 만물의 운명은 계속해서 돌고 돈다는 의미. [ (去: 갈 거) (者: 놈 자) (必: 반드시 필) (反: 돌이킬 반) ]
- 집대성(集大成) : 여러 가지를 모아 하나의 체계를 이루어 완성함. [ (集: 모일 집) (大: 큰 대) (成: 이룰 성) ]
[충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례겸도(情禮兼到) : 정리(情理)와 예의(禮儀)가 다 같이 충분(充分)함. [ (情: 뜻 정) (禮: 예도 례) (兼: 겸할 겸) (到: 이를 도) ]
- 서부진언(書不盡言) :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표현할 수 없음. [ (書: 글 서) (不: 아닌가 부) (盡: 다할 진) (言: 말씀 언) ]
- 천종지대성(天縱之大聖) : 하늘이 재능(才能)을 충분(充分)히 발휘(發揮)하게 점지한 성인(聖人)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를 두고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縱: 늘어질 종) (之: 갈 지) (大: 큰 대) (聖: 성스러울 성) ]
- 정금백련(精金百鍊) : 쇠붙이가 충분(充分)히 단련(鍛鍊)되었다는 뜻으로, 충분(充分)히 숙련(熟練)되고 많은 경험(經驗)을 쌓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精: 정미할 정) (金: 쇠 금) (百: 일백 백) (鍊: 불릴 련) ]
- 영만지구(盈滿之咎) : 가득 찬 재앙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만족할 만큼 충분할 때일수록 재앙을 만나기 쉬움을 이르는 말. [ (盈: 찰 영) (滿: 찰 만) (之: 갈 지) (咎: 허물 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