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일체 (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遐邇壹體 한자 뜻 풀이
- 遐(멀 하) : 멀다, 멀리하다, 가다, 길다, 어찌.
- 邇(가까울 이) : 가깝다, 가까이하다, 통속적이다.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친하여 '가깝다'는 뜻까지 확대됨. '爾(이)'는 발음
- 壹(한 일) : 하나, 오로지, 모두, 같다, 합일하다.
- 體(몸 체) : 몸, 사지(四肢), 모양, 근본, 법. 신체 골격을 중심으로 몸의 형상을 의미
[壹] 한 일 (하나, 오로지, 모두, 같다, 합일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이일체(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遐: 멀 하) (邇: 가까울 이) (壹: 한 일) (體: 몸 체) ]
[遐] 멀 하 (멀다, 멀리하다, 가다, 길다, 어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이일체(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遐: 멀 하) (邇: 가까울 이) (壹: 한 일) (體: 몸 체) ]
[邇] 가까울 이 (가깝다, 가까이하다, 통속적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이일체(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遐: 멀 하) (邇: 가까울 이) (壹: 한 일) (體: 몸 체) ]
- 행원필자이(行遠必自邇) : 아무리 먼 길도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始作)됨. [ (行: 갈 행) (遠: 멀 원) (必: 반드시 필) (自: 스스로 자) (邇: 가까울 이) ]
- 유원능이(柔遠能邇) : 먼 곳은 회유하고 가까운 곳은 잘한다는 뜻으로, 먼 데 있는 사람을 회유(懷柔)하여 가까이 있는 사람과 친근하게 함을 이르는 말. [ (柔: 부드러울 유) (遠: 멀 원) (能: 능할 능) (邇: 가까울 이) ]
[體] 몸 체 (몸, 사지(四肢), 모양, 근본, 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불부체(魂不附體) : 혼백이 어지러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이르는 말. [ (魂: 넋 혼) (不: 아니 불) (附: 붙을 부) (體: 몸 체)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稱: 일컬을 칭) (體: 몸 체) (裁: 마를 재) (衣: 옷 의) ]
- 계체지군(繼體之君)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繼: 이을 계) (體: 몸 체) (之: 갈 지) (君: 임금 군) ]
- 물아일체(物我一體) :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 (物: 만물 물) (我: 나 아) (一: 한 일) (體: 몸 체) ]
- 혼연일체(渾然一體) :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 (渾: 흐릴 혼) (然: 그러할 연) (一: 한 일) (體: 몸 체) ]
[나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堂: 집 당) (內: 안 내) (至: 이를 지) (親: 친할 친) ]
- 망국지한(亡國之恨)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亡: 잃을 망) (國: 나라 국) (之: 갈 지) (恨: 한할 한)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
[덕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명봉재수(鳴鳳在樹) : 명군(名君), 성현(聖賢)이 나타나면 봉(鳳)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德望)이 미치는 곳마다 봉(鳳)이 나무 위에서 울 것임. [ (鳴: 울 명) (鳳: 봉새 봉) (在: 있을 재) (樹: 나무 수) ]
- 역책(易簀)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易: 바꿀 역) (簀: 살평상 책) ]
- 하이일체(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遐: 멀 하) (邇: 가까울 이) (壹: 한 일) (體: 몸 체) ]
[일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물아일체(物我一體) :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 (物: 만물 물) (我: 나 아) (一: 한 일) (體: 몸 체) ]
- 불계지주(不繫之舟) :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不: 아니 불) (繫: 맬 계) (之: 갈 지) (舟: 배 주) ]
- 백팔번뇌(百八煩惱)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百: 일백 백) (八: 여덟 팔) (煩: 번거로울 번) (惱: 괴로워할 뇌) ]
- 하이일체(遐邇壹體) : 멀고 가까운 나라가 전부(全部) 그 덕망(德望)에 귀순(歸順)케 하며 일체(一體)가 될 수 있음. [ (遐: 멀 하) (邇: 가까울 이) (壹: 한 일) (體: 몸 체) ]
- 범성불이(凡聖不二) :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 (凡: 무릇 범) (聖: 성스러울 성) (不: 아니 불) (二: 두 이) ]